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2.04.13

민사판례

가처분, 간접강제, 그리고 배상금: 그 끝은 어디인가?

직장을 옮기면서 경쟁사로 이직하지 않겠다는 약속, 어디까지 지켜야 할까요? 만약 이 약속을 어기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오늘은 가처분, 간접강제, 그리고 배상금에 대한 흥미로운 법원 판결을 소개합니다.

사건의 시작: 영업비밀 보호 서약과 가처분 신청

이 사건의 원고들은 피고 회사에서 중요한 업무를 담당하던 직원들이었습니다. 퇴사하면서 경쟁사로 이직하지 않겠다는 영업비밀 보호 서약을 했지만, 곧바로 경쟁사에 입사했죠. 이에 피고 회사는 법원에 가처분을 신청했습니다. 법원은 원고들에게 일정 기간 경쟁사에 취업하지 말 것을 명령하고, 이를 어길 경우 하루에 100만 원씩 배상하라는 간접강제 결정을 내렸습니다.

쟁점 1: 의무 이행 기간 후의 배상금

원고들은 가처분에서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그 이전에 위반한 행위에 대한 배상 책임도 사라지는지 궁금해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아니오"라고 답했습니다. 의무 위반 기간이 지났더라도, 그 이전에 발생한 위반 행위에 대한 배상 책임은 여전히 남아있다는 것이죠. 즉, 가처분 기간이 끝났다고 해서 과거의 위반 행위가 없던 일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쟁점 2: 의무 위반 여부를 다툴 곳

원고들은 자신들이 실제로 의무를 위반했는지를 다투고 싶어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이러한 주장은 "청구이의의 소"가 아닌 "집행문 부여의 소"에서 다퉈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쉽게 말해, 배상금을 강제로 받아내기 위한 절차에서 의무 위반 여부를 따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청구이의의 소는 이미 확정된 판결의 효력을 다투는 곳이기 때문에, 의무 위반 여부 자체를 다투는 곳은 아니라는 것이죠.

핵심 정리:

  • 가처분 기간이 끝나도 과거의 위반 행위에 대한 배상 책임은 유지됩니다.
  • 의무 위반 여부는 집행문 부여의 소 등에서 다퉈야 합니다.

관련 법 조항:

  • 민사집행법 제30조 제2항, 제33조, 제44조, 제45조, 제261조, 제300조

이번 판례는 가처분, 간접강제, 그리고 배상금 제도에 대한 중요한 원칙을 확인시켜줍니다. 특히 기업의 영업비밀 보호와 관련된 분쟁에서 실무적으로 유용한 판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서비스표 사용금지 가처분과 간접강제, 그 후 이야기

서비스표 사용금지 가처분의 금지기간이 끝났더라도, 간접강제 결정이 함께 내려진 경우에는 채무자가 가처분 취소를 위한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가처분#간접강제#이의신청#금지기간 종료

민사판례

간접강제금, 가처분 기간 지나도 받을 수 있을까?

법원이 어떤 행위를 하도록 명령하는 가처분과 함께, 그 명령을 어길 경우 돈을 내도록 하는 간접강제 결정을 내렸을 때, 간접강제 결정에 따른 돈을 받아내는 절차는 가처분의 유효기간에 얽매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가처분#간접강제#집행기간#독립적 집행

민사판례

가처분 기간 끝나면 이의신청도 끝!

정해진 기간이 지나 효력이 없어진 가처분에 대해서는 더 이상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가처분#효력상실#이의신청 불가#기간만료

민사판례

간접강제 배상금, 언제까지 받을 수 있을까?

법원의 간접강제 결정에 따라 정해진 기한 안에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배상금을 지급해야 하는데, 기한이 지난 후에라도 의무를 이행했다면 지연된 기간에 해당하는 배상금은 지급해야 한다.

#간접강제#배상금#의무이행#지연

민사판례

간접강제금 내고도 가처분 취소 안 된다고?

점포 점유권을 보호하기 위한 가처분을 받은 후 상대방이 가처분을 위반하여 간접강제금을 물게 되었더라도, 그 사실만으로 가처분을 계속 유지할 필요는 없다는 판결.

#가처분#간접강제금#보전의 필요성#점유권

민사판례

가처분 기간 지난 후 간접강제? 효력 없어요!

기간을 정해둔 가처분 명령의 기간이 끝난 뒤에 이를 어겼다고 해서 간접강제를 신청해도 효력이 없으며, 관련 소송은 가처분 결정을 내린 법원(합의부)에서 담당해야 한다.

#가처분#기간만료#간접강제#효력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