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주택을 사면 취득세를 더 많이 내야 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하지만 주거 목적이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할 거라면 중과세를 피할 수 있는 예외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 예외를 악용하려다 오히려 세금 폭탄을 맞은 사례가 있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사건의 개요
한 사람(원고)이 고급주택과 그 땅을 샀습니다. 고급주택을 사면 취득세가 중과세 되는데, 이 사람은 "주거용이 아니라 다른 용도로 쓸 거니까 중과세는 부당하다!"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이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법원의 판단
법원은 원고의 행동을 수상하게 여겼습니다. 원고는 고급주택과 땅을 산 지 얼마 되지 않아 바로 다른 사람에게 팔아버렸습니다. 게다가 원래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건물을 짓겠다며 건축 허가를 신청했지만, 관할 관청에서 여러 차례 설계 보완을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따르지 않아 허가가 반려되었습니다. 나중에 설계를 변경하면 허가를 받을 수 있었는데도 그러지 않고 남은 땅까지 팔아버렸습니다.
이런 정황을 보면, 애초에 주거 이외의 용도로 사용할 의사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 법원의 판단입니다. 결국 취득세 중과세를 피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관련 법 조항
핵심 정리
고급주택을 취득한 후 바로 매도하는 등 주거 이외의 용도로 사용할 의사가 없었다고 판단되면, 취득세 중과세를 피하기 어렵습니다. 세금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실제 사용 목적에 맞는 행동을 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겠습니다.
세무판례
낡은 고급주택을 허물고 새로 짓기 위해 취득하는 경우에도, 살 목적이 아니라면 취득세 중과세를 피할 수 있지만, 진짜로 살 목적이 아니었는지는 객관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세무판례
취득 당시 고급오락장으로 사용되던 부동산이라도, 취득 후 곧바로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취득했다는 사실이 명확하고 실제로 용도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취득세 중과세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세무판례
고급주택의 대지만 취득했더라도, 건물과 대지 소유주가 다르더라도 취득세 중과세 대상이 될 수 있다. 중과세 여부는 대지 면적이나 가격이 기준을 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세무판례
고급주택의 대지 일부만 취득해도 취득세가 중과되며, 부속토지 여부는 실제 사용 현황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세무판례
골프장 건설을 위해 국유림과 교환할 목적으로 임야를 취득했지만, 법령 변경으로 교환이 늦어져 1년 넘게 사용하지 못한 경우, 이를 '정당한 사유'로 인정하여 취득세 중과세를 면제할 수 없다.
세무판례
주택건설 목적으로 토지를 샀지만 기한 내에 착공하지 못했을 때, 세금 중과를 피할 수 있는 '정당한 사유'란 무엇인지, 그리고 토지와 건물을 함께 샀을 때 취득세를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