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4.11.27

민사판례

국내 은행 해외지점 예금, 세금 체납으로 압류될 수 있을까?

세금을 체납하면 국가는 체납자의 재산을 압류하여 세금을 징수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국내 은행의 해외지점에 예치된 예금도 압류 대상이 될 수 있을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그 답을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국가(원고)는 세금을 체납한 A씨의 재산을 압류하기 위해 A씨가 국내 은행의 해외지점(홍콩)에 예치한 예금에 대한 반환채권을 압류하려 했습니다. 이에 해당 은행(피고)은 해외지점 예금은 압류 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국내 은행의 해외지점 예금은 압류 대상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해외지점은 외국 은행으로 간주: 국내 은행의 해외지점은 외국에 설립되어 해당 국가의 법률에 따라 인가를 받고 운영됩니다. 따라서 외국 은행으로 간주되며, 외국 금융당국의 규제와 감독을 받습니다. 예금거래 역시 해외지점 소재 국가의 법률이 적용됩니다.
  • 본점과 전산망 분리 및 해외 인출 제한: 국내 은행 해외지점은 본점과 전산망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해외지점에 예치된 예금은 해당 국가에서만 인출 가능하며, 국내에서 사용하려면 송금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즉, 국내 은행 해외지점 예금은 국내 재산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국세징수법에 따른 압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국세징수법 제41조 참조)

결론

이번 판결은 국내 은행 해외지점 예금은 국내 세금 체납 처분의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해외지점 예금은 해외 소재 재산으로 취급되어 국내 법률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내 물건인데 왜 세금 때문에 압류당하나요? 제3자 압류, 어디까지 가능할까?

세금 체납자의 배우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물건이라도 배우자 소유라면 세금 체납을 이유로 압류할 수 없다. 체납자가 타인 소유 물건을 점유하고 있다면, 압류로 인해 점유를 방해받는 체납자는 압류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부부 공동 소유 물건 압류에 관한 민사집행법 조항은 세금 체납 압류에도 적용된다.

#세금 체납#타인 소유#물건 압류#불법

세무판례

세금 체납으로 압류당한 돈, 내 돈이라고 소송 걸 수 있을까?

세금 체납자의 재산이 아닌 내 재산을 세무서가 압류했을 때, 그 압류 처분을 취소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례입니다. 결론적으로, 직접적인 권리 침해가 없으므로 소송 자격이 없다는 것입니다.

#압류취소소송#원고적격#재산압류#세금체납

세무판례

세금 안 냈다고 내 돈 압류? 함부로 못 한다! - 국세 체납 처분과 압류 범위

세금 체납으로 인해 채권을 압류할 때, 압류 대상이 되는 세금은 압류 당시 채무자에게 통지된 세금으로 한정됩니다. 이는 세금 확정 전에 압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즉, 나중에 다른 세금이 발생하더라도 처음 압류할 때 통지되지 않은 세금은 해당 압류로 보전되지 않습니다.

#국세#체납#채권압류#압류범위

세무판례

내 물건인데 세금 때문에 압류당했어요!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세금 체납자의 것이 아닌 다른 사람 소유의 재산을 압류하는 것은 법적으로 효력이 없고 무효입니다.

#체납#제3자#재산압류#무효

민사판례

세금 체납 시 발생하는 가산금, 압류된 재산에서 추심 가능할까?

국가가 체납 세금을 받기 위해 채권을 압류할 때, 원래 세금뿐 아니라 그에 붙는 가산금과 중가산금까지 포함하여 징수할 수 있다.

#체납국세#압류#가산금#중가산금

일반행정판례

세금 안 냈다고 무조건 출국금지? NO!

단순히 세금을 많이 체납했다는 사실만으로는 출국금지할 수 없고, 재산을 해외로 빼돌릴 가능성이 있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국세청의 출국금지 요청이 있더라도 법무부는 독립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출국금지#세금 체납#재산 도피 가능성#기본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