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5.05.28

민사판례

공공기관의 신제품 구매의무 위반과 국가배상책임

안녕하세요. 오늘은 공공기관의 신제품 구매의무 위반과 관련된 국가배상책임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번 판례는 공공기관의 의무 위반이 어떤 경우에 국가배상책임을 발생시키는지, 그리고 특히 산업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신제품 구매의무 위반 시 국가가 배상책임을 지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사건의 개요

신제품 인증을 받은 기업(원고)이 공공기관(피고)들을 상대로 구 산업기술혁신 촉진법에 따른 신제품 구매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손해를 입었다며 국가배상책임을 묻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배상책임을 지려면 공무원의 직무상 의무 위반이 국민 개개인의 안전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만약 그 의무가 단순히 행정기관 내부 질서 유지를 위한 것이거나, 공공 일반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면, 설령 그 의무 위반으로 국민에게 손해가 발생했더라도 국가는 배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이 사건에서 쟁점이 된 구 산업기술혁신 촉진법상 공공기관의 신제품 구매의무는 산업기술 개발 촉진이라는 공공 일반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신제품 인증 기업이 구매의무 이행으로 이익을 얻는 것은 단지 반사적 이익에 불과하며, 법이 직접적으로 보호하려는 이익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공공기관이 신제품 구매의무를 위반했다 하더라도 신제품 인증 기업에 대한 국가배상책임은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판결의 의의

이 판결은 공무원의 직무상 의무 위반과 국가배상책임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하고, 특히 공공 일반의 이익을 위한 법령에서 개인에 대한 배상책임 인정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공무원이 직무를 집행하면서 고의 또는 과실로 법령을 위반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때에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다만, 군인·군무원·경찰공무원 또는 소방공무원이 전투·훈련 등 직무집행과 관련하여 손해를 가한 경우에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
  • 민법 제750조: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 구 산업기술혁신 촉진법 (2009. 1. 30. 법률 제93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조, 제3조, 제16조 제1항, 제17조 제1항
  • 구 산업기술혁신 촉진법 시행령 (2009. 4. 30. 대통령령 제2146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3조, 제24조, 제25조, 제27조
  • 대법원 2000. 6. 9. 선고 98다55949 판결
  • 대법원 2001. 10. 23. 선고 99다36280 판결
  • 대법원 2009. 7. 23. 선고 2006다87798 판결

이번 포스팅이 국가배상책임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공공기관, 인증신제품 안 샀다고 배상해야 할까? 🤔

공공기관의 인증신제품 구매 의무는 공익을 위한 것이므로, 구매하지 않더라도 국가 배상 책임은 없다.

#인증신제품#공공기관 구매의무#국가배상#공익

민사판례

신기술 적용 의무와 국가배상책임: 건설기술과 산업기술혁신

국가가 신기술을 건설공사 설계에 반영하지 않거나 인증신제품을 일정 비율 구매하지 않더라도, 그 자체로 국가배상책임을 지는 것은 아니다.

#국가배상책임#신기술#설계반영#인증신제품

생활법률

공무원 때문에 손해를 봤다면? 국가배상 청구 A to Z!

공무원의 고의 또는 과실로 손해를 입은 국민은 국가배상 제도를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청구 절차, 배상 기준, 소멸시효 등 관련 법령을 확인하고 필요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국가배상#공무원#손해배상#배상기준

민사판례

개간허가 취소와 국가배상책임

행정처분이 나중에 법원에서 취소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담당 공무원의 잘못으로 국가가 배상책임을 지는 것은 아닙니다. 공무원이 일반적인 공무원의 기준으로 볼 때 주의 의무를 다하지 못하고, 그 행정처분이 객관적으로 정당성을 잃었다고 인정될 정도여야 국가가 배상책임을 집니다.

#국가배상책임#개간허가취소#공무원주의의무#위법행위

민사판례

공무원의 위조행위, 국가 책임 물을 수 있을까?

세관 공무원이 다른 공무원의 공무원증 등을 위조하여 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사건에서, 비록 위조행위가 개인적인 목적이었더라도 직무와 관련된 외관을 보였기 때문에 국가가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공무원#위조#국가배상#직무관련성

민사판례

공무원의 잘못된 확인서 발급으로 땅 산 사람, 손해배상 받을 수 있을까?

공무원이 잘못된 토지이용계획확인서를 발급하여 개인이 손해를 입었을 경우, 국가는 배상 책임을 진다. 공무원의 과실과 손해 발생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어야 하며, 피해자의 과실이 있다면 손해배상액이 줄어들 수 있다.

#국가배상책임#토지이용계획확인서#공무원 과실#상당인과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