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07.27

가사판례

계부가 친자로 출생신고한 아이, 진짜 가족이 될 수 있을까? - 출생신고와 입양의 효력

이번 포스팅에서는 계부가 재혼 후 아내의 전남편 자녀를 친자식으로 출생신고한 경우, 실제 친자관계가 아님에도 법적으로 가족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를 소개합니다. 꽤 복잡한 사건이지만, 핵심은 출생신고가 입양신고로서의 효력을 가질 수 있는가 입니다.

사건의 개요

한 남성(계부)이 사망한 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두 자녀를 둔 여성과 재혼했습니다. 당시 아이들은 7살, 4살이었죠. 계부는 아이들을 친자식처럼 키우기로 약속하고 자신의 호적에 친생자로 출생신고를 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계부의 친아들이 나타나, 이 출생신고의 효력을 다투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즉, 계부와 아이들 사이의 친자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해달라는 소송이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1심과 2심에서는 계부의 친아들의 손을 들어주었지만, 대법원은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대법원은 계부가 아이들을 친자식으로 출생신고할 당시, 단순히 법적인 친자관계를 넘어 양친자관계를 만들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보았습니다. 당시 아이들의 나이가 어렸고, 계부가 아이들을 친자식처럼 키우겠다고 약속한 점, 실제로 오랜 기간 친자식처럼 양육하며 혼인까지 시킨 점 등을 고려하면, 출생신고라는 형식적인 절차상의 오류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는 입양의 의사가 있었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즉, 출생신고가 입양신고를 대신하는 효력을 가진다고 본 것이죠. 따라서 계부와 아이들 사이에는 양친자관계가 성립하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를 번복할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민법 제878조 (입양의 성립): 입양은 당사자간의 합의와 신고에 의하여 성립한다.
  • 가사소송법 제2조 제2호의 라 (가정법원의 관할): 입양의 무효 또는 취소에 관한 소
  • 민사소송법 제228조 (확인의 이익): 확인의 소는 확인의 이익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허용된다.
  • 대법원 1977.7.26. 선고 77다492 판결: 출생신고가 입양신고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판례
  • 대법원 1988.2.23. 선고 85므86 판결: 양친자관계를 해소할 필요가 있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호적기재의 말소를 통한 친자관계 부정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판례

결론

이 판례는 형식적인 절차보다 실질적인 관계를 중시하는 판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록 출생신고라는 잘못된 형식을 취했지만, 계부가 아이들을 진심으로 자신의 자녀로 받아들이고 양육했다는 점을 인정하여 법적으로도 가족으로 인정한 사례입니다. 이를 통해 법은 혈연관계만큼이나 사랑과 양육의 의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지만, 사실은 입양? 그 효력은?

부부의 한쪽이 배우자가 아닌 사람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를 친자로 출생신고 했더라도, 입양의 의사가 있었고 실질적인 요건을 갖춘 경우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후 친생자 관계 부존재 확인 판결이 확정되면 더 이상 양친자 관계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출생신고#입양#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양친자관계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로 입양 효력 인정될까? - 가족법 판례 해설

재혼 가정에서 새아버지가 의붓자식을 입양하기로 생모와 합의하고, 입양신고 대신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다면 이 출생신고는 입양으로서 효력을 가진다. 또한, 과거 장남의 입양을 제한했던 민법 조항을 어기고 입양했더라도 입양 자체는 무효가 아니라 취소할 수 있는 사항이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 효력 인정#재혼 가정#의붓자식

민사판례

친자 아닌데 출생신고 했다면? 나중에라도 진짜 자식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

친자식이 아닌 아이를 친자식으로 출생신고 했더라도, 이후 양부모가 아이를 진짜 자식처럼 키웠다면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신고#입양의사#실질적 요건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가 입양으로 인정된 사례

남자가 아내와 혼인 중 내연녀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들을 자기와 아내의 친자로 출생신고한 경우에도, 실제로 양육하고 부양하는 등 입양의 의사가 있었다면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양육#부양

가사판례

아들로 출생신고된 양자, 진짜 가족일까?

일제강점기 시절, 호적상 친생자로 신고되었지만 실제로는 양자로 들인 경우에도 입양의 효력이 인정되며, 다른 사람을 사실상 양자로 대했다는 사실만으로 기존 양친자 관계가 소멸되는 것은 아니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양친자 관계#상속

상담사례

아이 낳은 것처럼 출생신고 했는데, 생모가 나타났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불법적인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지만, 입양 의사가 있었다면 입양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있으나, 법 개정으로 확실한 답변을 위해 전문가 상담이 필수적이다.

#출생신고#생모#친생자#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