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5.06.23

민사판례

근저당권 피담보채권 양도와 경매, 배당에 관하여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경우, 근저당권이 설정됩니다. 이 근저당권은 돈을 빌려준 채권자(근저당권자)에게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이 돈을 갚지 않을 경우, 담보로 잡은 부동산을 경매에 넘겨 돈을 회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합니다. 그런데 이 근저당권과 함께 돈을 빌려준 권리(피담보채권)가 다른 사람에게 양도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여러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채권양도와 관련된 경매 및 배당 문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소개

A는 B에게 돈을 빌려주고 B 소유 부동산에 근저당권을 설정했습니다. 이후 A는 C에게 돈을 빌려준 권리와 근저당권을 함께 양도했습니다. C는 이를 근거로 B의 부동산에 대해 경매를 신청했고, 경매를 통해 D가 부동산을 낙찰받았습니다. 그런데 C는 B에게 채권양도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습니다. 이 경우 C는 경매를 신청할 수 있을까요? 또한, 경매 대금에서 돈을 받을 수 있을까요? 만약 B의 부동산에 다른 근저당권(예: E의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법원의 판단

법원은 C가 B에게 채권양도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더라도, 근저당권 이전등기를 마치고 경매신청 요건을 갖추었다면 경매를 신청할 수 있고, 경매 대금에서 돈을 받을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B는 채권양도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매 개시 결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지만, 이러한 이의 제기가 받아들여지지 않고 경매 절차가 진행되었다면 C는 경매 대금을 배당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C보다 후순위 근저당권자인 E는 C가 채권양도 사실을 B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는 이유로 C에게 이의를 제기할 수 없습니다. 채권양도에 대한 이의는 채무자(B)만 제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민법 제450조 (채권양도의 대항요건) 채권양도는 양수인이 채무자에게 통지하거나 채무자가 승낙하지 아니하면 채무자 기타 제삼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 민사집행법 제264조 (경매신청의 요건) 경매신청에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적은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1. 채권자·채무자 및 소유자(소유자있는 채권의 담보에 있어서는 채무자)
    2. 담보권과 피담보채권의 표시
    3. 담보권의 실행대상이 될 재산의 표시
    4. 피담보채권의 일부에 대하여 담보권을 실행하는 때에는 그 취지 및 범위
  • 대법원 2000. 10. 25.자 2000마5110 결정
  • 대법원 2004. 7. 28.자 2004마158 결정
  • 대법원 1983. 2. 22. 선고 81다134, 135, 136 판결
  • 대법원 1989. 1. 17. 선고 87다카1814 판결

결론

근저당권과 함께 피담보채권을 양도받은 사람은 채무자에게 채권양도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더라도 일정 요건을 갖추면 경매를 신청하고 배당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채무자는 채권양도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매 개시 결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후순위 근저당권자는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을 문제 삼아 양수인의 배당을 막을 수 없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돈 빌려주고 저당 잡았는데, 빌려준 돈과 저당권을 다른 사람에게 넘겼어요! 경매 신청 할 수 있을까요?

돈과 저당권을 양수받고 저당권 이전등기를 마쳤다면 채권 양도의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했어도 경매 신청이 가능하고, 후순위 저당권자는 이를 문제 삼을 수 없다.

#저당권#채권양도#경매#대항요건

민사판례

근저당권 이전등기 전 경매로 배당이 진행된 경우, 채권양수인의 권리

근저당권이 설정된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가 배당 절차가 진행될 때, 근저당권을 사고팔기로 했지만 아직 이전등기가 안된 경우 누가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이전등기 전이라면 근저당권을 판 사람이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있고, 산 사람은 이전등기가 완료될 때까지 직접 배당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근저당권#이전등기#경매#배당

민사판례

근저당권 설정자가 채권 양도 후 배당금을 받을 수 있을까?

근저당 설정자가 빚을 갚지 않아 부동산이 경매에 넘어갔습니다. 근저당권자는 빚을 다른 사람에게 팔았지만, 근저당권 이전등기를 하지 않았습니다. 이 경우 원래 근저당권자가 경매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결론은, **받을 권리가 없다** 입니다.

#근저당권#채권양도#이전등기#배당이의

민사판례

근저당권, 최고액보다 빚이 더 많다면?

빚을 담보하기 위해 설정한 근저당의 최고액보다 실제 빚이 더 많을 경우, 경매로 넘어간 담보물을 팔아 얻은 돈에서 최고액을 넘는 부분도 빚 갚는 데 쓸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다른 채권자가 없다면, 근저당 설정자(빚진 사람)에게 돌아가지 않고 근저당권자(돈 빌려준 사람)에게 갑니다.

#근저당#채권최고액 초과#배당#경매

민사판례

근저당권 실행 시 담보 채권 범위, 어디까지?

근저당 설정 후 경매 신청 시점까지 발생한 채권만 담보 범위에 포함됩니다. 경매 신청 이후 발생한 채권이나 비용은 담보 대상이 아닙니다.

#근저당권#피담보채권#확정시기#경매신청시점

민사판례

건물 소유권을 둘러싼 분쟁, 양도담보권과 그 이후

갑이 을에게 빚을 갚기 위해 건물을 담보로 제공했고, 을은 그 건물에 대한 권리를 병 등에게 넘겼습니다. 이후 갑의 다른 채권자 정이 갑을 대신하여 병 등에게 권리 말소를 청구했지만, 법원은 정의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갑이 담보로 제공한 건물은 이미 을의 소유가 되었고, 을은 적법하게 병 등에게 권리를 넘겼기 때문입니다. 설령 갑과 을 사이의 채무 관계가 나중에 해소되더라도, 병 등의 권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양도담보#제3자#권리 이전#채권자 이의 제기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