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총회결의무효확인

사건번호:

98다35754

선고일자:

199812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재개발조합 총회의 임원선임결의에 의하여 선임된 임원들이 모두 사임하고 새로운 총회결의에 의하여 후임 임원이 선출되었을 경우, 당초의 임원선임결의에 대하여 부존재 혹은 무효확인을 구할 법률상 이익의 유무(한정소극)

판결요지

재개발조합 총회의 당초 임원선임결의에 의하여 선임된 임원들이 모두 사임하고 새로운 총회결의에 의하여 후임 임원이 선출되었을 경우에는 설사 당초의 임원선임결의가 부존재 혹은 무효라고 할지라도 이에 대한 확인을 구하는 것은 과거의 법률관계 내지 권리관계의 확인을 구하는 것에 불과하여 권리보호의 요건을 결여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고, 다만 새로운 총회결의가 하자로 인하여 부존재 또는 무효임이 인정되거나 그 결의가 취소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당초의 임원선임결의의 부존재 혹은 무효확인을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다고 할 것이나, 새로운 총회가 당초 임원선임결의에 의하여 선임된 임원에 의하여 소집된 총회이므로 무권리자에 의하여 소집된 총회라는 사유는 그 무효사유로 볼 수 없다 할 것인바, 만약 이를 무효사유로 본다면 최초의 임원선임결의의 무효로 인하여 연쇄적으로 그 후의 결의가 모두 무효로 되는 결과가 되어 법률관계의 혼란을 초래하고 법적안정성을 현저히 해하게 되기 때문이다.

참조조문

도시재개발법 제13조 , 제21조 , 민법 제68조 , 민사소송법 제22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 2. 28. 선고 91다8715 판결(공1992, 1149), 대법원 1995. 2. 24. 선고 94다50427 판결(공1995상, 1439), 대법원 1995. 7. 28. 선고 93다61338 판결(공1995하, 2958), 대법원 1996. 10. 11. 선고 96다24309 판결(공1996하, 3321)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김충웅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학만) 【피고,피상고인】 중계4-1지구주택개량재개발조합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소망 담당변호사 임순명 외 4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8. 6. 16. 선고 97나20801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재개발조합 총회의 당초 임원선임결의에 의하여 선임된 임원들이 모두 사임하고 새로운 총회결의에 의하여 후임 임원이 선출되었을 경우에는 설사 당초의 임원선임결의가 부존재 혹은 무효라고 할지라도 이에 대한 확인을 구하는 것은 과거의 법률관계 내지 권리관계의 확인을 구하는 것에 불과하여 권리보호의 요건을 결여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고, 다만 새로운 총회결의가 하자로 인하여 부존재 또는 무효임이 인정되거나 그 결의가 취소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당초의 임원선임결의의 부존재 혹은 무효확인을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다고 할 것이나, 새로운 총회가 당초 임원선임결의에 의하여 선임된 임원에 의하여 소집된 총회이므로 무권리자에 의하여 소집된 총회라는 사유는 그 무효사유로 볼 수 없다 할 것이다. 만약 이를 무효사유로 본다면 최초의 임원선임결의의 무효로 인하여 연쇄적으로 그 후의 결의가 모두 무효로 되는 결과가 되어 법률관계의 혼란을 초래하고, 법적안정성을 현저히 해하게 되기 때문이다(대법원 1995. 7. 28. 선고 93다61338 판결, 1996. 10. 11. 선고 96다24309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피고 조합의 1996. 12. 20.자 정기총회(이하 제1차 총회라 한다)에서 원고를 조합장으로 선임하였다가 1997. 1. 15.자 임시총회(이하 제2차 총회라 한다)에서 원고에 대한 불신임을 결의하고 소외 고석주를 조합장으로, 소외 박영준 외 9명을 이사로, 소외 박용식 외 10명을 대의원으로 각 선임하는 결의가 이루어졌는데, 원고가 제2차 총회결의의 무효확인을 구함에 대하여, 원심은, 제2차 총회에서 조합장으로 선출된 위 고석주는 1998 4. 22. 조합원 전체의 이익과 화합을 도모한다는 이유로 조합장을 사직하였고, 피고 조합 정관 제15조 제2항에 의하여 조합장 직무대행자가 된 상근이사 박영준이 소집한 1998. 5. 2.자 임시총회(이하 제3차 총회라 한다)에서 위 고석주를 조합장으로, 위 박영준 외 9명을 이사로 각 선출하고, 대의원들도 조합원들의 사전동의에 의하여 위 고석주가 이사들과 협의하여 새로 선임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제2차 총회결의의 무효확인을 구하는 것은 권리보호의 이익이 없다는 이유로 이 사건 소를 각하하였는바,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정당하고, 위 3차 총회를 소집한 상근이사 박영준이 선임된 2차 총회의 하자가 있다 하더라도 거기에 임원선임결의에 대한 법리오해, 판례 위반, 이유불비 내지 모순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소론은 또한, 원심이 제3차 총회는 피고 조합의 조합원 318명 중 186명(위임자 10명 포함)이 참석하여 개회되었다고 인정한 데 대하여, 피고 조합의 조합인가 조합원수가 373명이므로 제3차 총회의 참석자 186명은 정관 제19조 제1항이 정한 의사정족수인 과반수에 미달하여 제3차 총회결의는 무효라는 것이나, 의사정족수는 총회 당시의 조합원수를 기준으로 하여야 하고 조합설립인가 당시의 조합원수를 기준으로 할 것은 아니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제2점에 대하여 제2차 총회결의가 무효 또는 부존재라는 취지의 본안에 대한 상고 논지는 원심이 이 사건 소를 각하하면서 판결의 결론에 영향없이 부수적으로 판단한 내용에 대한 것이므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박준서(주심) 서성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재개발조합 총회 결의와 조합원 지위 승계에 관한 이야기

