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1.10.09

민사판례

건설사 파산, 하자보수는 어떻게?

건설사가 파산하면, 이미 완공된 건물의 하자 보수는 어떻게 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설사 파산과 관련된 법적 문제와 하자보수 책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소개

A 건설사가 B 회사의 건물을 짓고 완공 후 인도까지 마쳤습니다. 그런데 얼마 후 A 건설사가 파산했습니다. B 회사는 건물에 하자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A 건설사의 파산관재인에게 하자 보수를 요구했지만, 파산관재인은 하자보수 비용은 파산채권에 해당하므로 파산절차에서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B 회사는 이에 동의하지 않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건설사가 건물을 완공하고 인도한 후 파산한 경우, 발생한 하자에 대한 보수 책임을 어떻게 물을 수 있는지, 그리고 하자보수 비용을 청구할 권리가 파산채권인지 재단채권인지 여부입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건설사가 건물을 완공하고 인도한 후 파산한 경우, 건축공사 도급계약은 이미 이행이 완료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하자보수 의무는 파산 선고 이전에 발생한 기존의 채무로, 파산채권에 해당합니다. 즉, 하자보수 비용 청구는 파산절차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파산법 제50조는 쌍방이 모두 계약 이행을 완료하지 않은 쌍방 미이행 쌍무계약에 적용됩니다. 이 조항은 파산관재인에게 계약을 해제하거나 파산자의 채무를 이행하고 상대방의 채무 이행을 청구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합니다. 하지만 이 사례처럼 건물이 이미 완공되어 인도되었다면, 계약은 이행된 것으로 간주되므로 더 이상 쌍방 미이행 쌍무계약이 아니게 됩니다. 따라서 파산법 제50조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참고: 파산법 제50조, 제51조, 민법 제664조, 제667조, 파산법 제38조 제7호)

결론

건설사가 건물을 완공하고 인도한 후 파산한 경우, 건물의 하자보수는 파산절차를 통해 처리해야 합니다. 하자보수 비용은 파산채권에 해당하므로, 파산절차에서 다른 채권자들과 함께 배당을 받아야 합니다. (대법원 2002. 5. 10. 선고 2001다83517 판결)

핵심 정리

  • 건설사가 완공 후 파산 시, 하자보수는 파산절차를 통해 진행.
  • 하자보수 비용은 파산채권에 해당.
  • 건물 완공 및 인도 후 파산은 쌍방 미이행 쌍무계약에 해당하지 않음.

이번 포스팅이 건설사 파산과 관련된 법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건설사 파산! 하자보수는 누가 책임질까요? 🤯

건설사가 건물 완공 후 파산하면 하자보수 책임은 있으나, 하자보수 비용 청구는 파산채권이므로 파산 절차를 통해 배당받아야 한다.

#건설사 파산#하자보수#재단채권#파산채권

민사판례

하자보수보증금, 언제까지 맡겨둬야 할까요?

공사 하자담보책임기간이 끝나면, 설령 하자보수보증금을 아직 내지 않았더라도 건설사는 보증금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없고, 발주자는 하자에 대한 보수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복합공사의 경우, 각 공종별로 하자담보책임기간을 따져봐야 합니다.

#하자보수보증금#하자담보책임#공종별#복합공사

민사판례

공사대금 미지급에 빡친 건설사, 공사 중단?! 하자보수 책임은 누구에게?

건물 공사에서 하자가 발생했을 때, 건축주는 공사대금 지급을 거부할 수 있지만 (동시이행 항변권), 그 범위는 하자 보수 비용에 비례해야 하며, 건축주의 자력 등을 고려하여 공평하게 정해져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건물공사#하자#공사대금#동시이행항변권

민사판례

건축 하자, 공사비 지급 거절? 잠깐! 알아두어야 할 법적 상식

건물 공사 후 하자가 있을 때, 건축주는 무조건 공사대금 지급을 거절할 수 없고, 하자 보수를 요청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손해배상을 청구해야 합니다.

#건물 하자#공사대금 지급 거절#하자 보수 청구#손해배상 청구

민사판례

공사 하자, 어떻게 따져야 할까요?

공사 하자에 따른 손해배상을 청구하려면, 단순히 계약 내용과 다르게 시공되었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고, 실제로 하자가 존재하는지, 그 하자의 정도와 원인, 그리고 그로 인한 손해 범위를 구체적으로 따져봐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공사하자#손해배상#하자판단기준#손해배상범위

민사판례

공사대금과 하자보수, 돈 받을 권리와 고칠 의무의 줄다리기

공사에 하자가 있는 경우, 건축주는 하자 보수 비용만큼의 공사대금 지급을 거절할 수 있지만, 나머지 공사대금은 지급해야 합니다. 즉, 하자 보수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와 *전체* 공사 잔금이 아니라 *하자 보수 비용에 해당하는 금액만큼의* 공사 잔금 지급이 동시이행 관계에 있습니다.

#공사하자#보수비용#공사대금#동시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