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집행면탈

사건번호:

96도1531

선고일자:

199610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장래 발생할 특정의 조건부채권을 담보하기 위하여 부동산에 근저당권을 설정한 행위가 강제집행면탈죄의 '허위채무 부담'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피고인이 장래에 발생할 특정의 조건부채권을 담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부동산에 대하여 근저당권을 설정한 것이라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는 장래 발생할 진실한 채무를 담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고인의 위 행위를 가리켜 강제집행면탈죄 소정의 '허위의 채무를 부담'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구 형법(1995. 12. 29. 법률 제505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2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3. 5. 25. 선고 93다6362 판결(공1993하, 1856)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들 【원심판결】 서울지법 1996. 5. 22. 선고 94노2916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원심판결의 요지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 1은 1978. 3. 4. 전의이씨 군기시 판관공파(全義李氏 軍器恃 判官公派)종중으로부터 서울 강서구 신월동 154의 4(환지 전 같은 동 141의 2), 같은 동 154의 5(환지 전 같은 동 141의 4)를 매수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지 않은 상태에서 위 154의 4 대 507㎡는 1978. 7. 16.경 피고인 2에게 금 1,200만 원에, 위 154의 5 대 350㎡는 1988. 8. 12.경 피고인 3에게 금 800만 원에 각 매도하고 피고인들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 주었으나 동인들이 각 그 매수대금의 절반을 미납하자 그 무렵 피고인 1과 나머지 각 피고인 사이에 위 각 2분의 1 지분에 대하여 명의신탁한 것으로 합의하였는바, 피고인 2, 3이 위 대지들을 1982. 3. 7. 공소외 양상태에게 금 7,491만 원에 매도하여 동인이 동 대지 위에 연립주택 18세대를 건축하고 동 주택을 피해자 박상철 등 14명에게 분양한 후 공사 마무리가 일부 되지 아니하고 피고인 2, 3이 위 대지 대금을 수령하지 못한 상태에서 피해자들이 위 주택에 입주하여 살게 되자 피고인 2, 3이 피해자들을 상대로 한 가옥명도소송 및 지료청구소송이 계속되던 중 피해자들이 1990. 10.경 서울지방법원 남부지원에 피고인 2, 3을 상대로 같은 법원 90가합21736호로 소유권이전등기 등 청구소송을 제기하자, (1) 피고인 1, 2는 공모하여 명의신탁의 법리에 의하여 피해자들이 위 소송에서 승소할 경우 피고인 1은 위 154의 4 대지에 대한 사실상 소유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됨을 알고 피고인 1은 위 154의 4 대지의 2분 1 지분에 대한 명의신탁자일 뿐 피고인 2에 대하여 아무런 채권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동 강제집행을 면탈할 목적으로, 1992. 7. 21. 시불상경 서울 강서구 소재 서울민사지방법원 강서등기소에서 위 154의 4 대지에 관하여 채권최고액 4억 7천 4백만 원, 근저당권자 피고인 1로 하는 근저당권을 설정하여 허위채무를 부담하고, (2) 피고인 1, 3은 공모하여 위 제1항과 같은 이유로 피고인 1은 위 154의 5 대지의 2분의 1 지분에 대한 명의신탁자일 뿐 피고인 3에 대하여 아무런 채권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동 강제집행을 면탈할 목적으로, 1992. 7. 22. 시불상경 같은 장소에서 위 154의 5 대지에 관하여 채권최고액 3억 2천 7백만 원, 근저당권자 피고인 1로 하는 근저당권을 설정하여 허위채무를 부담한 사실을 인정하고, 피고인들의 그와 같은 행위를 강제집행면탈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시한 제1심판결을 판시와 같은 이유로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2. 판단 그러나 피고인들이 단순히 근저당권을 설정하였다는 것만 가지고는 강제집행면탈죄에 있어서 구성요건인 '허위의 채무를 부담'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원심이 인정한 사실관계에 의하면, 피고인 1은 이 사건 각 부동산에 대한 2분의 1 지분을 피고인 2, 3에게 각 그 명의를 신탁하였는데,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피해자들이 판시 소유권이전등기 청구소송에서 승소할 경우 피고인 1로서는 사실상 자기의 지분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되어 피고인 2, 3과 합의하여 이 사건 각 부동산에 대하여 근저당권자를 피고인 1로 하는 이 사건 근저당권을 각 설정하게 된 점을 알 수 있는바, 위 사실관계에 의하면 피고인 1은 피해자들이 판시 소유권이전등기 청구소송에서 승소하여 그 소유 명의를 이전하여 갈 경우 이 사건 각 부동산에 대한 자신의 내부적인 소유지분에 관한 권리를 상실하게 되는 대신 명의수탁자인 피고인 2, 3에 대하여 위 권리를 상실하므로 입게 될 손해배상청구권 또는 대금반환청구권을 취득하게 된다 할 것이므로 조인하이 자신의 피고인 정태설, 성유경에 대하여 장래에 발생할 특정의 위 조건부채권을 담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 사건 각 부동산에 대하여 위 각 근저당권을 설정한 것이라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는 장래 발생할 진실한 채무를 담보하기 위한 것으로 보여져 ( 대법원 1993. 5. 25. 선고 93다6362 판결 참조) 피고인의 위 행위를 가리켜 강제집행면탈죄 소정의 '허위의 채무를 부담'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 그렇다면 원심으로서는 피고인들이 위 근저당권을 설정한 것 외에 허위채무를 부담하였는지 여부와 이 사건 각 부동산에 대한 위 근저당설정 행위가 피고인 1의 위 채권을 담보하기 위한 것인지 여부를 심리한 다음, 피고인들의 위 행위가 강제집행면탈죄 소정의 '허위의 채무를 부담'하는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였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이에 이르지 아니한 채 그 판시와 같은 이유만으로 피고인들에게 유죄를 선고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음은 형법 제327조 소정의 허위채무의 부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심리를 다하지 아니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을 저질렀다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취지가 포함된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땅 주인의 건물 철거 요구와 강제집행 면탈죄

