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국제운송업을 하는 외국 법인의 세금과 관련된 중요한 판결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복잡한 내용이지만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사건의 핵심 쟁점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판결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에서 승선/선적한 경우에만 과세: 국내사업장을 둔 외국 법인이 국제운송업을 하는 경우, 국내에서 승객이 배를 타거나 화물을 실은 경우에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만 한국에서 법인세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 승객이나 화물을 처리한 경우는 한국에서 세금을 낼 필요가 없습니다. (구 법인세법 제93조 제5호, 시행령 제132조 제2항 제7호)
선박 외국항행소득 증명책임은 과세관청: '선박의 외국항행소득'이 얼마인지는 원칙적으로 세무서에서 입증해야 합니다. (행정소송법 제26조)
영세율 적용 및 증명책임: 외국 법인의 국제운송 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영세율은 국내에서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한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영세율 적용 여부를 다투는 경우에는 영세율을 주장하는 쪽이 입증해야 하지만, 영세율 과세표준의 계산이 맞는지는 세무서에서 증명해야 합니다. (구 부가가치세법 제10조 제2항 제2호, 제11조 제1항 제3호, 제2항, 시행령 제25조 제1항, 행정소송법 제2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4. 8. 12. 선고 92누12094 판결, 대법원 2021. 2. 25. 선고 2017두237 판결, 대법원 2024. 4. 12. 선고 2023두58701 판결)
좀 더 쉽게 설명하면,
한국에 지점을 둔 외국 해운회사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회사가 부산에서 인천으로 화물을 운송하면 한국에서 세금을 내야 합니다. 하지만 일본에서 중국으로 화물을 운송하면 한국에서는 세금을 낼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세금을 얼마나 내야 하는지, 영세율이 적용되는 운송이 얼마나 되는지는 원칙적으로 세무서에서 증명해야 합니다.
이번 판결은 국제운송업을 하는 외국 법인의 세금 문제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특히 ‘선박의 외국항행소득’과 부가가치세 영세율과 관련된 증명책임에 대한 명확한 판단은 앞으로 유사한 분쟁에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세무판례
홍콩에 본사를 둔 해운회사가 한국에서 사업을 하면서 국내 사업장을 가지고 있는지, 내국법인인지 외국법인인지, 그리고 어떤 소득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하는지에 대한 법적 분쟁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특히 선박의 외국항행 소득에 대한 세금 면제 요건과 국내 사업장 여부 판단 기준이 쟁점이 되었습니다.
세무판례
해외에서 번 돈에 대한 세금을 국내에서 공제받을 때, 해외 소득에서 관련 비용을 뺀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는 판결. 해외에서 세금을 원천징수 당했더라도 마찬가지다.
세무판례
리스로 항공기를 운용하는 외국 항공사의 국내에서 발생한 소득을 계산할 때, 리스 항공기도 회사가 소유한 자산처럼 취급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즉, 10년 이상의 장기리스 항공기는 마치 회사 소유 항공기처럼 감가상각을 고려하여 세금을 계산해야 합니다.
세무판례
외국 법인의 한국 지점이 본점에 내는 경비는 어떻게 세금 계산에 반영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본점 경비, 환율 적용, 업무 관련성 없는 대출, 그리고 회계 처리 변경에 대한 세금 계산 방법을 다룹니다.
세무판례
타인 명의로 된 해외법인의 소득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려면, 과세 당국이 그 소득이 실제로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증명해야 합니다. 또한, 국내법인의 명의신탁은 증여로 간주되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지만, 해외법인에 대한 명의신탁은 국외증여에 해당하지 않아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습니다.
세무판례
해외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판매하고 세금을 낸 국내 기업이, 국내에서 세금 공제를 받을 때, 판매 수입에서 관련 비용을 뺀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는 판결. 해외에서 원천징수로 세금을 냈더라도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