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

사건번호:

97다58453

선고일자:

199811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민법 제742조 소정의 비채변제의 적용 요건 [2] 구 하천법 시행 당시 이미 하천구역으로 편입된 토지에 대하여 지방자치단체가 개정된 하천법 부칙 제2조에 기하여 자신에게 보상책임이 있는 것으로 오인하여 보상금을 지급한 경우,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성립 여부(적극) [3] 구 하천법 시행 당시 이미 하천구역으로 편입된 토지에 대하여 지방자치단체가 개정된 하천법 부칙 제2조에 기하여 자신에게 보상책임이 있는 것으로 오인하여 보상금을 지급한 경우, 도의관념에 적합한 비채변제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4] 지방자치단체가 구 하천법 시행 당시 이미 하천구역으로 편입된 토지에 대하여 착오로 공탁한 보상금을 토지 소유자가 수령한 경우,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

판결요지

[1] 민법 제742조 소정의 비채변제에 관한 규정은 변제자가 채무 없음을 알면서도 변제를 한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고, 채무 없음을 알지 못한 경우에는 그 과실 유무를 불문하고 적용되지 아니한다. [2] 개정된 하천법(1971. 1. 19. 법률 제2292호)의 시행으로 인하여 하천구역으로 편입되어 사권을 상실한 토지 소유자에 대한 보상을 위하여 하천법중개정법률(1984. 12. 31. 법률 제3782호) 부칙 제2조 및 이에 근거한 법률 제3782호하천법중개정법률부칙제2조의규정에의한하천법편입토지의보상에관한규정(1986. 6. 12. 대통령령 제11919호)이 시행되자, 지방자치단체가 구 하천법(1971. 1. 19. 법률 제22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에 의하여 이미 하천구역으로 편입된 토지에 대하여는 위 법령에 근거한 보상금을 지급하여야 할 아무런 의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토지에 대하여도 자신에게 보상책임이 있는 것으로 잘못 알고 위 토지에 대한 보상금을 변제공탁하고 위 토지 소유자가 공탁금을 출급한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자신에게 위 토지에 대한 보상의무가 없음을 알지 못한 데에 어떠한 과실이 있다 하더라도 위 토지 소유자에 대하여 그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3] 구 하천법(1971. 1. 19. 법률 제22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시행 당시 이미 하천구역으로 편입되어 그 보상금을 지급하여야 할 아무런 의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가 법령을 잘못 해석하여 자신에게 그 보상의무가 있는 것으로 알고 그 보상금 상당액을 공탁하여 위 토지 소유자가 이를 수령한 경우, 이는 채무자 아닌 자가 착오로 인하여 타인의 채무를 변제한 것이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바, 위 토지가 하천구역으로 편입됨으로써 토지 소유자가 소유권을 상실하였고 위 공탁금이 위 토지에 대한 보상금으로 공탁된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유만으로 채무자도 아닌 지방자치단체가 한 위 변제공탁이 도의관념에 적합한 비채변제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4] 지방자치단체가 구 하천법(1971. 1. 19. 법률 제22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시행 당시 하천구역에 편입된 토지에 대하여 착오로 공탁한 보상금을 토지 소유자가 수령한 경우, 공탁금의 출급으로 인한 지방자치단체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은 위 토지 소유자가 위 공탁금을 출급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회수할 수 없게 된 때에 발생하고 그 소멸시효 또한 그 때부터 진행한다.

