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고인 A는 돈을 받아내기 위해 해결사들을 고용했습니다. A는 해결사들에게 피해자를 납치해서라도 돈을 받아내라고 지시했고, 해결사들은 피해자를 감금하고 폭행하여 돈을 빼앗았습니다. 이 경우 A는 어떤 죄로 처벌받아야 할까요?
처음 검찰은 A를 강도상해교사죄로 기소했습니다. 강도상해교사죄란 폭행이나 협박을 통해 재물을 빼앗는 강도상해죄를 다른 사람에게 하도록 시킨 죄입니다.
하지만 재판 과정에서 법원은 A가 강도상해까지 교사한 것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해결사들이 피해자를 감금하고 협박하여 돈을 받아내도록 시켰다는 점은 인정되지만, 폭행이나 상해를 가하라고까지 지시했다는 증거는 부족하다고 본 것입니다. 따라서 법원은 A를 공갈교사죄, 즉 협박으로 재물을 갈취하는 공갈죄를 다른 사람에게 하도록 시킨 죄로 처벌하려 했습니다.
그런데 대법원은 이러한 법원의 판단을 뒤집었습니다. 강도죄와 공갈죄는 비슷해 보이지만, 죄질에 있어 분명한 차이가 있다는 것입니다. 강도죄는 폭행이나 협박을 통해 재물을 빼앗는 것이고, 공갈죄는 협박을 통해 재물을 갈취하는 것입니다. 폭행/상해의 유무가 중요한 차이점입니다.
따라서 강도상해교사죄로 기소된 피고인을 공갈교사죄로 처벌하려면 공소장변경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공소장변경이란 검찰이 기소한 내용을 바꾸는 절차입니다. 이 절차 없이 공소사실과 다른 죄로 처벌할 수는 없습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공소장변경 없이 강도상해교사죄를 공갈교사죄로 바꿔 판단했기 때문에, 대법원은 이를 위법이라고 판결했습니다. (형사소송법 제298조) 이는 대법원 1968.9.19. 선고 68도995 판결에서도 확인된 원칙입니다.
즉, 죄목을 변경하려면 반드시 정해진 절차를 따라야 한다는 것이죠. 이 사건은 죄목 변경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형사판례
흉기를 휴대해서 공갈을 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에게, 법원이 공소장 변경 없이 집단의 위력으로 공갈했다고 유죄 판결을 내린 것은 잘못됐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범죄 행위의 종류가 다르면 피고인의 방어 전략도 달라지기 때문에, 법원은 공소장 변경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형사판례
여러 사람이 함께 피해자를 폭행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에서, 한 사람의 폭행은 사망과 관련이 없다면, 검사가 공소장을 변경하여 다른 죄명(상해죄나 폭행죄)으로 기소하지 않는 한, 법원은 그 사람을 상해죄나 폭행죄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검찰이 상습공갈로 기소했지만, 법원은 공소장 변경 없이 폭행죄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존 공소사실에 폭행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피고인의 방어권에 지장이 없다면 가능합니다. 본 판례는 상습공갈은 무죄, 폭행은 유죄로 판결한 사례입니다.
형사판례
돈을 빌려준 사람이 돈을 갚으라고 협박하며 돈을 받아냈더라도, 그 협박의 정도가 상대방을 완전히 제압할 정도가 아니라면 강도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형사판례
성폭력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재판 결과 강간이 인정되지 않고 상해만 인정될 경우, 검사가 공소장을 변경하지 않으면 상해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돈을 받을 권리가 있더라도, 받아내기 위해 사회적으로 용인할 수 없는 수준의 협박을 하면 공갈죄가 성립합니다. 또한, 검찰이 처벌하려는 죄명을 잘못 적용했더라도 나중에 바로잡으면 문제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