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10.27

민사판례

건물 증축, 내 건물일까? 남의 건물일까? - 부합 여부 판단 기준

오래된 집을 수리하다 보면 증축을 고려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증축한 부분이 기존 건물에 딸린 부분으로 인정될까요, 아니면 별개의 건물로 봐야 할까요? 오늘은 건물 증축 시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칠곡군 소유의 낡은 피병원 건물을 임차인들이 일부 증·개축하여 거주해 왔습니다. 이후 칠곡군은 해당 건물의 철거를 요구했고, 임차인들은 증축 부분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며 맞섰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증축 부분이 기존 건물에 "부합"되었다고 판단하여 칠곡군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즉, 증축 부분은 기존 건물과 한 몸이 되어 칠곡군의 소유가 된 것입니다.

부합 여부 판단 기준:

그렇다면 법원은 어떤 기준으로 부합 여부를 판단했을까요? 단순히 물리적으로 붙어 있는 것만으로는 부합을 판단할 수 없습니다. 법원은 다음 두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1. 물리적 구조: 증축 부분이 기존 건물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구조적으로 얼마나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는지를 살펴봅니다.

  2. 용도와 기능, 경제적 효용: 증축 부분이 기존 건물과 독립된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지, 거래 시 별개의 소유권 객체가 될 수 있는지를 판단합니다. 즉, 증축 부분이 기존 건물 없이도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거래될 수 있다면 부합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사례에서는 증축 부분이 기존 건물과 물리적으로 붙어 있을 뿐만 아니라, 용도와 기능 면에서도 기존 건물과 일체를 이루고 있었습니다. 또한, 증축 부분만 따로 떼어내어 거래하기 어려운 구조였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증축 부분이 기존 건물에 부합되었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민법 제256조 (부합) 부동산의 소유자는 그 부동산에 부합한 물건의 소유권을 취득한다. 그러나 타인의 권원에 의하여 부합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대법원 1985.11.12. 선고 85다카246 판결

  • 대법원 1988.2.23. 선고 87다카600 판결

  • 대법원 1989.4.11. 선고 88다카8460,8477 판결

결론:

건물 증축 시 부합 여부는 단순히 물리적인 연결 상태만이 아니라 용도, 기능, 경제적 효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따라서 증축을 계획하고 있다면, 미리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부합 여부를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법적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건물 증축과 부합 여부, 그리고 경매

새로 지은 건물이 기존 건물에 붙어있더라도, 독립적인 건물로 사용될 수 있다면 기존 건물에 '부합'된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판례입니다. 따라서 기존 건물만 경매로 낙찰받았다면, 새로 지은 건물의 소유권까지 얻는 것은 아닙니다.

#부합#증축#경매#소유권

민사판례

건물 증축과 저당권 효력 범위에 대한 법원의 판단

이 판례는 건물의 증축 부분이 기존 건물에 부합하는지, 그리고 어떤 건물이 다른 건물의 종물로 인정되어 저당권의 효력이 미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단순히 물리적으로 붙어있는 것뿐 아니라, 용도와 기능, 경제적 효용, 소유자의 의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증축#종물#부합#저당권

민사판례

세입자가 증축한 건물, 누구 소유일까요?

세입자가 건물주 동의 하에 건물을 증축한 경우, 증축 부분이 기존 건물과 구조상·이용상 독립적이라면 세입자가 증축 부분에 대한 소유권을 가질 수 있다.

#임차인#증축#건물#소유권

민사판례

건물 증·개축 후에도 동일성 인정될 수 있을까?

건물을 대폭 수리하거나 증축했더라도 이전 건물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면, 소유권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이전 판결에서 건물의 동일성을 인정했으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나중에 열리는 재판에서도 이를 존중해야 합니다.

#건물 동일성#소유권#증·개축#기판력

일반행정판례

건물 증축할 때, 기존 건물 용도도 문제 삼을 수 있을까요?

지구단위계획 구역 내 건물 증축 시, 증축 규모가 크더라도 용도 제한은 증축하는 부분에만 적용되고 기존 건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건물 증축#용도 제한#증축 부분#지구단위계획

민사판례

건물 증축과 근저당권, 누구에게 우선권이 있을까?

기존 건물에 증축된 부분이 독립된 건물로 인정되려면 소유자가 그 부분을 구분해서 소유하려는 의사를 명확히 밝혀야 합니다. 단순히 건물의 표시를 변경하는 등기만으로는 증축 부분이 독립된 건물로 인정되지 않으며, 기존 건물에 설정된 저당권은 특별한 약정이 없는 한 증축 부분에도 효력이 미칩니다.

#건물 증축#구분소유#저당권 효력#구분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