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5.12.05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비리와 사직, 강요였을까?

공무원이 비리를 저질렀을 때 감사 과정에서 사직을 권유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사직을 종용받았다고 주장한다면, 이 사직은 정말로 강요된 것일까요? 최근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경찰 공무원(원고)이 여러 비위 행위로 감사를 받게 되었습니다. 감사 담당자는 원고에게 사직하지 않으면 징계 파면되어 퇴직금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결국 원고는 사직서를 제출했고, 이후 이 사직이 강요에 의한 것이라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감사 담당자가 강경한 태도로 징계 가능성과 퇴직금 불이익을 언급했더라도, 이는 비위 행위에 따른 객관적인 상황을 알려준 것에 불과하다고 보았습니다. 원고는 스스로 자신의 비위 행위와 그에 따른 불이익을 고려하여 사직서를 제출한 것이므로, 강요에 의한 사직이라고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핵심 포인트

  • 감사 담당자의 강경한 태도 자체가 사직 강요는 아닙니다.
  • 공무원 스스로 비위 행위와 그 결과를 예상하고 사직을 선택했다면, 이는 자발적인 의사결정으로 봐야 합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국가공무원법 제68조 (징계의 종류) (징계의 종류를 명시한 조항으로, 본 사건과 간접적으로 관련됩니다. 파면은 징계의 한 종류이며, 파면될 경우 퇴직금에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대법원 1986. 7. 22. 선고 86누43 판결
  • 대법원 1986. 8. 19. 선고 86누81 판결
  • 대법원 1990. 11. 27. 선고 90누257 판결 (이 판례들은 사직의 강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유사 판례입니다.)

이번 판례는 공무원의 비위 행위와 관련된 사직의 효력에 대한 중요한 판단 기준을 제시합니다. 비슷한 상황에 놓인 공무원이나 일반인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비리, 사직 권유받고 그만뒀다면? 진짜 내 의지였을까?

비리를 저지른 공무원이 수사기관이나 소속기관으로부터 사직을 권유받거나 종용받은 후 사직서를 제출했더라도, 그 사직의 의사가 진정한 것이라면 사직은 유효합니다. 단순히 사직을 권유받았다는 사실만으로는 사직의 의사가 없었다고 볼 수 없습니다.

#비리공무원#자진사직#사직종용#사직효력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비리, 사직 종용은 정당한가? - 사직의 진실

공무원이 뇌물수수 등 비위행위로 수사를 받던 중, 수사기관과 소속 기관의 사직 권유를 받아들여 사직서를 제출한 경우, 이것이 진정한 자유의사였는지 아니면 강요에 의한 것인지가 쟁점입니다. 이 판례는 사직 권유가 있었다 하더라도, 공무원 스스로 형사처벌과 징계를 피하려는 목적으로 사직을 선택했다면 강요된 사직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공무원#비위행위#수사#사직권유

일반행정판례

공무원의 사직, 진심이 아니어도 효력 있을까?

공무원이 스스로 사직서를 제출했다면, 마음속으로는 사직하고 싶지 않았더라도 사직의 효력이 발생합니다. 다만, 감사기관 등의 강박에 의해 사직서를 낸 경우, 강박의 정도가 심하여 의사결정의 자유를 완전히 빼앗긴 정도라면 사직은 무효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징계 가능성 등을 알려주며 사직을 권고한 정도라면 사직의 효력이 인정됩니다.

#공무원#사직#강박#의사표시

일반행정판례

퇴직금 수령이 해고 승인을 의미할까? - 강제 사직과 퇴직금

회사의 강요로 사직서를 쓴 후 퇴직금을 받았더라도, 이를 해고에 동의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

#강제사직#퇴직금#해고#부당해고

형사판례

직장 상사의 사직 권유, 강요죄일까? 사문서위조죄는 어떤 경우에 성립할까?

상사가 비리를 저지른 부하직원에게 사직을 권고한 것만으로는 강요죄가 성립하지 않으며, 사문서위조죄는 법률상 또는 사회생활상 중요한 사실을 증명하는 문서를 위조해야 성립한다는 대법원 판결.

#강요죄#사문서위조죄#사직권고#협박

민사판례

강제 사직, 진짜 사직일까? 해고일까?

회사가 모든 직원에게 사직서를 제출하게 한 후, 일부 직원만 선별하여 면직시킨 경우, 이는 해고에 해당한다. 또한, 1980년 공직자 정화계획으로 부당하게 해직된 경우, 특별조치법 외 다른 법률로도 구제받을 수 있다.

#일괄사직서#선별면직#해고#1980년 공직자 정화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