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명도등·소유권이전등기등

사건번호:

96다54249

선고일자:

199704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를 필요로 하는 상법 제374조 소정의 '영업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의 양도'의 의미 [2] 임차인의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토지임대차계약이 해지되는 경우에도 임차인의 지상물매수청구권이 인정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주주총회의 특별결의가 있어야 하는 상법 제374조 제1호 소정의 '영업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의 양도'라 함은 일정한 영업목적을 위하여 조직되고 유기적 일체로 기능하는 재산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를 총체적으로 양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에는 양수회사에 의한 양도회사의 영업적 활동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분의 승계가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단순한 영업용 재산의 양도는 이에 해당하지 않으나, 다만 영업용 재산의 처분으로 말미암아 회사영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양도하거나 폐지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에는 주주총회의 특별결의가 필요하다. [2] 토지임차인의 차임연체 등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임대차계약이 해지되는 경우 토지임차인으로서는 토지임대인에 대하여 지상건물의 매수를 청구할 수 없다.

참조조문

[1] 상법 제374조 제1호 / [2] 민법 제283조 , 제643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1. 1. 15. 선고 90다10308 판결(공1991, 739), 대법원 1992. 2. 14. 선고 91다36062 판결(공1992, 1028), 대법원 1994. 5. 10. 선고 93다47615 판결(공1994상, 1650), 대법원 1994. 10. 28. 선고 94다39253 판결(공1994하, 3124) /[2] 대법원 1991. 4. 23. 선고 90다19695 판결(공1991, 1464), 대법원 1994. 2. 22. 선고 93다44104 판결(공1994상, 1076), 대법원 1996. 2. 27. 선고 95다29345 판결(공1996상, 1088)

판례내용

【원고(반소피고),피상고인】 박태남 외 3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충정 담당변호사 황주명 외 2인) 【피고(반소원고),상고인】 주식회사 중국성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우선)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11. 7. 선고 95나36918, 36925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반소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1987. 12. 1.자 임대차계약에 관하여 가.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피고가 1987. 12. 1. 소외 망 이명복과 사이에 그의 소유이던 이 사건 대지와 그 지상의 구건물에 관하여 보증금 1억 원, 월 차임 600만 원, 임차기간 5년간으로 정하여 임대차계약을 체결하면서, 피고가 위 대지 상에 이 사건 구건물과는 별도로 피고의 영업에 필요한 이 사건 신축건물을 신축하여 사용하되 위 임차기간이 만료된 때에는 이 사건 신축건물의 소유권을 위 이명복에게 귀속시키기로 약정한 사실을 인정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나. 주주총회의 특별결의가 있어야 하는 상법 제374조 제1호 소정의 '영업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의 양도'라 함은 일정한 영업목적을 위하여 조직되고 유기적 일체로 기능하는 재산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를 총체적으로 양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에는 양수회사에 의한 양도회사의 영업적 활동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분의 승계가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단순한 영업용 재산의 양도는 이에 해당하지 않으나 다만 영업용 재산의 처분으로 말미암아 회사영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양도하거나 폐지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에는 주주총회의 특별결의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당원 1994. 10. 28. 선고 94다39253 판결, 1994. 5. 10. 선고 93다47615 판결, 1992. 2. 14. 선고 91다36062 판결, 1991. 1. 15. 선고 90다10308 판결 등 참조). 원심이 적법히 확정한 사실에 의하여 알 수 있는 이 사건 신축건물의 양도약정에 이르게 된 경위, 그 약정의 내용 자체 및 이 사건 임대차계약의 내용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위 양도약정으로 말미암아 비로소 피고 회사의 영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양도하거나 폐지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고는 볼 수 없으므로,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원고가 위 양도약정을 함에 있어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였음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상법 제374조의 주주총회의 특별결의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1992. 12. 1.자 임대차계약에 관하여 원심은 원고들과 피고 사이에 1992. 12. 1. 이 사건 대지와 건물에 관하여 임차보증금을 12억 원, 월 차임을 1,200만 원, 임차기간을 5년간으로 하는 새로운 임대차계약이 체결된 사실 및 피고가 1993. 12.부터 월 차임 전액의 지급을 연체하고 있는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임대차계약이 불공정한 법률행위로서 무효라는 피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는바,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또한 차임증감에 관한 법리오해의 소론 주장은 원심이 적법하게 인정한 바와 다른 사실관계를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3. 매수청구권행사에 관하여 토지임차인의 차임연체 등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그 임대차계약이 해지되는 경우 토지임차인으로서는 토지임대인에 대하여 그 지상건물의 매수를 청구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당원 1996. 2. 27. 선고 95다29345 판결, 1994. 2. 22. 선고 93다44104 판결, 1991. 4. 23. 선고 90다19695 판결 등 참조). 토지임대차 기간만료시 임차인이 지상건물을 양도하거나 철거하기로 하는 약정은 당해 계약의 조건, 계약체결의 경위와 제반 사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임차인에게 불리하다고 볼 수 없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민법 제643조 소정의 임차인의 지상물매수청구권을 배제하기로 하는 약정으로서 임차인에게 불리한 것이므로, 민법 제652조의 규정에 의하여 무효라고 보아야 할 것임은 소론과 같으나, 이 사건에서와 같이 피고의 차임연체를 이유로 토지임대차계약이 해지되는 경우 피고로서는 원고들에 대하여 그 지상건물의 매수청구 자체를 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매수청구권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들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최종영(주심) 정귀호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건물 지었는데 땅 주인이 계약해지 한다고요? 건물 매수청구권, 이럴 땐 어려울 수 있어요!

