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7누10734

선고일자:

199804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근저당권자의 저당토지 경락취득이 구 지방세법시행령 제84조의4 제4항 제2호 본문 소정의 '채권보전용 토지 취득'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2] 구 지방세법시행령 제84조의4 제4항 제2호 단서 소정의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근저당권자가 피담보채권을 회수하기 위한 경매절차에서 경락취득한 토지라면 채권을 보전할 목적으로 토지를 취득한 것임이 분명하므로, 구 지방세법시행령(1995. 12. 30. 대통령령 제1487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4조의4 제4항 제2호 본문 소정의 '채권보전용 토지'에 해당한다. [2] 근저당권자가 피담보채권을 회수하기 위한 경매절차에서 토지를 경락취득한 후 공인중개사에게 그 매각을 의뢰하였다가 한 달여만에 경락가액보다 높은 채권최고액의 근저당권을 설정한 후 대출을 받았고 그로부터 4, 5개월 이후에는 더 이상의 적극적인 매각노력을 하지 아니하여, 그 때부터는 사실상 매각을 포기한 것이나 다름 없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위 근저당권자는 토지의 매각을 위하여 진지한 노력을 다하였다고 볼 수 없어 위 토지가 구 지방세법시행령 제84조의4 제4항 제2호에서 정하는 유예기간 내에 매각되지 아니한 데 대하여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할 수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지방세법 제112조 제2항 , 구 지방세법시행령(1995. 12. 30. 대통령령 제1487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4조의4 제1항, 제2항제4항 제2호 / [2] 지방세법 제112조 제2항 , 구 지방세법시행령(1995. 12. 30. 대통령령 제1487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4조의4 제4항 제2호

참조판례

[1] 대법원 1993. 1. 15. 선고 92누6525 판결(공1993상, 751) /[2] 대법원 1997. 12. 12. 선고 97누14217 판결(공1998상, 346)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주식회사 민성상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삼흥종합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황길수 외 3인) 【피고,피상고인】 제주시장 (소송대리인 변호사 현영두) 【원심판결】 광주고법 1997. 6. 20. 선고 (제주)96구473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기간 경과 후에 제출된 보충상고이유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본다. 구 지방세법시행령(1994. 12. 31. 대통령령 제14481호로 개정되고 1995. 12. 30. 대통령령 제1487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시행령'이라고 한다) 제84조의4 제4항은 법인의 비업무용 토지로 보지 아니하는 토지를 규정하면서 그 제2호에서 '채권을 보전하거나 행사할 목적으로 취득하는 토지'를 들고 '다만, 취득 후 1년 이내에 정당한 사유 없이 매각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내세운 증거에 의하여, 일본에 김치, 완구 등을 수출하는 법인인 원고가 소외 주식회사 중이실업(이하 소외 회사라고 한다)에 대한 금 132,000,000원 상당의 선수금 채권을 담보하기 위하여 1993. 9. 20. 소외 회사의 대표이사 소유의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근저당권을 설정받았는데 소외 회사의 부도로 같은 해 11. 13. 이 사건 토지에 대하여 경매신청을 하여 그 경매절차에서 1차 유찰되자 1994. 9. 5. 이 사건 토지를 금 204,071,000원에 낙찰받고 같은 달 30. 원고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다음, 같은 해 10. 27. 소외 주식회사 국민은행에 이 사건 토지를 담보로 제공하여 채권최고액 금 240,000,000원의 근저당권을 설정하고 대출을 받은 사실, 원고는 이 사건 토지를 경락받은 직후부터 공인중개사를 통하여 이를 매각하려고 하였으나 이 사건 토지가 자연녹지지역 내에 위치한 임야로서 공로에 접하여 있지 아니한 데다가, 부동산 경기침체 등으로 인하여 원고가 제시하는 가격에 매수하려는 사람이 나타나지 아니하여 원심 변론종결일까지 매각되지 아니하고 있는 사실을 각 인정한 다음, 이 사건 토지는 위 규정이 정하는 채권보전용 토지에 해당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그 취득 후 1년 이내에 매각되지 아니한 데 대하여 정당한 사유도 없다고 하여 원고의 고유업무에 직접 사용하지 아니하는 이 사건 토지를 법인의 비업무용 토지로 보아 취득세를 중과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원심이 인정한 사실관계에 의하더라도 이 사건 토지는 원고가 근저당권자로서 피담보채권을 회수하기 위한 경매절차에서 경락취득한 토지라는 것이어서 원고가 위 채권을 보전할 목적으로 이 사건 토지를 취득한 것임이 분명하므로(당원 1993. 1. 15. 선고 92누6525 판결 참조) 이 사건 토지는 위 규정에서 정하는 채권보전용 토지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그런데도 원심이 이 사건 토지가 이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본 것은 위 규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결과라 할 것이고, 따라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일단 이유가 있다고 할 것이다. 한편 위 규정이 채권보전용 토지를 원칙적으로 비업무용 토지에서 제외하면서 그 토지에 대하여 유예기간 내에 매각할 의무를 부여하고 있는 것은 법인이 고유목적 이외의 토지를 보유함으로 인한 비생산적인 투기의 조장을 방지하여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꾀하려는 데에 있는 것이므로, 위 규정에서 정하는 정당한 사유의 유무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위와 같은 규정 취지를 충분히 고려하면서 당해 법인의 성격, 토지의 취득 경위 및 가액, 매각을 어렵게 하는 법령상·사실상의 장애사유 및 장애정도, 당해 법인이 토지를 매각하기 위하여 진지한 노력을 다하였는지 여부 등을 참작하여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인바(당원 1997. 12. 12. 선고 97누14217 판결 참조), 원심이 인정한 사실관계와 기록에 의하면 원고가 이 사건 토지를 경락취득한 후 공인중개사에게 그 매각을 의뢰하였다가 한 달여만에 경락가액보다 높은 채권최고액의 근저당권을 설정한 후 대출을 받았고 그로부터 4, 5개월 이후에는 더 이상의 적극적인 매각노력을 하지 아니하였음을 알 수 있어 그 때부터는 사실상 매각을 포기한 것이나 다름 없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원고가 이 사건 토지의 매각을 위하여 진지한 노력을 다하였다고 볼 수 없어 이 사건 토지가 위 규정에서 정하는 유예기간 내에 매각되지 아니한 데 대하여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이 사건 토지는 위 규정에서 정하는 비업무용 토지에서 제외되는 토지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할 것이고, 따라서 원고의 고유업무에 직접 사용하지 아니하는 이 사건 토지는 비업무용 토지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이와 결론을 같이 한 원심은 정당하고, 앞서 본 법리오해의 점은 판결 결과에 아무런 영향을 줄 수 없으므로 결국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종영(재판장) 이돈희 이임수(주심) 서성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공짜로 넘겨받은 채권으로 땅 낙찰받으면 세금 내야 할까?

