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임의경매개시에대한이의기각

사건번호:

99마2870

선고일자:

19990722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자기 소유 부동산을 타인에게 명의신탁한 명의신탁자가 자신의 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그 부동산에 근저당권설정등기를 함에 있어 편의상 채무자를 명의수탁자로 등재한 경우, 그 근저당권이 담보하는 채무(=명의신탁자의 채무)

판결요지

자기 소유 부동산을 타인에게 명의신탁한 명의신탁자가 제3자와의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차용금 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위 부동산에 제3자 명의로 근저당권을 설정함에 있어서 당사자 간의 편의에 따라 명의수탁자를 채무자로 등재한 경우 위 부동산의 근저당권이 담보하는 채무는 명의신탁자의 제3자에 대한 채무로 보아야 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103조[명의신탁], 제105조, 제356조, 제357조, 민사소송법 제60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0. 4. 22. 선고 79다1822 판결(공1980, 12800)

판례내용

【재항고인】 주식회사 제일은행 【원심결정】 서울지법 1999. 4. 12.자 99라1 결정 【주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자기 소유 부동산을 타인에게 명의신탁한 명의신탁자가 제3자와의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차용금 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위 부동산에 제3자 명의로 근저당권을 설정함에 있어서 당사자 간의 편의에 따라 명의수탁자를 채무자로 등재한 경우 위 부동산의 근저당권이 담보하는 채무는 명의신탁자의 제3자에 대한 채무로 보아야 한다(대법원 1980. 4. 22. 선고 79다1822 판결 참조).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부동산은 원래 이 사건 채무자 소외 1 및 소외 2가 1989. 12. 26. 소외 3으로부터 매수한 것인데, 1990. 1. 22. 소외 4에게 명의신탁하여 그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었다가, 1996. 6. 26. 명의신탁해지를 원인으로 하여 위 소외 1, 소외 2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사실, 한편 이 사건 경매신청 채권자인 소외 5는 1995. 9. 29.과 1996. 1. 5. 위 소외 1에게 각 금 50,000,000원씩 합계 금 100,000,000원을 대여하면서 이 사건 부동산에 근저당권을 설정받았는데, 당시 위 소외 5와 소외 1은 위 부동산의 소유자 명의가 위 소외 4로 되어 있던 관계로 근저당권설정계약서와 근저당권설정등기의 채무자 명의를 명의수탁자인 위 소외 4로 기재하였고, 근저당권설정등기의 채무자도 위 소외 4로 등재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사실관계가 위와 같다면 앞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이 사건 근저당권은 등기상의 저당채무자로 등재된 위 소외 4가 아닌 실제 채무자인 위 소외 1의 채무를 담보한다고 할 것이므로, 위 소외 1을 채무자로 한 이 사건 경매개시결정에는 아무런 잘못이 없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원심이 같은 취지로 판단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박준서(주심) 신성택 서성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내 땅인데 남의 이름으로 빚 보증? 이게 가능해? (feat. 근저당)

명의신탁된 땅을 담보로 돈을 빌린 경우, 서류상 채무자와 관계없이 실제 땅 주인이 빚을 갚을 책임이 있다.

#명의신탁#근저당##담보

형사판례

내 땅인데, 네 맘대로 담보로 잡아? 배임죄 성립!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에게 돈을 갚기 위해 다른 사람 명의로 맡겨둔 부동산(명의신탁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하는 경우, 실제 소유자(명의신탁자)의 동의 없이 함부로 근저당을 설정하면 배임죄가 된다.

#명의신탁#근저당설정#배임죄#동의

민사판례

남의 이름으로 등기된 부동산에 근저당 설정, 사해행위일까?

남의 이름으로 등기된 부동산(명의신탁 부동산)의 명의자가 빚을 갚기 위해 해당 부동산에 근저당을 설정했더라도, 그 부동산은 실제로 명의자의 재산이 아니므로 채권자를 해하는 사해행위가 아니다.

#명의신탁#근저당#사해행위#무효

민사판례

내 집 마련 꿈, 명의신탁 때문에 휘청? 법원은 이렇게 판단했어요!

명의신탁자가 명의수탁자로부터 부동산 등기를 되찾는 과정에서 제3자에게 잠시 등기를 넘겼다가 다시 돌려받았더라도, 이는 사기나 채권자를 해하는 행위로 볼 수 없다는 판결.

#명의신탁#등기회복#제3자#사해행위

민사판례

명의신탁 부동산, 누구에게 소유권이 있을까?

다른 사람 이름으로 부동산을 등기(명의신탁)한 경우, 등기부상 소유자로부터 부동산을 사는 사람은 명의신탁 사실을 알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소유권을 취득한다. 단, 등기부상 소유자의 배임행위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경우는 제외된다.

#명의신탁#부동산#소유권 취득#배임 가담

생활법률

내 땅인데 남 이름으로 등기한다고? 명의신탁, 그 위험한 유혹!

내 돈으로 집을 사서 다른 사람 명의로 등기하는 명의신탁은 세금 회피 등 목적으로 이용되지만, 법적 효력이 없고 소유권 분쟁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피해야 한다.

#명의신탁#실권리자#명의수탁자#부동산실명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