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심금[국내은행 해외지점 예치예금 반환청구권 대상 추심금 청구 사건]

사건번호:

2013다205198

선고일자:

201411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과세관청이 납세자에 대한 체납처분으로서 국내은행 해외지점에 예치된 예금에 대한 반환채권을 대상으로 한 압류처분의 효력(무효)

판결요지

국내은행의 해외지점은 외국에 소재하면서 본점이나 국내지점과는 달리 별도로 소재지인 외국의 법령에 따른 인가를 받아 외국의 은행으로 간주되고, 은행업을 경영함에 있어서도 외국의 법령에 따라 외국 금융당국의 규제 및 감독을 받으며, 국내은행 해외지점에서 이루어지는 예금거래에 대해서도 소재지인 외국의 법령이 적용됨이 일반적이다. 또한 국내은행 해외지점은 본점 및 국내지점과 전산망이 연결되어 있지 아니하고, 국내은행 해외지점에 예치한 예금은 해외지점이 소재한 외국에서만 인출할 수 있을 뿐 이를 국내에서 처분하기 위해서는 다시 국내로의 송금 절차를 거쳐야만 한다. 따라서 과세관청이 납세자에 대한 체납처분으로서 국내은행 해외지점에 예치된 예금에 대한 반환채권을 대상으로 한 압류처분은 국세징수법에 따른 압류의 대상이 될 수 없는 재산에 대한 것으로서 무효이다.

참조조문

국세징수법 제41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대한민국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남산 담당변호사 이창 외 4인) 【피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우리은행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광장 담당변호사 지영철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3. 4. 18. 선고 2012나6383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국내은행의 해외지점은 외국에 소재하면서 본점이나 국내지점과는 달리 별도로 그 소재지인 외국의 법령에 따른 인가를 받아 그 외국의 은행으로 간주되고, 은행업을 경영함에 있어서도 외국의 법령에 따라 외국 금융당국의 규제 및 감독을 받으며, 국내은행 해외지점에서 이루어지는 예금거래에 대해서도 그 소재지인 외국의 법령이 적용됨이 일반적이다. 또한 국내은행 해외지점은 본점 및 국내지점과 전산망이 연결되어 있지 아니하고, 국내은행 해외지점에 예치한 예금은 그 해외지점이 소재한 외국에서만 인출할 수 있을 뿐 이를 국내에서 처분하기 위해서는 다시 국내로의 송금 절차를 거쳐야만 한다. 따라서 과세관청이 납세자에 대한 체납처분으로서 국내은행 해외지점에 예치된 예금에 대한 반환채권을 대상으로 한 압류처분은 국세징수법에 따른 압류의 대상이 될 수 없는 재산에 대한 것으로서 무효라고 할 것이다. 2. 원심은 그 채택 증거를 종합하여, 원고가 피고 본점에 피압류채권을 피고 본점에 대한 예금채권으로 기재한 압류통지서와 피압류채권을 피고 홍콩지점에 대한 예금채권으로 기재한 압류통지서를 각 송부한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피압류채권을 피고 본점에 대한 예금채권으로 한 압류는 그 압류의 대상이 피고 홍콩지점에 대한 예금채권까지 망라한 것으로 특정되었다고 할 수 없고, 피압류채권을 피고 홍콩지점에 대한 예금채권으로 한 압류는 국세체납처분권이 미치지 아니하는 지역에 소재한 재산에 대한 것이어서 효력이 없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피고 홍콩지점에 대한 예금채권의 압류가 유효함을 전제로 한 원고의 추심금 청구를 기각하였다.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채무의 귀속주체 내지 법인격 또는 체납처분의 대상, 행정행위의 공정력, 국세징수법상 채권압류 통지서의 특정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영철(재판장) 이상훈 김창석(주심) 조희대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내 물건인데 왜 세금 때문에 압류당하나요? 제3자 압류, 어디까지 가능할까?

세금 체납자의 배우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물건이라도 배우자 소유라면 세금 체납을 이유로 압류할 수 없다. 체납자가 타인 소유 물건을 점유하고 있다면, 압류로 인해 점유를 방해받는 체납자는 압류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부부 공동 소유 물건 압류에 관한 민사집행법 조항은 세금 체납 압류에도 적용된다.

#세금 체납#타인 소유#물건 압류#불법

세무판례

세금 체납으로 압류당한 돈, 내 돈이라고 소송 걸 수 있을까?

세금 체납자의 재산이 아닌 내 재산을 세무서가 압류했을 때, 그 압류 처분을 취소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례입니다. 결론적으로, 직접적인 권리 침해가 없으므로 소송 자격이 없다는 것입니다.

#압류취소소송#원고적격#재산압류#세금체납

세무판례

세금 안 냈다고 내 돈 압류? 함부로 못 한다! - 국세 체납 처분과 압류 범위

세금 체납으로 인해 채권을 압류할 때, 압류 대상이 되는 세금은 압류 당시 채무자에게 통지된 세금으로 한정됩니다. 이는 세금 확정 전에 압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즉, 나중에 다른 세금이 발생하더라도 처음 압류할 때 통지되지 않은 세금은 해당 압류로 보전되지 않습니다.

#국세#체납#채권압류#압류범위

세무판례

내 물건인데 세금 때문에 압류당했어요!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세금 체납자의 것이 아닌 다른 사람 소유의 재산을 압류하는 것은 법적으로 효력이 없고 무효입니다.

#체납#제3자#재산압류#무효

민사판례

세금 체납 시 발생하는 가산금, 압류된 재산에서 추심 가능할까?

국가가 체납 세금을 받기 위해 채권을 압류할 때, 원래 세금뿐 아니라 그에 붙는 가산금과 중가산금까지 포함하여 징수할 수 있다.

#체납국세#압류#가산금#중가산금

일반행정판례

세금 안 냈다고 무조건 출국금지? NO!

단순히 세금을 많이 체납했다는 사실만으로는 출국금지할 수 없고, 재산을 해외로 빼돌릴 가능성이 있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국세청의 출국금지 요청이 있더라도 법무부는 독립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출국금지#세금 체납#재산 도피 가능성#기본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