빚 담보로 잡힌 부동산의 근저당권을 공짜로 받아 경매로 그 부동산을 낙찰받으면, 세금을 내야 한다.

#무상취득#근저당권#경매#부동산

일반행정판례

은행이 채권보전용으로 취득한 토지, 업무용으로 잠깐 사용하려다 매각해도 취득세 중과 대상 아니다!

은행이 돈을 빌려주고 담보로 잡은 토지를 경매로 낙찰받아 출장소 용도로 검토했으나, 계획을 변경하여 일정 기간 내에 매각한 경우, 해당 토지는 취득세 중과 대상인 비업무용 토지가 아니다.

#취득세 중과#비업무용 토지#채권보전#은행

세무판례

은행이 채권보전 목적으로 취득한 토지, 업무용 전환 결의만으로 취득세 중과 대상이 될까?

은행이 빚을 회수하기 위해 압류한 땅을 자기네 업무용으로 쓰기로 이사회에서 결정했더라도, 실제로 업무에 사용하기 전까지는 세금 혜택을 받는 기간이 끝나더라도 바로 비업무용 토지로 보고 추가 세금을 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채권보전용 토지#비업무용 토지#취득세 중과세 유예#이사회 결의

세무판례

회사가 빚 담보로 땅을 받았는데, 왜 취득세 중과를 걱정해야 할까?

회사가 돈을 빌려주고 담보로 토지를 받았는데, 돈을 돌려받기 전에 그 토지를 팔지 않았다고 취득세를 더 내라고 한 것은 부당하다는 판결입니다. 돈을 돌려받기로 한 날짜가 지나야 토지를 팔 수 있기 때문에 팔지 않은 데에는 '정당한 사유'가 있다는 것입니다.

#양도담보#취득세 중과#정당한 사유#변제기

세무판례

회사가 빚 받으려고 땅 샀는데, 1년 안에 못 팔면 세금 더 내야 할까요?

회사가 빚을 받기 위해 담보로 잡았던 땅을 경매로 낙찰받았는데, 1년 안에 팔지 못했다면 무조건 비업무용 토지로 보고 세금을 더 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회사의 특성, 땅을 취득하게 된 경위, 매각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비업무용 토지#채권보전#담보#경매

세무판례

회사 땅, 그냥 사면 세금폭탄?! 비업무용 토지 취득세 중과, 정당한 사유 인정은 까다롭다!

회사가 사업 목적이 아닌 토지를 사면 취득세를 더 내야 하는데, 이 판례는 그 기준을 강화한 법 조항이 정당하고, 회사가 토지 취득 시 사용 제한 사유를 알았다면 그 사유로 취득세 감면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비업무용 토지#취득세 중과#명신비료#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