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9.03.14

형사판례

국정원 직원들의 정치개입 사건 판결 분석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정원 직원들이 조직적으로 정치에 개입하고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 한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사건은 국정원의 권한 남용과 증거 조작, 허위 공문서 작성 등 다양한 쟁점을 담고 있어 주목을 받았습니다.

1.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 성립 여부

피고인들은 검찰의 국정원 압수수색 과정에서 허위 자료를 제출하고 증거를 은닉하는 등 수사를 방해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대법원은 피의자가 단순히 허위 진술을 하거나 증거 제출을 거부하는 것만으로는 위계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시했습니다. 하지만 이 사건처럼 피고인들이 적극적으로 허위 증거를 조작하고, 그 결과 검찰이 충실한 수사에도 불구하고 진실을 밝히지 못했다면 위계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2003. 7. 25. 선고 2003도1609 판결, 대법원 2007. 10. 11. 선고 2007도6101 판결, 대법원 2011. 2. 10. 선고 2010도15986 판결 등)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들이 조직적으로 증거를 조작하고 은닉했기 때문에 유죄가 인정되었습니다.

2. 허위공문서작성죄의 객체

피고인들은 국정원의 정치개입 의혹을 부인하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배포했는데, 이것이 허위공문서작성죄에 해당하는지가 쟁점이었습니다. 대법원은 작성 명의가 명시되지 않았더라도 문서 자체로 작성자를 추정할 수 있다면 허위공문서작성죄의 객체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1995. 11. 10. 선고 95도2088 판결) 이 사건의 보도자료는 내용과 형식, 체제 등을 고려할 때 국정원 대변인 명의라는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에 허위공문서에 해당한다고 보았습니다.

3. 국가정보원법 위반죄

피고인들은 국정원법 제11조 제1항(직권남용 금지)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대법원은 이 조항의 '사람'에는 국정원 직원도 포함된다고 해석했습니다. 또한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직무권한을 불법적으로 행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의무 없는 일을 하게 한 때'는 법령상 의무가 없는 일을 시킨 경우를 말한다고 판시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국가정보원법 제11조 제1항, 제19조 제1항, 형법 제123조, 관련 판례: 대법원 2015. 12. 23. 선고 2015도3468 판결, 대법원 2017. 10. 31. 선고 2017도12534 판결) 이 사건에서 피고인들이 내부 직원들에게 증거를 은닉하도록 지시한 행위는, 직무집행을 보조하는 사실행위를 하도록 한 것에 불과하므로 '의무 없는 일'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무죄로 판결했습니다.

4. 직권남용죄와 지위를 이용한 불법행위의 구별

피고인 2는 보수단체에 자금 지원을 요청한 혐의로 기소되었는데, 이것이 직권남용인지, 지위를 이용한 불법행위인지가 쟁점이었습니다. 대법원은 직권남용죄는 공무원이 직무권한에 속하는 사항을 불법적으로 행사하는 경우에 성립하고, 지위를 이용한 불법행위는 직무권한에 속하지 않는 행위를 하는 경우에 성립한다고 판시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국가정보원법 제11조 제1항, 제19조 제1항, 관련 판례: 대법원 2013. 11. 28. 선고 2011도5329 판결) 이 사건에서 피고인 2의 행위는 직무권한 밖의 행위로 판단되어 직권남용이 아닌 지위를 이용한 불법행위에 해당한다고 보았고, 이 부분 공소사실은 무죄로 판단되었습니다.

이 판결은 국정원의 정치개입과 수사 방해에 대한 법적 책임을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특히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와 허위공문서작성죄의 성립 범위, 그리고 직권남용죄와 지위를 이용한 불법행위의 구별 기준을 제시하여 향후 유사 사건 판단에 중요한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댓글 조작 프로그램 개발 및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 판결 분석

댓글 조작 프로그램 개발 및 사용, 정치자금 기부, 수사기관에 허위 증거 제출 등의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들과 특별검사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여 원심판결을 확정함.

#댓글 조작#정치자금법 위반#수사 방해#상고 기각

형사판례

국정원 직원의 직권남용과 국고 손실에 대한 대법원 판결 분석

이 판결은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국정원)의 불법 정치 개입 및 국고 손실 혐의로 기소된 전직 국정원장 및 관련자들에 대한 상고심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국정원 직원들이 상관의 지시에 따라 정치에 개입한 행위가 직권남용에 해당하는지 여부, 국정원 예산을 불법적으로 사용한 행위가 국고 손실에 해당하는지 여부, 그리고 이러한 범죄행위들이 포괄일죄를 구성하는지 여부 등에 대해 판단했습니다.

#국정원#직권남용#국고손실#포괄일죄

형사판례

공무원의 허위공문서 작성, 상관의 위법한 명령, 그리고 증거위조에 대한 법원의 판단

국가정보원 직원들이 재판에 증거로 제출하기 위해 허위 확인서를 작성한 행위에 대해 허위공문서작성 및 행사죄는 인정되지만, 증거위조죄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 상관의 위법한 명령이라도 이에 따라야 할 의무는 없다는 점도 재확인.

#국정원#허위확인서#허위공문서작성죄#허위공문서행사죄

형사판례

교수 임용 과정, 부정행위일까? 아닐까? -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 논란

학과장이 지원자의 부탁으로 마감된 학회지에 논문이 게재되도록 도와주고 심사 기준을 강화했지만, 지원자의 논문이 자력으로 심사기준을 충족했고 다른 전형절차도 모두 거쳤다면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대학교수 임용#논문 게재#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성립 불성립

형사판례

담당 공무원도 아닌데, 남의 일에 끼어들어 허가를 내준 공무원,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일까?

담당자가 아닌 공무원이 청탁을 받고 자신의 권한 밖의 일을 처리하면서 속임수를 써서 담당 공무원이 잘못된 인허가를 내도록 했다면, 이는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한다.

#공무집행방해#위계#인허가#권한 없는 공무원

형사판례

공무원 노조 총투표 관련 복무 점검, 공무집행방해죄 성립할까?

정부가 공무원 노조 총투표 과정에서 복무 규정 위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지자체에 공무원을 파견하여 점검하는 행위는 적법한 공무집행이며,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공무원#노조#총투표#복무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