토지 주인이 건물 주인에게 건물을 철거하고 땅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권리가 있는 상황에서, 건물 주인이 거짓 빚을 만들어 건물에 근저당권을 설정해도 강제집행면탈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건물철거#토지인도청구권#강제집행면탈죄#근저당권

형사판례

빚 없는데 빚 있는 척하면 범죄? 강제집행면탈죄!

빚을 갚지 않으려고 가짜 빚을 만들어 다른 사람에게 근저당권을 설정해주면, 다른 재산이 조금 있더라도 강제집행면탈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강제집행면탈죄#허위근저당#다른재산

형사판례

내 땅도 아닌데, 근저당 설정해줬다가 말소하면 배임죄일까?

빚 담보로 제공한 부동산의 근저당 설정자가 서류를 위조하여 근저당 설정 등기를 직접 말소했더라도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근저당권#설정자#말소#배임죄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와 근저당, 내 땅은 안전할까?

매수인이 부동산에 붙어있는 대출금의 일부를 인수하고 나머지 매매대금은 현금으로 지급하는 계약을 맺은 경우, 매수인이 인수한 대출금을 제대로 갚지 않아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가 소유권을 잃더라도, 매도인이 자신의 몫의 대출금을 모두 갚았다면 매도인에게는 책임이 없다는 판결.

#부동산#대출금 인수#경매#담보책임

상담사례

빌린 돈도 없는데 내 땅에 근저당이 설정되었다면? 말소 가능할까요?

빌린 돈 없이 설정된 근저당은 실제 채무가 없으므로 '통정 허위 표시'로 무효이며, 말소 가능하다.

#근저당권#채무#말소#통정허위표시

민사판례

내 땅에 누구 빚 담보 잡힌 거야? 근저당 설정할 때 채무자를 잘못 알았다면?

근저당 설정 계약서에 실제 채무자와 다른 사람을 채무자로 알고 계약을 체결한 경우, 이는 계약의 중요한 부분에 대한 착오로 계약을 취소할 수 있다.

#근저당#착오#계약취소#채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