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이의

사건번호:

98다18643

선고일자:

199807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제한물권이 혼동에 의하여 소멸하지 않는 경우

판결요지

어떠한 물건에 대한 소유권과 다른 물권이 동일한 사람에게 귀속한 경우 그 제한물권은 혼동에 의하여 소멸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본인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하여 그 제한물권을 존속시킬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민법 제191조 제1항 단서의 해석에 의하여 혼동으로 소멸하지 않는다.

참조조문

민법 제19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62. 5. 3. 선고 62다98 판결, 대법원 1995. 12. 26. 선고 95다29888 판결(공1996상, 532)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경인실업 주식회사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8. 3. 25. 선고 97나59465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어떠한 물건에 대한 소유권과 다른 물권이 동일한 사람에게 귀속한 경우 그 제한물권은 혼동에 의하여 소멸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본인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하여 그 제한물권을 존속시킬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민법 제191조 제1항 단서의 해석에 의하여 혼동으로 소멸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바와 같이,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소외 한국주택은행이 1994. 4. 21. 선순위 근저당권을 취득한 후 원고가 1995. 6. 1. 후순위 근저당권을 취득하였고, 이어서 피고 경인실업 주식회사가 1995. 6. 30.에, 피고 2가 1995. 11. 22.에 차례로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가압류등기를 경료한 다음, 1995. 12. 30.에 이르러 원고가 이 사건 부동산을 매수하여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에 있어서, 원고의 후순위 근저당권이 혼동으로 소멸하게 된다면, 피고들은 이로 인하여 부당한 이득을 얻게 되는 반면 원고는 손해를 보게 되는 불합리한 결과가 되므로, 위의 법리에 따라 원고의 근저당권은 그 이후의 소유권 취득에도 불구하고 혼동으로 소멸하지 아니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혼동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상고이유는 그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지창권 신성택(주심) 송진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내 집인데 내 보증금 못 받는다고? 혼동? 그게 뭔데?!

집주인과 세입자가 동일인이 되더라도, 전세 계약이 법적 요건을 갖춰 다른 채권자들에게 효력이 있고(대항력), 그 이후에 집에 근저당이 설정되었다면 전세금은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전세금#집주인#세입자#동일인

상담사례

내 집 샀는데, 세입자 권리는 어떻게 되나요? 혼동에 의한 임차권 소멸?!

세입자가 자신이 살던 집을 사더라도, 제3자의 근저당권이 설정된 경우 기존 세입자 권리는 소멸하지 않고 보호된다.

#임차권#혼동#제3자#근저당권

민사판례

공유지분 경매, 남을 가망이 있을까? - 혼동과 경매 이야기

채무자가 여러 개의 공유지분을 가지고 있고, 채권자가 그 지분 전체에 대해 강제집행을 하는 경우, 일부 지분에서 배당받을 가능성이 없더라도 다른 지분에서 배당받을 가능성이 있으면 경매는 유효합니다. 소유권과 다른 권리가 같은 사람에게 있는 경우(혼동), 일반적으로 그 권리는 소멸하지만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존속할 수 있습니다.

#공유지분 경매#남을 가망#혼동#근저당권

민사판례

건물과 전세권에 설정된 근저당, 하나로 묶어 볼 수 있을까?

하나의 빚을 갚기 위해 여러 개의 근저당을 설정한 경우, 등기부에 공동근저당이라고 명시하지 않았더라도 공동근저당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계약 해제 전에 권리를 취득한 제3자는 계약 해제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공동근저당#계약해제#제3자 보호#가등기

민사판례

건물 지었는데 왜 내 땅이 경매로 넘어가나요? - 저당권과 점유권의 충돌

저당 잡힌 땅을 빌린 사람이 그 땅에 건물을 지었다고 해서 무조건 저당권 침해는 아닙니다. 저당권자의 권리 행사를 방해하려는 의도가 있었는지, 실제로 방해했는지가 중요합니다.

#저당권#건물 신축#세입자#고의

민사판례

공동저당 부동산, 후순위저당권자의 대위권은 어디까지?

여러 부동산에 걸쳐 설정된 공동저당에서 일부 부동산이 먼저 경매될 경우, 나머지 부동산에 대한 후순위저당권자의 대위권 행사는 제한될 수 있다. 특히, 후순위저당권자가 대위등기를 하기 전에 선순위저당권이 말소되고 새로운 사람이 소유권 등을 취득한 경우, 후순위저당권자는 그 사람에게 대위권을 주장할 수 없다.

#공동저당#후순위저당권#대위권#대위등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