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0.11.14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면직처분과 호봉 정정에 대한 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공무원 관련 소송을 준비하다 보면, 누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담당 부서나 기관이 바뀌었거나, 과거의 처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려는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판례를 통해 소송 상대방, 즉 '피고'를 정확히 특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처분 후 권한 승계 시 피고는 누구?

행정소송법 제13조 제1항은 취소소송의 피고는 처분을 한 행정청이지만, 처분 후 권한이 다른 행정청에 승계되었다면 승계한 행정청이 피고가 된다고 규정합니다. 이때 '권한 승계'는 단순히 조직 개편이나 합병 등의 경우뿐만 아니라, 처분 상대방의 지위나 주소 변경으로 관할이 이전된 경우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공무원의 근무지가 변경되어 인사권을 가진 기관이 달라졌다면, 변경된 기관이 피고가 될 수 있습니다.

2. 호봉 정정, 누가 해줄까?

공무원보수규정 제7조에 따르면 호봉 획정과 승급은 임용권자 또는 임용제청권자가 담당합니다. 만약 호봉 획정이나 승급에 오류가 있었다면, 공무원보수규정 제18조에 따라 현재의 임용권자가 이를 정정해야 합니다. 즉, 과거에 잘못된 호봉 획정을 한 기관이 아니라, 현재 인사권을 가진 기관을 상대로 정정을 요청해야 합니다. 이는 과거의 잘못된 처분을 정정할 권한이 현재의 임용권자에게 승계되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3. 1980년 공직자 숙정계획 관련 면직처분은 유효할까?

1980년 공직자 숙정계획 당시 많은 공무원들이 일괄사표 제출 후 선별 수리되는 방식으로 면직되었습니다. 이러한 면직처분이 강압에 의한 것이라 주장하며 무효확인소송을 제기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대법원 1986. 7. 22. 선고 86누43 판결, 대법원 1992. 8. 14. 선고 92누909 판결, 대법원 1997. 12. 12. 선고 97누13962 판결) 사직원 제출 당시 수리 또는 반려될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었고, 외부적으로 사직 의사를 표시했다면 그 효력이 발생한다는 입장입니다. 또한, 민법 제107조의 비진의 의사표시에 관한 규정은 사인의 공법행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숙정계획의 일환이었다는 이유만으로 면직처분을 당연무효라고 주장하기는 어렵습니다.

결론:

공무원 관련 소송에서는 피고를 정확히 특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권한 승계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현재 권한을 가진 행정청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호봉 정정 역시 현재의 임용권자를 상대로 해야 효력이 있습니다. 또한, 과거의 사건이라 하더라도 관련 법리와 판례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선고유예와 당연퇴직, 그리고 그 후...

공무원이 선고유예를 받아 당연퇴직된 후 면소 처분을 받더라도 이미 발생한 퇴직의 효력은 사라지지 않으며, 퇴직 후 사실상 근무한 기간은 공무원 경력이나 연금 계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잘못 계산된 호봉은 나중에라도 정정될 수 있습니다.

#선고유예#당연퇴직#면소#사실상 근무

일반행정판례

행정심판 기간 놓치면 소송도 못한다?

행정심판을 제기할 수 있는 기간이 지나서 제기한 경우, 행정청이 그 사실을 모르고 내용에 대한 판단을 했더라도 행정소송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본다.

#행정심판#제기기간#도과#행정소송

일반행정판례

사립학교 직원 호봉 정정 명령, 직원도 소송 제기 가능할까?

교육감이 사립학교 직원들의 호봉이 잘못 계산되었다며 학교법인에 시정명령을 내렸을 때, 직원들도 그 명령에 대해 직접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사립학교 직원#교육감 시정명령#소송#원고적격

일반행정판례

호봉 재획정 거부, 부작위위법확인소송으로 다툴 수 없다?

공무원이 호봉 재획정 시 과거 경력 인정을 요구했지만 거부당한 경우, '경력 불인정' 자체가 아니라 그 결과인 '호봉 재획정 처분'에 대해 불복해야 한다.

#부작위위법확인소송#호봉재획정#경력불인정#처분

일반행정판례

호적 담당 공무원의 성실의무 위반과 징계해임의 정당성

호적 담당 공무원이 호적 변조 사실을 알고도 즉시 보고하지 않고 방치하여 허위 호적등본이 발급되게 한 경우, 징계해임 처분은 정당하다.

#호적변조#방치#공무원#징계해임

생활법률

공무원에게 성희롱을 당했다면? 알아두면 힘이 되는 법적 대응 방법!

공무원에게 직무 관련 성희롱을 당하면 가해 공무원뿐 아니라 국가/지자체에도 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으며, 공공기관의 관리·감독 소홀도 책임 사유가 된다.

#공무원 성희롱#국가배상#직무집행#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