토지 임대 후 건물을 지었더라도, 임대인 동의 없이 임차권을 양도하면 계약 해지될 수 있고, 해지 후 새로 계약을 맺더라도 건물 매수청구권 행사는 어려울 수 있다.

#건물매수청구권#임차권양도#계약해지#토지임대차

민사판례

건물주가 건물을 팔았어도, 세입자와의 약속은 지켜야 할까? - 임대차 계약과 소유권 상실

임대인이 건물을 팔았다고 해서 무조건 임대차계약을 이행할 수 없게 된 것은 아닙니다. 임대인의 의무는 세입자에게 건물 사용을 보장하는 것이지, 소유권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임대차계약#건물 매각#이행불능#소유권

민사판례

건물 철거 약속, 꼭 지켜야 할까요? 토지 임대차 계약 분쟁 이야기

토지 임대차 계약이 끝난 후, 임차인이 건물을 철거하지 않으면 건물 소유권이 임대인에게 넘어간다는 약정은 무효이며, 임대인의 계약 해지 사유가 임차인의 채무불이행일 경우 임차인은 건물 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또한, 임차인이 임차한 땅을 직접 점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임대인은 계약 종료에 따른 토지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토지임대차#건물철거#매수청구권#채무불이행

세무판례

건물 신축 후 임대하다 양도하면 부가가치세 내야 할까?

건물을 지어 잠깐 임대하다 판 경우, 임대사업의 양도로 보지 않고 부동산 매매로 보아 부가가치세를 내야 한다는 판결.

#건물신축#단기임대#양도#부동산매매

민사판례

내 땅에 세운 건물, 누구 건물일까요? - 토지 임대 후 건물 신축과 소유권 분쟁

임차인이 임대인 땅에 건물을 지어 장기간 사용 후 임대인에게 건물을 넘겨주기로 약정한 임대차 계약에서, 임차인의 차임 연체로 계약이 중도 해지된 경우, 임차인이 투입한 건축비용을 고려한 정산이 필요하다는 판례입니다. 단순히 건물을 넘겨주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건축비용 등을 정산해야 공평하다는 취지입니다.

#임대차#건축비#정산#계약해지

민사판례

건물 소유 목적 토지 임대차 분쟁, 임차인의 권리와 그 행사방법

건물 소유 목적의 토지 임대차 계약이 끝났을 때, 임차인이 건물을 매수할 수 있는 권리(매수청구권)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임차인이 언제든, 어떤 방식으로든 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고, 건물의 경제적 가치나 임대인에게 쓸모가 있느냐는 매수청구권 행사 요건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임대차 종료 전에 건물을 포기하기로 한 약정은 임차인에게 불리하면 효력이 없다고 봤습니다. 마지막으로, 임차인이 돈을 법원에 맡겼다는 공탁서를 제출했을 경우, 법원은 임차인이 그 금액만큼 돈을 지불했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보고 판단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토지임대차#건물매수청구권#행사요건#건물포기약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