재개발조합 총회에서 이전 결의를 재확인하는 결의가 있었다면, 이전 결의의 하자를 이유로 무효확인을 구할 수 없다. 또한, 분양받은 조합원이 부동산을 처분하더라도 조합원 지위는 자동으로 승계되지 않고, 조합에 신고와 승낙 절차를 거쳐야 한다.

#재개발조합#총회결의#재인준#효력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사업 변경 후, 이전 총회 결의에 대한 소송, 가능할까?

재개발 사업에서 사업계획과 관리처분계획이 변경되어 새롭게 인가를 받았다면, 이전 총회 결의의 효력을 다투는 소송은 할 수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이미 변경된 계획에 대한 행정 처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전 총회 결의의 무효 확인을 구하는 것은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재개발#총회결의#무효확인소송#사업계획변경

민사판례

이미 끝난 일, 다시 따질 필요 있을까요? - 주주총회 임원 선임 결의 취소 소송

주주총회에서 선임된 임원이 모두 사임하고, 새로운 주주총회에서 후임 임원이 선출되어 등기까지 마쳤다면, 이전 주주총회 결의에 하자가 있더라도 그 결의를 취소하는 소송은 실익이 없어 소송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주주총회#임원#사임#후임

형사판례

재개발·재건축 조합 임원 선임과 소송비용, 법대로 알아보기

* **총회 결의의 하자:** 재개발·재건축 조합 임원 선임 시 형식적인 총회 의결을 거쳤더라도 그 결의에 무효 등의 하자가 있으면 법 위반이다. * **소송비용 지급의 정당성:** 조합 임원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에 대해 조합이 항쟁하는 것은 정당하며, 이에 필요한 소송비용을 조합 예산으로 지급하는 것은 횡령이 아니다.

#재개발·재건축#조합 임원 선임#총회 결의 하자#소송비용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사업시행계획 변경과 소송 이익: 기존 계획의 무효확인 소송은 어떻게 될까?

기존 사업시행계획에 하자가 있어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했는데, 그 사이 새로운 사업시행계획이 인가되었다면 기존 계획의 무효확인 소송은 더 이상 의미가 없어지는 걸까요? 대법원은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새로운 계획이 수립되었다 하더라도 기존 계획을 전제로 이루어진 후속 절차들이 조합원들의 권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 여전히 무효확인을 구할 이익이 있다는 것입니다.

#사업시행계획#무효확인소송#소의이익#후속절차

민사판례

재건축조합 임원 선임과 창립총회 관련 분쟁에 대한 판결 이야기

재건축조합의 임원 선임 결의가 나중에 다시 열린 총회에서 재확인되면, 처음 결의의 무효 확인 소송은 의미가 없다. 또한 재건축 결의와 조합 설립 총회를 동시에 진행하더라도, 각각 별개의 절차이므로 관련 법률도 따로 적용된다.

#재건축조합#임원 선임#창립총회#결의 무효 확인 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