분묘굴이

사건번호:

96다14036

선고일자:

199606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평온한 점유 및 공연한 점유의 의미 [2] 관습상 분묘기지권의 시효취득 요건 및 등기의 요부(소극)

판결요지

[1] 평온한 점유란 점유자가 점유를 취득 또는 보유하는데 있어 법률상 용인될 수 없는 강포행위를 쓰지 않는 점유이고, 공연한 점유란 은비의 점유가 아닌 점유를 말한다. [2] 타인 소유의 토지에 소유자의 승낙 없이 분묘를 설치한 경우에는 20년간 평온, 공연하게 그 분묘의 기지를 점유하면 지상권 유사의 관습상의 물권인 분묘기지권을 시효로 취득하는데, 이러한 분묘기지권은 봉분 등 외부에서 분묘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인정되고, 평장되어 있거나 암장되어 있어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외형을 갖추고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인정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특성상 분묘기지권은 등기 없이 취득한다.

참조조문

[1] 민법 제197조 제1항, 제245조/ [2] 민법 제106조, 제186조, 제248조, 제279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2. 4. 24. 선고 92다6983 판결(공1992, 1691), 대법원 1993. 5. 25. 선고 92다52764, 52771 판결(공1993하, 1850), 대법원 1994. 12. 19. 선고 94다25025 판결(공1995상, 450) /[2] 대법원 1976. 10. 26. 선고 76다1359, 1360 판결(공1976, 9456), 대법원 1991. 10. 25. 선고 91다18040 판결(공1991, 2820), 대법원 1995. 2. 28. 선고 94다37912 판결(공1995상, 1462)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원심판결】 대구지법 1996. 2. 9. 선고 95나9172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이 사건 기록을 검토하여 보면, 원심이, 피고가 관리, 수호하고 있는 이 사건 분묘는 피고의 증조모 ○○○씨의 분묘로서, 피고의 증조모가 사망한 무렵인 1880년 내지 1890년경에 설치되었다고 봄이 상당하고,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소외 1이 이 사건 분묘를 관리하여 온 1972년경에는 설치되었다고 할 것이며, 피고가 이 사건 분묘가 설치된 시점부터 현재까지 20년이 넘도록 평온, 공연하게 위 분묘의 기지를 점유하여 왔으므로, 피고는 지상권 유사의 물권인 분묘기지권을 취득하였다고 판단하였음은 정당하다고 인정된다. 평온한 점유란 점유자가 점유를 취득 또는 보유하는데 있어 법률상 용인될 수 없는 강포행위를 쓰지 아니하는 점유이고, 공연한 점유란 은비의 점유가 아닌 점유를 말하는바( 당원 1993. 5. 25. 선고 92다52764, 52771 판결 참조), 설사 원고의 주장과 같이 원고가 세운 경고판을 피고가 넘어뜨리고, 피고가 자신의 소재를 들어내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피고의 점유를 평온한 점유가 아니라고 할 수 없고, 또한 원고가 이 사건 분묘를 발견하였다는 1988년 이전에는 이 사건 분묘가 평장의 형태이었다고 볼 자료가 없어, 피고의 점유가 공연한 점유가 아니라고 할 수도 없다. 그리고, 타인 소유의 토지에 소유자의 승낙 없이 분묘를 설치한 경우에는 20년간 평온, 공연하게 그 분묘의 기지를 점유하면 지상권 유사의 관습상의 물권인 분묘기지권을 시효로 취득하는데, 이러한 분묘기지권은 봉분 등 외부에서 분묘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인정되고, 평장되어 있거나 암장되어 있어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외형을 갖추고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인정되지 않으므로( 당원 1991. 10. 25. 선고 91다18040 판결 참조), 이러한 특성상 위 분묘기지권은 등기 없이 취득한다고 봄이 상당하다. 따라서 원심판결에는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하였거나, 심리미진, 분묘기지권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고,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만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20년간 남의 땅에 조상 묘를 모셨다면? 분묘기지권 이야기

남의 땅에 허락 없이 설치한 묘라도 20년 이상 그 자리를 점유하면, 관습법상 분묘기지권이 생겨 묘 주인이 토지 소유자에게 묘를 옮기라고 요구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묘가 일시적으로 없어지더라도 유골이 남아있다면 분묘기지권은 유지됩니다.

#분묘기지권#시효취득#20년#점유

민사판례

20년 넘게 남의 땅에 조상 묘 두면 내 땅 될까? 분묘기지권 시효취득 논란

남의 땅에 허락 없이 설치한 묘지라도 20년간 관리하면 묘지를 둘 수 있는 권리(분묘기지권)를 얻는다는 관습이 2001년 장사법 개정 이후에도 유효한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다수의견은 관습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판단했지만, 반대의견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보았습니다.

#분묘기지권#시효취득#장사법#관습

민사판례

묘지가 있다고 땅 주인이 되는 건 아니에요! - 점유취득시효와 분묘 기지

타인 소유의 땅에 분묘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것만으로는 그 땅 전체를 점유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땅의 점유는 단순히 분묘 설치 여부만이 아니라, 해당 토지를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고 관리했는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분묘#점유#토지#취득시효

상담사례

묘지 땅, 내 땅처럼 20년 썼는데… 내 땅 맞나요? (분묘기지권 이야기)

타인 토지에 묘를 설치하고 20년간 평온・공개적으로 관리하면 묘와 제사 등에 필요한 주변 땅에 대한 사용권인 분묘기지권이 성립될 수 있다.

#분묘기지권#묘지#토지소유권#20년

민사판례

묘지와 땅, 내 땅인 줄 알았는데?! - 점유취득시효와 분묘기지권에 대한 이야기

착오로 남의 땅 일부에 분묘를 설치한 경우라도 소유 의사가 인정될 수 있으며, 20년 이상 점유하면 점유취득시효가 성립될 수 있다. 하지만 토지 소유자가 뒤늦게 소유권보존등기를 하면 점유취득시효를 주장하기 어렵다. 단, 원래 소유자나 그 상속인이 등기를 한 경우는 예외적으로 점유취득시효를 주장할 수 있다. 분묘기지권은 봉분 자체뿐 아니라 제사 등에 필요한 주변 땅에도 인정된다.

#분묘#점유취득시효#분묘기지권#소유권보존등기

상담사례

20년 된 아버지 묘, 갑자기 땅 주인이 나타나 철거하라면?! 분묘기지권, 아직 유효할까요?

2001년 1월 13일 이전에 설치된 묘지는 20년 이상 관리 시 관습법상 분묘기지권이 인정되어 토지 소유자의 철거 요구에도 유효하다.

#분묘기지권#20년#2001년 1월 13일#관습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