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99다40302

선고일자:

2000090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구 국공유재산처리임시특례법에 의하여 사찰에게 수의매각된 부동산에 관하여 담당 공무원이 사찰이 아닌 당시 그 주지이던 개인을 매수인으로 표시한 매도증서를 발급하여 주어 그 개인 명의의 원인무효의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경우, 그 담당 공무원의 과실을 인정한 사례 [2] 공무원의 과실이 관여되어 허위로 마쳐진 소유권이전등기를 믿고 부동산을 취득함으로써 손해를 입은 경우, 국가에 대한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청구를 하기 전에 양도인을 상대로 하자담보책임에 기한 손해배상청구를 먼저 혹은 동시에 하여야 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구 국공유재산처리임시특례법(1962. 7. 14. 법률 제1098호, 실효)에 의하여 사찰에게 수의매각된 부동산에 관하여 담당 공무원이 사찰이 아닌 당시 그 주지이던 개인을 매수인으로 표시한 매도증서를 발급하여 주어 그 개인 명의의 원인무효의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경우, 그 담당 공무원의 과실을 인정한 사례. [2] 소속 공무원의 과실이 관여되어 허위로 마쳐진 소유권이전등기를 믿고 부동산을 취득함으로써 손해를 입었다면 국가도 피해자에 대하여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한다고 할 것이고 피해자가 반드시 그 부동산의 양도인을 상대로 매도인의 담보책임에 기한 손해배상청구를 먼저 혹은 동시에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1]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구 국공유재산처리임시특례법(1962. 7. 14. 법률 제1098호, 실효) 제5조 제1항/ [2]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민법 제570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7. 9. 22. 선고 87다카1164 판결(공1987, 1628)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학만) 【피고, 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9. 6. 15. 선고 99나69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원래 구 국공유재산처리임시특례법(1962. 7. 14. 법률 제1098호, 1965. 6. 30. 실효) 제5조 제1항 단서 제2호에 의하여 제1심 및 원심 공동피고 사찰에게 수의매각된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사찰이 아니라 당시 그 주지이던 소외인 개인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것은 소외인의 신청에 의하여 매도증서를 다시 작성하여 주었던 피고 산하 논산세무서의 성명불상 공무원이 허위의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지지 않도록 이 사건 부동산의 진정한 매수인이 누구인지를 잘 살펴 매수인을 정확하게 표시한 매도증서를 작성하여 줄 주의의무에 위반하여 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아니하고 소외인 개인을 매수인으로 표시한 매도증서를 작성하여 준 과실로 인한 것이라고 판단한 것은 수긍이 가고 거기에 심리미진으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원고가 위와 같이 피고 소속 공무원의 과실이 관여되어 허위로 마쳐진 박명규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를 믿고 이 사건 부동산을 취득함으로써 손해를 입었다면 피고도 원고에 대하여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한다고 할 것이고 원고가 반드시 이 사건 부동산을 양도한 소외 박종권 등을 상대로 매도인의 담보책임에 기한 손해배상청구를 먼저 혹은 동시에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점에 관한 피고의 주장도 이유 없다. 3.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하여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원고의 소유권이전등기가 말소됨으로써 원고가 입은 손해에 대한 사찰과 피고의 배상책임은 이른바 부진정 연대채무의 관계에 있으므로 사찰과 피고는 각자 원고의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고, 어느 일방이 이를 이행하면 다른 일방의 채무도 소멸하는 것인바, 이러한 결과는 제1심 법원이 원고의 사찰에 대한 청구만 인용하고 피고에 대한 청구를 기각하여 원심 법원이 비로소 피고에 대하여도 추가로 사찰과 같은 금액인 원고가 이 사건 부동산 취득을 위하여 출연한 것으로 인정한 금액의 손해배상을 명하는 판결을 선고하면서 주문에 위 금액을 사찰과 각자 지급하라는 취지의 표현을 하지 않았다고 하여 달라질 수 없고, 원심판결도 그 이유에서 이러한 관계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 따라서, 이와 달리 원심판결의 취지를 사찰이 원고에게 지급할 금액 외에 추가로 피고에 대하여 그 금액을 지급할 것을 명한 것으로 보아 이 사건과 같은 경우의 부동산 최종 양수인의 손해는 그 부동산을 취득하기 위하여 출연한 금액 상당이라고 한 판례(대법원 1992. 6. 23. 선고 91다33070 전원합의체 판결 등 참조)에 반한다고 하는 피고의 주장은 원심판결의 주문 취지를 오해한 것으로서 역시 이유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재윤(재판장) 서성 유지담(주심) 배기원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나라 땅이라고 함부로 등기하면 안 돼요! 공무원의 주의의무

국가가 어떤 땅을 자기 땅이라고 보존등기를 할 때, 담당 공무원은 그 땅이 정말로 국가 소유인지 꼼꼼히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만약 확인을 제대로 하지 않아 잘못된 등기가 이루어졌다면 국가는 배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다만, 단순히 등기가 잘못됐다는 사실만으로는 공무원의 잘못을 인정할 수 없고, 평균적인 공무원이라면 충분히 알아차릴 수 있었던 문제를 놓쳤을 때만 공무원의 과실이 인정됩니다. 이를 입증할 책임은 국가에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사람에게 있습니다.

#국가배상#보존등기#공무원#과실

민사판례

공무원의 실수로 땅 날렸어요! 손해배상은 얼마까지?

공무원의 실수로 잘못된 소유권 등기가 만들어지고, 이를 믿고 땅을 산 사람이 나중에 진짜 주인에게 소송을 당해 땅을 잃게 된 경우, 국가는 그 사람에게 얼마를 배상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배상액은 땅을 살 때 지불한 매매대금이지, 소송에서 패소한 시점의 땅값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공무원 과실#원인무효 등기#손해배상#매매대금

민사판례

내 땅인데 남의 이름으로 등기되어 있어서 손해를 봤다고?

공무원의 실수로 잘못된 등기가 되었더라도, 그 때문에 임대를 못 했다는 주장은 쉽게 인정되지 않는다. 실제로 임대를 시도했지만 등기 때문에 실패했음을 증명해야 한다. 특히 공유 부동산의 경우, 다른 공유자의 동의 없이 임대가 불가능하므로 등기만을 임대 실패의 원인으로 보기 어렵다.

#원인무효#소유권이전등기#임대지연#인과관계

상담사례

옛날 농지개혁법 때문에 땅 주인이 바뀐 이야기 - 국가가 잘못하면 배상해야 할까요?

농지개혁법에 따라 국가가 매수 후 분배하지 않은 땅은 원소유주에게 반환되어야 하는데, 공무원의 과실로 제3자에게 매각되어 원소유주가 손해를 입으면 국가가 배상책임을 진다.

#농지개혁법#토지반환#공무원 과실#국가배상

상담사례

옛날 농지, 누구 땅일까요? - 국가배상 책임 이야기

농지개혁법에 따라 국가가 매입 후 반환해야 할 땅을 공무원의 과실로 제3자에게 매각한 경우, 국가는 원소유주에게 배상책임을 진다.

#농지개혁법#소유권 환원#국가배상#공무원 과실

민사판례

공무원의 잘못된 확인서 발급으로 땅 산 사람, 손해배상 받을 수 있을까?

공무원이 잘못된 토지이용계획확인서를 발급하여 개인이 손해를 입었을 경우, 국가는 배상 책임을 진다. 공무원의 과실과 손해 발생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어야 하며, 피해자의 과실이 있다면 손해배상액이 줄어들 수 있다.

#국가배상책임#토지이용계획확인서#공무원 과실#상당인과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