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9.09.24

일반행정판례

건축허가, 아무 이유나 거부할 수 없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허가와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건축허가를 받으려고 하는데, 담당 공무원이 법에도 없는 이유로 허가를 안 내준다면 얼마나 억울할까요? 이번 판례는 바로 그런 상황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건물을 증축하려고 안양시 만안구청에 건축허가를 신청했습니다. 그런데 구청에서는 허가를 내주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원고가 증축하려는 지역이 '2020 안양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대상 지역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었습니다. 미래에 정비계획이 확정되면 건물이 철거될 수도 있으니, 지금 허가를 내주면 나중에 자원 낭비가 될 수 있다는 논리였죠. 원고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1심과 2심 법원은 구청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뒤집고 원고의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 대법원은 건축허가는 법에 정해진 제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한 당연히 허가를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건축법 제11조) 또한, 중대한 공익상의 필요가 없다면 법에 없는 이유로 허가를 거부할 수 없다고 판시했습니다.

구청은 도시정비 기본계획에 저촉될 가능성을 이유로 들었지만, 당시 시행되던 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2009. 2. 6. 법률 제944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3조에 따르면, 개발행위를 제한하려면 '제한지역, 제한사유, 제한대상, 제한기간'을 미리 고시해야 합니다. 즉, 단순히 계획 수립 중이라는 이유만으로는 건축허가를 거부할 수 없다는 것이죠. 대법원은 이러한 법 조항의 취지를 들어 구청의 거부처분은 위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핵심 정리

  • 건축허가는 법적 제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으면 허가해야 합니다.
  • 중대한 공익상의 필요 없이 법에 없는 이유로 허가를 거부할 수 없습니다.
  • 도시계획 수립 중이라는 사실만으로는 건축허가를 거부할 충분한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개발행위 제한은 법에서 정한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건축법 제11조
  • 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2009. 2. 6. 법률 제944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3조
  • 대법원 2003. 4. 25. 선고 2002두3201 판결
  • 대법원 2006. 11. 9. 선고 2006두1227 판결

이번 판례를 통해 건축허가와 관련된 법 원칙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건축허가를 둘러싼 분쟁이 발생했을 때, 이 판례가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숙박시설 건축허가, 법에 어긋나지 않으면 허가해야 한다!

건축 허가는 법에 정해진 제한 사유 외에는 거부할 수 없다. 자연경관 훼손이나 퇴폐 분위기 조성 우려 등은 법적 근거 없는 거부 사유다. 또한, 소송 중에는 처음 거부했던 사유와 관련 없는 새로운 사유를 덧붙일 수 없다.

#건축허가#법률적합성#불허가처분취소#자의적거부

일반행정판례

건축허가를 안 해준다고 소송을 걸 수 있을까?

행정청에게 건축허가를 내달라고 요구하는 소송은 원칙적으로 할 수 없습니다.

#건축허가#이행소송 불가#취소소송#소각하

일반행정판례

건축허가대로 지었는데, 사용검사를 안 해준다고요?

건축주가 허가받은 대로 건물을 지었더라도, 건축허가 자체에 문제가 있다면 관청이 사용승인(사용검사)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건축주의 손해가 너무 크다면 사용승인을 거부할 수 없습니다.

#건축허가#사용승인(사용검사)#거부#하자

일반행정판례

불법 건축물, 증축 허가 받을 수 있을까요?

건축법을 위반한 불법 건축물은 건축법에 따른 증축 허가를 받을 수 없다.

#불법 건축물#증축 허가 불가#용도 변경#시정명령

일반행정판례

건축허가, 마음대로 안 된다고요? 알아둬야 할 건축허가권자의 재량!

건축허가를 받으려는 건물이 법에 정해진 제한 사항에 걸리지 않으면, 시청이나 구청 등 허가권자는 다른 이유로 허가를 거부할 수 없다.

#건축허가#법적 제한#허가권자#거부

일반행정판례

건축허가 변경, 아무렇게나 할 수 없다! 개발행위허가 기준도 확인해야 합니다.

건축허가를 받으려면 건축법뿐 아니라 국토계획법에서 정한 개발행위허가 기준도 충족해야 하며, 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면 허가권자는 건축허가(변경허가 포함)를 거부할 수 있다.

#건축허가#개발행위허가#의제허가#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