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돈을 마음대로 썼다가 횡령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1인 회사를 운영하는 분들이라면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내 회사니까 내 돈처럼 써도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법은 그렇게 보지 않습니다. 오늘은 회사 자금 횡령과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횡령죄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남의 재산을 맡아 관리하는 사람이 그 재산을 자기 마음대로 써버리는 범죄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불법영득 의사'입니다. 즉, 내 돈처럼 쓰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있어야 횡령죄가 성립합니다. 단순히 실수로 돈을 잘못 사용한 것은 횡령죄가 아닙니다.
1인 회사도 횡령죄가 될까요?
네, 됩니다. 비록 혼자서 회사를 운영한다고 해도, 회사는 법적으로 주주와 별개의 인격입니다. 회사의 재산은 주주의 개인 재산이 아니라는 뜻이죠. 따라서 1인 회사의 주주라도 회사 돈을 마음대로 쓰면 횡령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내가 회사에 돈을 빌려준 게 있으니까 상계하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미 횡령이 발생한 후에 상계한다고 해서 죄가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관련 법조항과 판례
결론
1인 회사를 운영하더라도 회사 돈과 개인 돈은 철저히 구분해야 합니다. 회사 돈을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횡령죄에 해당하며,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회사 자금 관리에 유의하여 법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상담사례
1인 회사라도 회사와 주주는 별개의 법적 인격체이므로, 주주가 회사 돈을 마음대로 사용하면 횡령죄가 성립할 수 있다.
형사판례
회사 운영자가 회사와 관계없는 개인적인 용도나 비자금 조성 목적으로 회사 돈을 빼돌리면 횡령죄가 성립합니다. 설령 회사 돈을 다른 계열사에 썼더라도, 그 계열사가 사실상 1인 회사라면 횡령죄가 인정됩니다.
형사판례
혼자서 모든 주식을 소유한 1인 회사라도 회사 자금을 마음대로 다른 회사에 쓰면 횡령죄와 배임죄가 성립한다.
형사판례
돈을 빌려 회사 자본금으로 납입한 후 바로 인출하여 빚을 갚은 경우, 회사 자본금에 실질적인 변동이 없다면 횡령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다만, 다른 회사 자금을 무단으로 가져다 쓴 경우는 횡령죄가 성립한다.
형사판례
회사 대표가 회사 자금을 개인적으로 사용한 횡령 혐의와 허가 없이 약속어음 할인 업무를 한 혐의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횡령 혐의는 유죄, 무허가 금융업 혐의는 법리 오해로 파기 환송되었습니다.
형사판례
회사 대표이사가 이사회 결의 등 적법한 절차 없이 회사 자금을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한 경우, 나중에 갚을 의사가 있더라도 횡령죄가 성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