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97다35115
선고일자:
199712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주점의 손님이 맡겨 둔 자동차 열쇠를 그 주점의 도급 마담의 종업원이 주점 경영주의 승낙 없이 가지고 나가 자동차를 무단으로 운전하다가 일으킨 사고에 대하여 주점 경영주의 운행자로서의 책임을 인정한 사례
손님으로부터 주점 주차장에 주차시킨 승용차 열쇠의 보관을 의뢰받은 주점 경영주가 그 승용차 열쇠를 주점 안에 있는 열쇠함에 넣어 두고 퇴근하면서 주점의 도급 마담의 종업원으로 일하며 주점 기숙사에서 숙식하던 자에게 다음날 아침 손님이 승용차를 찾으러 오면 열쇠를 돌려주라고 말하고 그대로 퇴근하였는데, 그 종업원이 친구를 만나러 가기 위하여 함부로 열쇠함에서 그 승용차 열쇠를 꺼내어 승용차를 운전하다가 사고를 낸 사안에서, 주점의 경영주는 손님으로부터 승용차와 승용차 열쇠를 맡아 보관하게 됨으로써 그 승용차에 대한 관리권을 가지고 운행지배와 운행이익을 향유하게 되었으며, 비록 사고가 도급 마담의 종업원이 그의 승낙 없이 무단으로 승용차를 운행하다가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위와 같은 위 승용차 열쇠의 보관 및 관리 상태, 종업원이 승용차를 운행하게 된 경위, 주점 경영주와 종업원과의 관계 등에 비추어 볼 때 위 사고에 있어서 주점 경영주의 위 승용차에 대한 운행지배와 운행이익이 완전히 상실되었다고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
【원고,피상고인】 김성은 외 4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한대삼)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1997. 6. 25. 선고 96나50925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피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소외 강은경이 1993. 12. 23. 19:30경 자신의 모 소외 윤화선 소유의 이 사건 승용차를 운전하여 피고 경영의 이 사건 주점에 가서, 그 곳에서 주점 손님들의 차량을 주차해 주면서 술에 취한 손님들을 위하여 대리운전을 하던 제1심 공동피고 1에게 승용차 열쇠를 맡기고 술을 마신 후, 같은 날 23:00경 주점에서 나오면서 주점 영업사장인 제1심 공동피고 2와 제1심 공동피고 1에게 자신은 술을 마셔서 운전할 수 없으니 위 승용차를 주점 주차장에 그대로 주차시켜 두고 다음날 아침에 찾아가겠다고 말하고 위 승용차 열쇠를 계속 보관시킨 채 귀가한 사실, 1심 공동피고 1, 2는 위 승용차 열쇠를 위 주점 안에 있는 열쇠함에 넣어 두고 퇴근하면서 위 주점의 도급 마담인 소외 최미란 밑에서 웨이터보조로 일하며 주점 기숙사에서 숙식하던 제1심 공동피고 3에게 다음날 아침 위 강은경이 위 승용차를 찾으러 오면 위 승용차 열쇠를 돌려주라고 말하고 그대로 퇴근한 사실, 위 제1심 공동피고 3은 같은 달 24. 04:45경 위 주점에서 웨이터로 같이 일하던 소외 손민구와 동인의 여자 친구를 만나러 가기 위하여 함부로 열쇠함에서 위 승용차 열쇠를 꺼내어 위 승용차를 운전하다가 이 사건 사고를 낸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는 위 주점의 경영주로서 위 김정채 등을 통하여 손님인 위 강은경으로부터 위 승용차와 승용차 열쇠를 맡아 보관하게 됨으로써 위 승용차에 대한 관리권을 가지고 운행지배와 운행이익을 향유하게 되었으며, 한편 위 정경일이 피고의 승낙 없이 무단으로 위 승용차를 운행하다가 위 사고를 일으켰다 하더라도 위와 같은 위 승용차 열쇠의 보관 및 관리 상태, 위 정경일이 위 승용차를 운행하게 된 경위, 위 정경일과 피고의 관계 등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사고에 있어서 피고의 위 승용차에 대한 운행지배와 운행이익이 완전히 상실되었다고 볼 수 없다 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 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 내지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에 정한 자기를 위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성택(재판장) 천경송(주심) 지창권 송진훈
상담사례
음주 후 대리운전 이용 중 사고 발생 시, 운행지배와 운행이익을 얻는 차주에게 우선 책임이 있으며, 차주는 대리기사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
민사판례
술을 마시거나 운전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다른 사람에게 대리운전을 시켰는데 사고가 났다면, 차 주인은 여전히 책임을 져야 한다. 대리운전자가 지인이나 종업원이더라도 마찬가지다.
상담사례
차 수리 후 정비소 직원의 시운전 사고로 인한 사망 사고 발생 시, 차주는 수리 과정에 관여하지 않았다면 책임이 없고, 운행지배권을 가진 정비소 사장과 사고 당사자인 직원이 책임을 진다.
민사판례
친구의 택시를 몰래 운전하다 사고를 낸 경우, 택시 주인이 차 열쇠 관리를 소홀히 하지 않았다면 공제조합은 보상 책임을 져야 한다. '도난'의 의미는 형법상 절도죄보다 넓게 해석된다.
민사판례
업무 때문에 늦게까지 남은 직원을 동료가 회사차로 데려다주다 사고가 났을 때, 회사의 관리 소홀 등을 고려하여 회사에도 책임이 있다고 판결한 사례. 단순히 무단 운전이라는 이유만으로 회사의 책임을 면하게 할 수는 없다.
민사판례
타인이 허락 없이 차를 운전하다 사고를 냈을 때, 차량 소유자는 차량 관리를 소홀히 한 책임이 있다면 사고에 대한 배상 책임을 져야 합니다. 이 판례에서는 차량 소유 회사가 열쇠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직원 아닌 사람이 차를 몰고 가 사고를 낸 경우, 소유 회사가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특히, 사람이 다친 것 뿐 아니라 차량 파손 등 물적 피해에 대해서도 배상 책임이 있다고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