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3.08.22

특허판례

건물용 셔터 경첩 스토퍼, 실용신안권 보호받을 수 있을까?

오늘은 건물용 셔터 경첩의 스토퍼 위치에 대한 실용신안권 분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핵심 쟁점은 스토퍼가 경첩의 어느 부분에 위치해야 실용신안의 상세한 설명에 뒷받침된다고 볼 수 있는지였습니다.

사건의 발단:

건물용 셔터의 비상문에 특정한 경첩을 사용한 고안에 대한 실용신안권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특허법원은 해당 실용신안의 청구항 제3항, 즉 스토퍼와 스프링을 경첩의 고정 축에 설치하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실용신안권을 무효로 판결했습니다. 특허법원은 스토퍼가 '경첩 내측'에 있다는 설명만으로는 '고정 축'에 설치된다는 의미까지 도출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도면에도 스토퍼가 고정 축이 아닌 셔터 판 안쪽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는 점도 근거로 삼았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그러나 대법원은 특허법원의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대법원은 구 실용신안법 제8조 제4항 제1호(현행 제9조 제4항 제1호 참조)를 근거로,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는 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평균적인 기술자가 명세서만으로도 기술 구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되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대법원은 이 사건 등록고안의 명세서, 청구항, 도면, 그리고 당시의 경첩 관련 기술 수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습니다. 그 결과, '스토퍼'라는 용어는 단순히 한쪽 고정 편에서 연장 돌출된 부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 편과 고정 축을 연결하는 연결 링 부분까지 포함한다고 해석했습니다. 따라서 스토퍼가 ‘고정 축에 설치된다’는 청구항의 내용은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의해 충분히 뒷받침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참고로 이 판결에서 참조된 대법원 판례는 대법원 1999. 12. 10. 선고 97후2675 판결, 대법원 2000. 10. 27. 선고 98후232 판결 등이 있습니다.)

결론:

이 판결은 실용신안 출원 시 상세한 설명과 도면 작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평균적인 기술자가 명세서만으로도 출원된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해야만 실용신안권을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내측'이라는 표현만으로는 부족하고, 당시 기술 수준을 고려하여 '고정 축'에 설치됨을 명확히 드러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내 실용신안, 어디까지 보호받을 수 있을까? - 실용신안권 범위에 대한 오해와 진실

등록된 실용신안의 보호범위는 출원 시 제출한 서류 중 '특허청구범위'에 적힌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특허청구범위에 여러 구성요소가 있다면, 그 요소들이 모두 합쳐진 기술이 보호되는 것이지, 각각의 구성요소가 따로따로 보호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다른 제품이 특허청구범위에 있는 일부 구성요소만 가지고 있고 나머지 중요한 요소들이 없다면, 특허침해가 아닙니다.

#실용신안권#침해#특허청구범위#구성요소

특허판례

의자 고정판 구조, 실용신안 침해일까?

의자 고정판에 다리 연결 축을 고정하는 방식이 다른 두 고안이 서로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두 고안의 고정 방식 차이가 가져오는 효과 차이가 크다고 판단하여, 유사하지 않다고 판결했습니다.

#의자#고안#권리범위#고정방식

특허판례

실용신안권의 권리범위와 진보성 판단 기준

실용신안권의 권리범위는 오직 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판단해야 하며, 도면이나 설명으로 보완 해석할 수 없다. 또한 상업적 성공만으로 진보성을 인정할 수 없으며, 종속항처럼 보이더라도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변경했다면 독립항으로 봐야 한다.

#실용신안권#권리범위#등록청구범위#진보성

특허판례

실용신안권의 권리범위, 어디까지 보호받을 수 있을까?

실용신안권의 보호 범위는 출원서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문맥과 상황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특히, 종속항처럼 보이는 문구라도 실제로는 독립적인 권리를 주장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실용신안권#범위해석#청구범위#종속항

특허판례

스프링 위치, 실용신안 침해 여부를 가르다!

어떤 제품에 스프링을 어떻게 설치할지를 설명하는 실용신안의 권리 범위를 판단할 때, 단순히 출원서에 적힌 글자 그대로의 의미만 보는 것이 아니라, 제품 설명서와 그림까지 함께 봐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스프링이 "연결부재에 삽입"된다고만 적혀 있었는데, 설명서와 그림을 보니 연결부재의 "외부"에 삽입되는 것을 의도한 것으로 해석되었습니다.

#실용신안#권리범위#스프링#삽입

특허판례

가스버너 고안, 등록 무효 심판에서 정정 청구는 가능할까?

가스버너 실용신안 무효심판에서, 실용신안권자가 오기나 불명확한 기재를 정정하는 청구는 실용신안의 보호 범위를 확장하지 않는 한 허용된다.

#실용신안#무효심판#정정청구#보호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