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3.10.10

민사판례

개발부담금, 어디까지 내야 할까? 대지조성과 이미 대지화된 토지에 대한 개발부담금 부과

안녕하세요, 오늘은 개발부담금과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바탕으로 '대지조성'의 의미와 이미 대지화된 토지에 대한 개발부담금 부과 여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지조성이란 무엇일까요?

단순히 땅을 파고 메우는 것만 생각하시나요? 대지조성은 절토, 성토, 정지작업, 매립 등을 통해 대지가 아닌 토지를 대지로 만드는 것은 물론, 이미 대지이지만 건축물을 짓기 더 적합하게 만드는 공사도 포함합니다. (대법원 2000. 9. 8. 선고 98두5903 판결)

핵심은 '건축에 적합하도록 만드는 공사'입니다.

이미 건축에 적합한 땅이라면?

만약 토지가 이미 건축에 적합한 상태라면 굳이 추가 공사를 할 필요가 없겠죠? 이런 경우에는 개발부담금을 낼 필요가 없습니다! 이미 대지화된 부분에 대해 별도의 대지조성공사 없이 건축이 가능하다면, 그 부분은 개발부담금 부과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대법원 1994. 3. 22. 선고 93누6256 판결)

사례를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이번 판례에서는 지목이 '대지'인 토지 위에 있던 주택을 철거한 후, 다른 대지조성공사 없이 통행로로 사용한 경우를 다루고 있습니다. 법원은 이 토지가 이미 대지였고, 추가 공사 없이도 사용 가능했기 때문에 개발부담금 부과 대상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개발부담금 제도, 무엇을 위한 것일까요?

개발사업으로 땅값이 오르면, 사업자는 정상적인 땅값 상승분 이상의 이익을 얻게 됩니다. 이런 불로소득을 일부 환수하여 경제 정의를 실현하고, 투기를 막아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개발부담금 제도가 존재합니다. (대법원 1996. 1. 26. 선고 95다7451 판결) 따라서 개발부담금은 실제로 얻은 이익을 기반으로 공평하게 산정되어야 합니다.

관련 법률

  • 구 개발이익환수에관한법률 (1993. 6. 11. 법률 제45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9조 제3항, 제10조 제3항
  • 구 개발이익환수에관한법률시행령 (1993. 8. 12. 대통령령 제1395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 [별표 1] 제1호, 제8조 제1항 제1호, 제9조 제5항 제3호

이처럼 개발부담금은 복잡한 법률과 판례에 따라 결정됩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개발부담금, 아무 땅에나 다 내는 거 아니에요!

주택건설사업이라도 모든 토지에 대해 개발부담금을 부과하는 것은 아니며, 이미 대지이거나 대지로서의 효용을 높이기 위한 공사가 필요 없는 토지는 개발부담금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판결.

#개발부담금#대지조성#대지#부과대상

일반행정판례

아파트 지으면 무조건 개발부담금 내야 할까? 대지조성사업의 의미

아파트 건설 시 단순히 지목이 '대지'라고 해서 개발부담금을 면제받는 것이 아니라, 사업 착수 당시 토지의 *실제 현황*이 건축 가능한 상태였는지가 중요하다. 만약 토지 형질 변경이 필요한 상태였다면 개발부담금 부과 대상이 된다.

#개발부담금#아파트 건설#대지#실제현황

일반행정판례

1m 이상 땅 높이면 개발부담금 내야 할까? 대지조성사업과 개발부담금에 대한 해설

논밭을 택지로 만들기 위해 1m 이상 흙을 쌓아올리는 성토 작업도 개발부담금 부과 대상인 '대지조성사업'에 포함된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논밭을 택지로 바꾸는 것뿐 아니라, 건축에 적합하도록 땅의 효용을 높이는 공사도 포함된다는 의미입니다.

#택지 성토#개발부담금#대지조성사업#부과 대상

일반행정판례

개발부담금, 언제까지 내야 할까? - 대지조성 후 건축까지 완료해야 납부 의무 발생!

주택건설을 위해 땅을 개발하는 사업에서, 개발이익환수법 시행령이 법보다 국민에게 불리하게 개발사업 완료 시점을 늦춰 잡아 개발부담금 부과 대상을 넓힌 것은 잘못되었다는 판결입니다. 법에서는 땅 개발 후 건물 착공 시점을 완료 시점으로 보아야 하는데, 시행령은 건물 사용 개시 시점을 완료 시점으로 정해 법의 취지를 벗어났고, 국민에게 더 많은 부담금을 부과하게 되었기 때문에 무효입니다.

#개발부담금#시행령#위헌#무효

일반행정판례

아파트만 지었는데 개발부담금을 내라고요?

이미 조성된 땅에 추가적인 대지조성공사 없이 주택만 짓는 경우에는 개발부담금을 부과할 수 없다.

#개발부담금#대지조성공사#주택건설#조성된 토지

일반행정판례

개발이익, 어디까지 개발부담금 내야 할까?

개발부담금 부과 대상이 되는 개발사업 지역의 토지에서 발생한 이익은, 그 원인이 무엇이든 개발부담금 부과 대상이 됩니다.

#개발부담금#개발이익#토지가치상승#개발사업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