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국제입양, 파양하고 싶다면? 국제파양 A to Z

국제입양은 사랑으로 시작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파양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가슴 아픈 결정이지만, 필요하다면 국제파양이라는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오늘은 국제파양이 무엇이고,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제파양이란?

국제입양으로 맺어진 부식관계를 법적으로 끊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국제입양으로 맺어진 가족 관계를 해소하는 것입니다. 단순한 마음의 문제가 아니라 법적인 절차를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국제파양의 법적 기준은?

국제파양은 입양 당시 양부모의 본국법에 따라 진행됩니다. (국제사법 제70조) 즉, 입양 당시 양부모가 어느 나라 사람이었는지에 따라 파양 절차와 요건이 달라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만약 양부모의 본국법에 파양 제도 자체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런 경우에는 우리나라 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파양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우리나라의 사회질서(공서)에 어긋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서울가정법원 1992. 4. 23. 선고 91드63419 판결, 서울가정법원 1990. 11. 28. 선고 89드73468 판결) '공서'는 공공의 질서와 선량한 풍속 등 사회 전반의 도덕규범을 의미합니다.

국제파양은 어떻게 진행될까요?

국제파양의 구체적인 방법은 국제사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법률행위의 방식에 관한 일반 규정(국제사법 제31조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입양 당시 양부모의 본국법 또는 파양이 이루어지는 곳의 법에 따라 진행됩니다. 즉, 양부모의 본국법에 따른 방식으로 파양 신고를 하거나, 파양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국가의 법에 따라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국제파양은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관련 법률 및 절차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이 국제파양에 대한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국제입양, 무엇이고 어떻게 진행될까요? (feat. 준거법)

국제입양은 양친의 본국법과 양자의 본국법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성립하며, 특히 국외입양은 입양특례법을 따릅니다.

#국제입양#국외입양#준거법#양친의 본국법

생활법률

국제입양, 어떻게 신고해야 할까요? 🤔

국제입양 신고는 입양 당사자의 국적과 입양 장소에 따라 양친의 본국법 또는 행위지법 중 선택 적용되며, 구체적인 절차는 상황별로 다르므로 관련 기관에 문의해야 합니다.

#국제입양#신고#국제사법#양친본국법

생활법률

입양의 끝, 파양에 대해 알아보자

입양 관계를 종료하는 파양은 당사자 합의로 진행하는 협의상 파양(단, 미성년자·피성년후견인 불가)과 법원 판결이 필요한 재판상 파양으로 나뉘며, 각각의 절차와 청구권자, 시효, 신고 방법 등이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파양#협의상 파양#재판상 파양#파양 청구권자

생활법률

입양의 끝, 파양에 대해 알아보자!

입양 관계 해소를 위한 파양은 협의(미성년자 불가)와 재판으로 구분되며, 법적 절차와 효과, 사유(학대, 유기, 부당대우 등)를 고려해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입양#파양#협의상 파양#재판상 파양

생활법률

국제입양, 알고 계신가요? 복잡한 법률 관계 쉽게 풀어드립니다!

국제입양은 양부모 국적에 따라 친자관계가 결정되며, 자녀의 개명은 한국 법원 허가가 필요하고, 국적 취득/상실은 입양과 별개로 귀화/국적보유신고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국제입양#법률#효력#본국법

생활법률

우리 아이, 법적으로 가족이 되는 길: 입양 절차 A to Z

아동 입양은 국내 입양(일반/친양자, 민법), 보호 아동 입양(입양특례법), 성본 변경(가사소송법), 효력 발생(가족관계등록법), 국제 입양(국제사법) 관련 법률에 따라 진행되는 중요한 결정이다.

#입양#민법#입양특례법#가사소송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