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금

사건번호:

99다8834

선고일자:

199912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채권양도금지특약으로 악의 또는 중과실의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및 제3자의 악의 또는 중과실에 대한 입증책임의 소재(=채권양도금지특약으로 채권양수인에게 대항하려는 자) [2] 공법인인 농지개량조합이 채권양도통지서를 접수하면서 그 우측 상단에 기입한 접수일자가 민법 부칙 제3조 제4항 소정의 확정일자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당사자의 의사표시에 의한 채권양도 금지는 제3자가 악의의 경우는 물론 제3자가 채권양도 금지를 알지 못한 데에 중대한 과실이 있는 경우 그 채권양도 금지로써 대항할 수 있다 할 것이나, 제3자의 악의 내지 중과실은 채권양도 금지의 특약으로 양수인에게 대항하려는 자가 이를 주장·입증하여야 한다. [2] 공법인인 농지개량조합이 채권양도통지서를 접수하면서 그 우측 상단에 기입한 접수일자가 민법 부칙 제3조 제4항 소정의 확정일자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민법 제449조 제2항 / [2] 민법 부칙 제3조 제4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6. 6. 28. 선고 96다18281 판결(공1996하, 2364), 대법원 1999. 2. 12. 선고 98다49937 판결(공1999상, 534) /[2] 대법원 1966. 12. 6. 선고 66다2015 판결(집14-3, 민312), 대법원 1998. 10. 2. 선고 98다28879 판결(공1998하, 2577), 대법원 1999. 4. 13. 선고 98추40 판결(공1999상, 915), 대법원 1999. 6. 11. 선고 98다52995 판결(공1999하, 1368)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신호건설 주식회사 【피고】 안동농지개량조합 【피고보조참가인,상고인】 건설공제조합 (소송대리인 변호사 진성규) 【피고보조참가인】 동진개발 주식회사 【원심판결】 대구고법 1999. 1. 15. 선고 98나5105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보조참가인 건설공제조합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제1, 3점에 대하여 원심은, 원고가 고려종합건설 주식회사(이하 소외 회사라고만 한다)로부터, 소외 회사가 피고로부터 수급한 경북 예천군 (주소 생략) 경지정리사업공사의 공사대금 중 잔대금채권 금 55,615,000원을 양수하였고, 소외 회사의 위임에 따라 그 양도 사실을 피고에게 통지하였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의하여 살피건대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옳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 법리오해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은 없다.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제2점에 대하여 당사자의 의사표시에 의한 채권양도 금지는 제3자가 악의의 경우는 물론 제3자가 채권양도 금지를 알지 못한 데에 중대한 과실이 있는 경우 그 채권양도 금지로써 대항할 수 있다(대법원 1996. 6. 28. 선고 96다18281 판결, 1999. 2. 12. 선고 98다49937 판결 등 참조) 할 것이나 제3자의 악의 내지 중과실은 채권양도 금지의 특약으로 양수인에게 대항하려는 자가 이를 주장·입증하여야 할 것이므로, 원심이 피고와 소외 회사와 사이에 위 경지정리사업공사에 관한 도급계약을 체결함에 있어 공사대금 채권의 양도시 연대보증인의 동의와 피고의 서면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약정만을 내세울 뿐 원고의 악의나 중과실에 관한 아무런 주장·입증을 하지 아니한 피고의 항변을 배척하였음은 정당하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반, 법리오해, 심리미진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은 없다.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제4점에 대하여 원심은, 원고가 소외 회사를 대리하여 피고에게 잔여공사금 직불요청서를 우송하는 방법으로 채권양도 통지를 하였는바, 피고가 위 직불요청서를 접수하면서 그 우측 상단에 접수일자를 기입한 사실을 인정하고, 공법인인 피고가 위 직불요청서에 기입한 일자는 민법 부칙 제3조 제4항 소정의 확정일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의하여 살피건대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옳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 등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은 없다.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송진훈(재판장) 이돈희(주심) 이임수 윤재식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공사대금 못 받고 있어요! 양도금지특약, 나도 몰랐는데?!

채권양도금지특약이 있더라도 제3자가 그 특약을 몰랐다면, 특약을 주장하는 측에서 제3자의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을 입증해야 하므로, 제3자는 특약을 몰랐다는 사실만 입증하면 공사대금을 받을 수 있다.

#공사대금#채권양도금지특약#제3자 선의취득#악의/중과실 입증책임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와 채권양도, 돈을 받을 권리는 누구에게?

돈을 빌려준 금융회사가 빌려준 돈을 돌려받기 위해 채무자 회사의 다른 회사에 대한 채권(공사대금채권)을 담보로 잡았는데, 채무자 회사가 정리절차에 들어가면서 해당 담보권이 소멸되어 금융회사가 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된 사례입니다. 법원은 이러한 담보 설정이 단순히 돈을 돌려받기 위한 담보였는지, 아니면 돈 대신 채권 자체를 받기로 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담보의 목적이 돈을 돌려받는 것이었다면 정리절차에서 담보권이 소멸된다고 판결했습니다.

#회사정리절차#양도담보권#소멸#공사대금채권

민사판례

돈 빌려준 사람이 돈 받을 권리를 넘길 때 주의할 점! (채권 양도와 추인)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돈을 받을 권리(채권)를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것을 금지하는 약속(양도금지 특약)이 있는 경우에도, 돈을 갚아야 하는 사람(채무자)이 특정 채권에 대해서만 돈을 넘겨받은 사람에게 갚는 것을 인정하면 그 부분에 한하여 유효하다는 판결.

#양도금지특약#채권양도#일부추인#악의/중과실

민사판례

돈을 받을 권리, 누구에게 있을까요? 채권 양도와 압류, 전부명령에 대한 이야기

A회사가 B에게 돈을 갚아야 하는 채권이 있었는데, C와 D가 법원을 통해 이 채권을 압류했습니다. A회사는 이 사실을 모르고 B에게 돈을 받을 권리를 E회사에 넘겼습니다. 나중에 C가 압류한 채권 중 일부를 청구하지 않았지만, E회사는 이를 돌려받을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채권압류#양도#부당이득반환청구#기각

민사판례

공사대금 채권 양도와 국가의 지급 지체 책임

이 판례는 국가 공사대금 채권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때 양도금지 특약의 효력과 국가가 공사대금 지급을 지연했을 때 지연이자를 계산하는 시작 시점에 대한 판결입니다.

#공사대금#채권양도#양도금지특약#지연이자

민사판례

돈 빌려준 사람 바뀌었을 때, 갚아야 할 사람은 누구? 채권양도와 양도금지 특약, 그리고 확정일자

임대차계약서에 채권양도금지 특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음에도 채권을 양수한 경우, 양도금지 특약의 효력이 인정되어 채무자는 양수인에게 보증금을 반환할 의무가 없다는 판결. 또한, 확정일자가 없는 채권양도 통지서라도 나중에 확정일자를 받으면 그 이후에는 제3자에게 대항력을 갖는다는 판결.

#채권양도금지특약#채권양도#확정일자#대항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