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는 브랜드의 얼굴과도 같죠. 그래서 상표 등록은 사업 시작의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비슷한 상표가 이미 존재한다면 등록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F 모양을 포함한 상표의 유사성 여부를 다룬 대법원 판결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사건의 핵심: F 모양 도형
이 사건은 출원인이 F 모양 도형을 중심으로 한 상표를 등록하려다가, 이미 등록된 유사한 상표 때문에 거절당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출원인은 자신의 상표가 기존 상표와 다르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죠.
대법원의 판단: 유사하다!
대법원은 출원상표와 기존 상표가 유사하다고 판결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리해서 봐도, 결국 F 모양이 핵심: 출원상표는 영문자 "WHITE"와 F 모양 도형, 월계수 도형, "ⓦ" 부분, 직사각형 등 여러 요소가 결합되어 있었습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구성 부분들을 분리해서 볼 수 있다고 하면서도, 결국 가장 눈에 띄는 부분(요부)은 F 모양 도형이라고 판단했습니다. "WHITE"는 단순히 색깔을 나타내는 기술적인 표현이고, 다른 도형들은 F 모양을 강조하기 위한 부수적인 요소에 불과하다고 본 것이죠.
F 모양 도형의 유사성: 대법원은 출원상표의 핵심인 F 모양 도형을 기존 상표의 F 모양 도형과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외관이 매우 유사하여 일반 소비자들이 상품 출처를 혼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습니다.
판결의 근거: 상표법
이 판결의 법적 근거는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입니다. 이 조항은 타인의 등록상표와 유사한 상표는 등록을 받을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소비자들이 상품 출처에 대해 혼동할 우려가 있는 상표는 등록이 거절되는 것이죠.
참고 판례
이번 판결은 과거 유사한 상표 분쟁에서 내려진 대법원 판례들을 참고했습니다. 참고 판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결론
이 판결은 상표의 유사성을 판단할 때 단순히 전체적인 모양뿐 아니라, 소비자들이 어떤 부분에 주목하는지, 즉 상표의 '요부'가 무엇인지를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상표를 출원할 때는 기존에 등록된 상표들과 꼼꼼하게 비교하고, 특히 소비자에게 핵심적으로 인식될 부분이 유사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특허판례
발음이 비슷한 상표는 상품 종류가 같거나 비슷할 경우, 소비자가 상품 출처를 혼동할 수 있으므로 유사상표로 본다는 대법원 판결.
특허판례
두 상표에 비슷한 핵심 부분이 있더라도, 전체적인 디자인을 고려했을 때 소비자가 헷갈릴 정도로 유사하지 않다면 유사 상표로 인정되지 않는다.
특허판례
새로운 상표에 그림이 들어가 있어도, 핵심 단어가 기존 상표와 같다면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특허판례
이미 유명해진 의류 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신발에 사용하려 할 경우, 소비자가 두 상표의 출처를 혼동할 수 있다면 상표 등록이 거절될 수 있다.
특허판례
두 상표/서비스표에 비슷한 부분이 있더라도 전체적인 느낌이 다르고 소비자가 헷갈릴 가능성이 없다면 유사 상표로 볼 수 없다.
특허판례
'아르멕스'라는 상표를 페인트 제거제에 사용하려는 출원이 기존에 등록된 비슷한 상표('아멕스')와 유사하고, 지정 상품도 유사하여 거절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