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금

사건번호:

96다39707

선고일자:

199807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해상적하보험증권상 영국법 준거약관이 보험계약의 성립 여부에 관한 사항에도 적용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해상적하보험증권상 "이 보험증권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이 보험증권에 첨부되는 어떠한 반대되는 규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보험은 일체의 전보청구 및 결제에 관해서 영국의 법률과 관습에만 의한다."라는 영국법 준거약관은 보험계약의 보험목적물이 무엇인지 여부에 관한 사항, 즉 보험계약의 성립 여부에 관한 사항에까지 영국의 법률과 실무에 따르기로 하기로 한 것으로는 볼 수 없으므로, 이와 같은 사항에는 우리 나라의 법률이 적용되어야 한다.

참조조문

상법 제693조, 섭외사법 제9조, 민법 제10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쌍용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병석 외 4인) 【원심판결】 부산고법 1996. 7. 26. 선고 94나981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은 이 사건 해상적하보험증권에 의하면 보험목적물이 단순히 '어획물 100t(100M/T OF FISH)'이라고만 기재되어 있을 뿐 위 보험증권 및 이에 첨부된 보험약관의 어디에도 보험목적물을 '최초로 어획한 어획물 100t'으로 한다는 취지의 기재가 없어 보험증권 및 보험약관의 문언상으로는 이 사건 보험목적물을 피고의 주장과 같이 '최초로 어획한 어획물 100t'인지, 원고 주장과 같이 '불특정의 어획물 100t'으로 한 것인지 명백하지 않으나, 설령 피고 주장과 같이 이 사건 보험목적물을 '최초로 어획한 어획물 100t'으로 본다고 하더라도 이 사건 보험계약의 체결에 관여한 피고의 영업사원인 소외인은 보험계약의 내용에 대하여 '최초로 어획한 어획물 100t'을 보험목적물로 한다고 설명하기는 커녕, 오히려 이와 달리 이 사건 선박이 북태평양에서 어로작업을 하는 동안 냉동창고에 보관중인 어획물이 보험사고로 멸실된 경우에 '100t의 한도 내에서' 보상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고, 이에 원고도 그렇게 알고 이 사건 보험계약을 체결한 것이므로, 위 소외인이 설명한 내용이 이 사건 보험계약의 내용을 이룬다고 할 것이어서 피고는 이 사건 보험약관에 따라 사고 전날을 기준으로 이 사건 선박의 냉동창고에 보관되어 있다가 선박의 화재 및 침몰로 인하여 멸실된 어획물에 대하여 보험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와 같은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 내지 채증법칙을 위배한 사실오인이나 보험자의 설명의무에 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또한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영문 보험증권에 "이 보험증권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이 보험증권에 첨부되는 어떠한 반대되는 규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보험은 일체의 전보청구 및 결제에 관해서 영국의 법률과 관습에만 의한다(Notwithstanding anything contained herein or attached hereto to the contrary, this insurance is understood and agreed to be subject to English law and practice only as to liability for and settlement of any and all claims)."고 명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영국법 준거조항은 이 사건에서와 같이 보험계약의 보험목적물이 무엇인지 여부에 관한 사항, 즉 보험계약의 성립 여부에 관한 사항에까지 영국의 법률과 실무에 따르기로 하기로 한 것으로는 볼 수 없으므로, 이와 같은 사항은 우리 나라의 법률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어서 이와 다른 전제에서 원심판결에 영국법상 보험모집인의 설명의무의 여부와 보험자의 책임 유무 등에 관하여 석명하지 아니한 위법이 있다는 취지의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서성(재판장) 최종영 이돈희(주심)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해상적하보험, 외국법 준거와 고지의무 위반, 그리고 행방불명된 화물

외국법(영국법)을 따르기로 한 해상보험 계약에서, 보험 가입자가 중요한 정보(화물선의 사고 가능성)를 숨기고 보험 조건을 변경했을 때, 보험회사는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또한, 화물선이 행방불명된 경우, 보험회사는 해상 위험으로 인한 손해로 추정하여 보험금을 지급해야 하지만, 다른 위험(예: 선주의 악행)으로 인한 손해일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을 입증하면 보험금 지급을 거부할 수 있다.

#해상보험#외국법(영국법)#고지의무 위반#행방불명

민사판례

배가 가라앉았는데 보험금을 못 받는다고? 해상적하보험 가입 시 꼭 알아야 할 것들!

표준 규격에 미달하는 선박으로 화물을 운송할 때, 보험 가입자가 보험사에 이 사실을 알리지 않으면 보험금을 받을 수 없다. 또한, 보험사는 보험 약관의 중요 내용을 설명할 의무가 있지만, 가입자가 이미 약관 내용을 잘 알고 있다면 설명 의무는 없다.

#선박규격#해상보험#고지의무#설명의무

민사판례

배가 침몰했어요! 보험금은 받을 수 있을까요? 해상보험과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사실들

파퓨아뉴기니에서 부산으로 회항하던 선박이 침몰하여, 선주가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보험사의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선박침몰#보험금#해상고유위험#입증책임

민사판례

해상 운송 중 화물 손상,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 (선하증권과 준거법 이야기)

국제 해상 운송에서 선하증권에 일반적인 준거법 조항이 있더라도 운송인의 책임 범위에 대해서는 특정 국가의 법률이나 국제협약을 우선 적용하는 특약(지상약관)이 유효하며, 이 경우 운송인의 책임은 해당 법률 또는 협약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선하증권#준거법#운송인 책임 제한#지상약관

민사판례

배 침몰과 참치는 누구 책임? 선박보험과 적하보험 이야기

이 판례는 선박보험과 적하보험 모두에 영국법준거약관이 적용될 경우, 고지의무 위반과 명시적 담보 위반이 있으면 보험회사는 인과관계 없이 보험금 지급을 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선박보험#적하보험#영국법준거약관#고지의무 위반

민사판례

갑판 위 화물, 바다에 빠졌다면 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 - 해상 적하보험 분쟁 사례 분석

해상 운송 중 갑판 위 화물이 바다에 빠진 사고에서, 보험회사는 갑판 위 화물 유실에 대한 보험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는가? 대법원은 "갑판유실"의 좁은 의미를 적용하여 보험회사의 손을 들어주었다.

#갑판유실#보험금 지급 책임#영국 해상보험 관습#갑판멸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