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1.03.25

민사판례

가족이 탄 차가 사고가 났을 때, 보험사끼리의 분쟁은 어떻게 해결될까요?

운전 중 사고는 언제,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특히 가족이 함께 차에 타고 있을 때 사고가 발생하면 더욱 걱정이 커지죠. 오늘은 가족이 탑승한 차량의 사고와 관련된 보험사 간의 분쟁 사례를 소개하고, 법원의 판단을 쉽게 풀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가 운전하던 B보험사 차량과 C가 운전하던 D보험사 차량이 충돌했습니다. 이 사고로 B보험사 차량에 동승했던 A의 남동생 E가 다쳤습니다. D보험사는 E에게 치료비를 포함한 보험금을 지급한 후, A와 B보험사를 상대로 구상금 청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A에게 50%의 과실이 있다고 판결했고, B보험사는 A의 보험사로서 D보험사에 구상금을 지급했습니다. 그런데 이후 B보험사는 D보험사가 '자동차보험 구상금 분쟁심의에 관한 상호협정'을 위반했다며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쟁점

  • D보험사가 '자동차보험 구상금 분쟁심의에 관한 상호협정'을 위반했는지 여부
  • D보험사가 상호협정을 위반했다면, B보험사에 손해배상 책임이 있는지 여부
  • 가족이 운전하는 차에 동승한 가족이 피해를 입은 경우, 운전자의 과실이 손해배상 책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법원의 판단

법원은 D보험사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1. 상호협정 위반의 효과: D보험사가 상호협정에서 정한 절차를 일부 위반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러한 위반이 B보험사에 손해를 끼쳤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상호협정의 목적은 피해자에게 신속하게 보상하는 것이므로, 절차상의 작은 오류 때문에 보험금을 먼저 지급한 보험사가 손해를 보는 것은 부당하다고 본 것입니다.

  2. 가족 간 사고: A의 과실로 A의 남동생 E가 다쳤지만, A의 과실이 손해배상 책임을 줄여주는 사유는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가족이라도 운전자와 동승자가 서로 다른 주체이기 때문에, 운전자의 과실은 손해배상 책임의 발생 요건일 뿐 감면 사유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 민법 제396조, 제763조 참조, 대법원 1997. 11. 14. 선고 97다35344 판결, 대법원 2009. 5. 28. 선고 2007다87221 판결 참조)

결론

이 판결은 보험사 간의 분쟁 해결 기준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가족 간 사고에서도 운전자의 과실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자동차 사고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관련 법규와 판례를 이해하면 사고 발생 시 당황하지 않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내 차에 가족 태우고 가다 사고났는데, 상대방 탓도 있다면? 보험사 구상권 행사 범위는?

교통사고에서 피해자 가족의 운전 과실이 인정되어 손해배상액이 줄어든 경우, 피해자 가족 차량의 보험사는 가해자 차량과 보험사에 대해 **전액 구상**할 수 있다.

#교통사고#피해자 가족 과실#보험사 구상권#전액 구상

민사판례

시아버지 차 운전하다 사고, 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

며느리가 시아버지와 시동생이 공동소유한 차를 운전하다 사고를 냈을 때, '다른 자동차 운전담보 특별약관'에 따라 보험사는 보상 책임이 없다는 판결.

#며느리#시아버지#공동소유 차량#운전사고

상담사례

가족끼리 교통사고, 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 (상속과 혼동)

가족 간 교통사고로 가해자와 피해자의 상속인이 동일해도(상속에 의한 혼동), 자동차책임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속인은 보험금을 직접 청구할 수 있다.

#교통사고#보험금#상속#혼동

민사판례

내 차에 타고 있었는데, 내가 고른 운전자 때문에 사고가 났다면?

차량 소유주가 자신의 차에 동승 중, 본인이 지정한 운전자의 과실로 사고가 났을 경우, 소유주의 손해배상액 산정 시 운전자의 과실을 참작해야 한다.

#차량 소유주 동승#운전자 과실 참작#손해배상#무상동승자

민사판례

내 차 타고 사고났는데 내 잘못도 있다고? 동승자이자 차주의 손해배상에 관한 이야기

차량 소유자가 자신의 차에 동승 중 운전자 과실로 사고가 나 손해를 입었을 경우, 소유자의 손해배상액을 계산할 때 운전자의 과실을 고려해야 한다.

#차량 소유자#동승#운전자 과실#손해배상

민사판례

엄마가 아들의 차를 타다 사고가 났는데, 보험사는 왜 치료비를 안 줄까요?

가족끼리 교통사고가 났을 때, 먼저 보험금을 지급한 보험사(선처리사)가 나중에 처리하는 보험사(후처리사)에게 구상금을 청구할 수 있는데, 이때 피해자 가족의 과실을 상계하는 규정은 제한적으로 적용된다는 판결.

#가족 교통사고#보험사 구상금 분쟁#과실 상계 제한#치료비 전액 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