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9두9124

선고일자:

200105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부동산임대업을 주업으로 하지 아니하는 법인이 동일한 집합건물에서 수 개의 구분소유건물을 취득하여 그 중 일부 구분소유건물을 임대한 경우, 비업무용 토지의 요건인 지상건축물 연면적의 100분의 10 이상 직접 사용 여부의 판정기준

판결요지

구 지방세법시행령(1996. 12. 31. 대통령령 제1521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4조의4 제3항 제1호 (다)목은 부동산임대업을 주업으로 하지 아니하는 법인이 지상정착물이 있는 토지를 임대한 경우로서 당해 법인이 그 지상정착물 연면적의 100분의 10 이상을 직접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의 당해 지상정착물의 부속토지를 비업무용 토지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취득세는 개개 물건의 취득에 대하여 부과되는 조세로서 취득세 중과 대상인 비업무용 토지 해당 여부도 개개 물건별로 판단하여야 하므로 동일한 집합건물에서 수 개의 구분소유건물을 취득한 경우 그 부속토지들이 법인의 비업무용 토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도 각 구분소유건물별로 판단하여야 하고, 구분소유건물은 독립된 물건으로서 법인으로서는 당해 법인의 고유목적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 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필요 없는 구분소유건물까지 취득하여 이를 임대하는 경우에 그 부속토지를 비업무용 토지로 보아 중과하는 것이 부동산임대업에 관하여 비업무용 토지 여부의 판정기준을 강화하고 있는 취지에도 부합하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동일한 집합건물에서 수 개의 구분소유건물을 취득하여 그 중 일부 구분소유건물을 임대한 경우에 수 개의 구분소유건물 전체 연면적이 아니라 각각의 구분소유건물의 연면적을 기준으로 그 면적의 100분의 10 이상을 직접 사용하고 있는지에 따라 그 부속토지들의 비업무용 토지 해당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구 지방세법(1997. 8. 30. 법률 제540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2조 제2항(현행 삭제) , 구 지방세법시행령(1996. 12. 31. 대통령령 제1521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4조의4 제3항 제1호 (다)목(현행 삭제)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벽산건설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성욱) 【피고,피상고인】 영등포구청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9. 7. 23. 선고 99누730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구 지방세법시행령(1996. 12. 31. 대통령령 제1521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아래에서도 같다) 제84조의4 제3항 제1호 (다)목은 부동산임대업을 주업으로 하지 아니하는 법인이 지상정착물이 있는 토지를 임대한 경우로서 당해 법인이 그 지상정착물 연면적의 100분의 10 이상을 직접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의 당해 지상정착물의 부속토지를 비업무용 토지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취득세는 개개 물건의 취득에 대하여 부과되는 조세로서 취득세 중과 대상인 비업무용 토지 해당 여부도 개개 물건별로 판단하여야 하므로 동일한 집합건물에서 수 개의 구분소유건물을 취득한 경우 그 부속토지들이 법인의 비업무용 토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도 각 구분소유건물별로 판단하여야 하고, 구분소유건물은 독립된 물건으로서 법인으로서는 당해 법인의 고유목적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 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필요 없는 구분소유건물까지 취득하여 이를 임대하는 경우에 그 부속토지를 비업무용 토지로 보아 중과하는 것이 부동산임대업에 관하여 비업무용 토지 여부의 판정기준을 강화하고 있는 취지에도 부합하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동일한 집합건물에서 수 개의 구분소유건물을 취득하여 그 중 일부 구분소유건물을 임대한 경우에 수 개의 구분소유건물 전체 연면적이 아니라 각각의 구분소유건물의 연면적을 기준으로 그 면적의 100분의 10 이상을 직접 사용하고 있는지에 따라 그 부속토지들의 비업무용 토지 해당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상정착물의 '연면적'은, 건축법시행령 제119조 제1항 제4호에서 연면적을 "건축물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라고 규정하고 있다 하더라도, 지방세법령에서 그 적용에 관한 명문을 두고 있지 아니하는 이상, 이 사건에서와 같은 구분소유건물의 경우 위 건축법시행령 규정을 그대로 적용하여 비업무용 토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을 수는 없고 지방세법령의 취지에 따라 위와 같이 독자적인 기준으로 판단·결정할 수 있다.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구 지방세법시행령 제84조의4 제3항 제1호 (다)목의 지상정착물의 연면적에 관한 법리오해의 잘못이 없다. 따라서 상고이유는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서성(주심) 유지담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부동산 매매 목적 토지, 잠정적 임대에도 비업무용 아니다!

부동산 매매업을 하는 회사가 매각을 위해 산 땅에 건물을 지어 잠시 임대했더라도, 매각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3년 안에 팔았다면 비업무용 토지로 보지 않아 중과세 대상이 아니다.

#부동산#매매#비업무용 토지#중과세

세무판례

회사가 땅을 놀리면 세금 더 내야 할까요? - 비업무용 토지 취득세 중과

회사가 임대 사업을 하려고 땅을 샀는데, 등기부에 임대 사업 목적이 없으면 투기 목적으로 보고 취득세를 더 많이 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빈 공간에 물건을 쌓아둔 것은 건물을 '직접 사용'하는 것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취득세 중과#부동산 임대#등기부#사업목적

세무판례

비업무용 부동산과 관련된 세금,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회사가 땅을 산 뒤 법으로 건축허가가 제한되었을 때, 그 땅을 비업무용 부동산으로 볼지 여부는 회사가 땅을 산 목적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땅을 사기 전에 이미 법적인 사용 제한이 있었다면, 나중에 건축허가가 제한되더라도 비업무용 부동산에서 제외되는 혜택을 받을 수 없다.

#건축허가 제한#비업무용 부동산#토지 사용 목적#법인세법

세무판례

회사가 가지고 있는 빌딩, 업무용일까 아닐까? - 비업무용 부동산 판단 기준

회사가 보유한 부동산이 업무에 필요한 부동산인지, 아니면 투기 목적 등 업무와 관련 없는 부동산(비업무용 부동산)인지 판단하는 기준은 세법의 목적과 부동산 보유 목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비업무용 부동산#판단기준#세법 목적#부동산 보유 목적

세무판례

회사가 가진 땅, 다 업무용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 - 비업무용 부동산 판단 기준

이 판례는 회사가 업무와 관련 없이 보유하는 부동산(비업무용 부동산)에 대한 세금 혜택 제한 여부를 다룹니다. 특히 재개발 지역의 토지를 취득한 건설회사의 경우, 해당 토지가 회사 업무에 직접 사용되는지, 사용 제한이 있는지, 사옥 건설 목적인지 등을 구체적으로 따져 비업무용 부동산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비업무용부동산#재개발#토지#건설회사

세무판례

회사가 보유한 땅, 다 업무용일까? - 비업무용 부동산과 세금

회사가 업무에 사용하지 않는 부동산(비업무용 부동산)에 대한 세금 관련 규칙이 너무 엄격하게 만들어져서 법 위반이라는 주장에 대해, 대법원은 해당 규칙이 유효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비업무용 부동산#법인세법 시행규칙#유효성#대법원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