참조조문

[1] 민법 제742조/ [2] 민법 제741조, 제742조, 하천법중개정법률(1984. 12. 31. 법률 제3782호) 부칙 제2조/ [3] 민법 제744조, 제745조, 하천법중개정법률(1984. 12. 31. 법률 제3782호) 부칙 제2조/ [4] 민법 제166조 제1항, 제741조, 하천법중개정법률(1984. 12. 31. 법률 제3782호) 부칙 제2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서울특별시 (소송대리인 변호사 곽창욱)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7. 11. 21. 선고 97나30891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제1점에 대하여 민법 제742조 소정의 비채변제에 관한 규정은 변제자가 채무 없음을 알면서도 변제를 한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고, 채무 없음을 알지 못한 경우에는 그 과실 유무를 불문하고 적용되지 아니한다 할 것이다. 원심이 적법하게 인정한 사실관계에 의하면, 이 사건 각 토지는 구 하천법(1971. 1. 19. 법률 제22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시행 당시 건설부고시(제897호)에 의하여 이미 하천구역으로 편입된 토지인데, 개정된 하천법(1971. 1. 19. 법률 제2292호)의 시행으로 인하여 하천구역으로 편입되어 사권을 상실한 토지 소유자에 대한 보상을 위하여 하천법중개정법률(1984. 12. 31. 법률 제3782호) 부칙 제2조 및 이에 근거한 법률 제3782호 하천법중개정법률부칙제2조의규정에의한하천법편입토지의보상에관한규정(1986. 6. 12. 대통령령 제11919호)이 시행되자, 원고는 이 사건 각 토지와 같이 구 하천법에 의하여 이미 하천구역으로 편입된 토지에 대하여는 위 법령에 근거한 보상금을 지급하여야 할 아무런 의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토지에 대하여도 자신에게 보상책임이 있는 것으로 잘못 알고 피고 앞으로 이 사건 토지에 대한 보상금을 변제공탁하자 피고가 공탁금을 출급하였다는 것인바, 사실관계가 그러하다면, 원고가 자신에게 이 사건 각 토지에 대한 보상의무가 없음을 알지 못한 데에 어떠한 과실이 있다 하더라도 원고는 피고에 대하여 그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원심이 원고가 위 보상금 상당액을 공탁한 것은 중대한 과실로 그 보상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음을 알지 못함으로 인한 것이므로 민법 제742조 소정의 비채변제에 해당하여 그 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는 피고의 주장을 배척한 것은, 그 이유 설시에 있어 다소 미흡한 점이 있으나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비채변제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제2점에 대하여 앞서 본 바와 같이, 이 사건 각 토지가 구 하천법 시행 당시 하천구역으로 편입되어 원고에게 그 보상금을 지급하여야 할 아무런 의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원고가 법령을 잘못 해석하여 자신에게 그 보상의무가 있는 것으로 알고 그 보상금 상당액을 공탁하여 피고가 이를 수령한 것이라면 이는 채무자 아닌 자가 착오로 인하여 타인의 채무를 변제한 것이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원고는 그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할 것인바, 이 사건 각 토지가 하천구역으로 편입됨으로써 피고가 소유권을 상실하였고, 위 공탁금이 위 각 토지에 대한 보상금으로 공탁된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유만으로 채무자도 아닌 원고가 한 위 변제공탁이 도의관념에 적합한 비채변제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비채변제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3. 제3점에 대하여 원심은, 이 사건 공탁금의 출급으로 인한 원고의 피고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은 피고가 위 공탁금을 출급하여 원고가 이를 회수할 수 없게 된 때에 발생하고 그 소멸시효 또한 그 때부터 진행한다고 전제한 다음, 피고가 위 공탁금을 출급한 날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인 1995. 6. 26. 이 사건 소를 제기한 이상 소멸시효는 완성되지 아니하였다고 판단하고 있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멸시효의 완성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논지도 이유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성택(재판장) 천경송(주심) 송진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내 땅이 하천구역으로 편입되었어요! 보상은 어떻게 받나요?

개인 땅이 하천 구역으로 편입되어 사용에 제한이 생기더라도, 국가에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는 없다. 법에 따른 손실보상을 받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이다.

#준용하천구역#부당이득반환청구 불가#손실보상#적법 편입

일반행정판례

하천 편입 토지 보상, 진짜 주인에게!

과거 하천 구역으로 편입된 토지에 대해 국가가 잘못된 사람에게 보상금을 지급했더라도, 진짜 소유주는 국가에 다시 보상금을 청구할 수 있다.

#하천#편입토지#손실보상청구권#진정한 소유자

일반행정판례

내 땅이 하천으로 편입되었는데 보상은 누가? 어떻게?

하천 편입 토지에 대한 보상을 받으려면 토지가 하천에 편입될 당시의 소유자이거나 그 권리를 이어받은 사람이어야 합니다. 보상액은 원칙적으로 편입 당시의 토지 상태를 기준으로 계산하지만, 당시 상황을 알 수 없다면 현재 상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하천 편입 토지#보상 청구권자#보상액 평가 기준#편입 당시

일반행정판례

옛날에 하천 된 내 땅, 보상받을 수 있을까?

1971년 7월 20일부터 1984년 12월 31일 사이에 하천 구역으로 편입된 토지에 대해서는 등기 여부와 관계없이 보상받을 수 있으며, 보상 절차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경우 소송을 통해 보상받을 수 있다.

#하천 편입 토지 보상#1971년~1984년#등기 여부 무관#소송 가능

일반행정판례

하천 편입 토지 보상, 누가 받을 수 있을까?

과거 하천으로 편입된 토지에 대한 보상과 관련하여, 국가가 잘못된 사람에게 보상금을 지급했더라도 진짜 소유자에게 다시 보상해야 하며, 보상금은 원칙적으로 편입 당시 토지 상태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는 판결.

#하천편입토지#보상금#지급대상#실소유자

일반행정판례

하천 구역 편입 토지에 대한 보상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국가가 하천 관리를 위해 개인 땅을 하천 구역에 편입시킬 때, 토지 소유주에게는 적절한 보상을 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준용하천(국가하천이나 지방하천이 아닌 하천)의 제외지(하천 구역 바깥쪽 땅) 편입에 대한 보상 기준을 제시하고, 한번 내려진 법원 판결의 효력을 행정기관이 어떻게 따라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준용하천#제외지#편입#손실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