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10.27

일반행정판례

기능대학 교원 임용계약과 기간 만료 후 신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능대학 교원의 임용계약과 관련된 법원 판결을 쉽게 풀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사건은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이하 '공단') 산하 기능대학 교수로 재직하던 원고가 임용기간 만료 후 당연퇴직 처리된 것에 대해 부당해고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한 건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크게 두 가지였습니다.

  1. 공단이 정관과 인사규정에서 기능대학 교원을 계약직으로 임용하고, 임용 기간을 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적법한지, 그리고 그에 따라 체결된 임용계약이 유효한지 여부.
  2. 기간제로 임용된 교원의 임용기간이 만료되면, 재임용 거부 등 별도의 절차 없이 교원 신분이 당연히 종료되는지 여부.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첫째, 공단의 정관과 인사규정은 기능대학법, 구 한국직업훈련관리공단법(현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법), 교육공무원법, 사립학교법 등 관련 법령의 취지에 부합한다고 보았습니다. 대학교수는 높은 수준의 전문 지식과 교수 능력, 인격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임용기간 만료 시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재임용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공단이 정관과 인사규정에서 계약제 임용과 임용기간 설정을 규정한 것은 적법하며, 이에 근거한 임용계약 또한 유효하다고 판결했습니다. (관련 법률: 기능대학법 제5조, 구 한국직업훈련관리공단법 제13조)

둘째, 기간을 정해 임용된 교원은, 관련 법령이나 임용계약에서 임용권자에게 재임용 의무를 부과하거나 재임용 요건을 규정하지 않는 한, 임용기간 만료와 동시에 교원 신분이 당연히 종료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별도의 재임용 거부 절차 없이도 신분 관계가 종료된다는 것입니다. 이 사건에서 원고의 경우, 관련 법령이나 계약에서 공단에 재임용 의무를 부과하는 규정이 없었으므로, 임용기간 만료로 당연퇴직 처리된 것은 정당하다고 보았습니다. (참고 판례: 대법원 1987.6.9. 선고 86다카2622 판결, 1989.6.27. 선고 88누9640 판결, 1991.6.25. 선고 91다1134 판결)

결론적으로 법원은 공단의 정관과 인사규정, 그리고 원고의 당연퇴직 처리 모두 적법하다고 판결하여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기능대학 교원을 기간제 계약직으로 임용하는 것은 법적으로 문제가 없으며, 계약 기간이 끝나면 재임용 관련 규정이 없을 경우 별도의 해고 절차 없이도 자동으로 신분이 종료된다는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기간제 교원, 파면처분 무효라도 임용기간 끝나면 끝!

기간제 교원이 부당하게 파면당했더라도, 계약 기간이 만료되면 교원 신분은 자동으로 소멸된다. 따라서 파면처분 무효확인만으로는 계약기간 만료 후 교원 지위를 유지할 수 없다.

#기간제교원#파면처분#무효확인#임용기간만료

민사판례

사립대 교원 임용기간 만료와 재임용

기간을 정해 임용된 사립대학 교원은 임용기간 만료 후 재임용될 권리가 없다. 사립대학과 지자체 간 인수인계 약정이 있더라도, 약정 전에 임용기간이 만료된 교원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사립대학#기간제 교원#재임용 기대권 불인정#인수인계 약정

민사판례

시간강사, 임기 끝나면 당연히 퇴직? 재임용 거부는 정당한가?

임기가 정해진 사립대학 교원은 임기 만료 시 당연퇴직하며, 재임용 여부는 대학의 재량이다. 단, 인사규정에 학기 중 임기 만료 시 학기 말까지 임용된 것으로 본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해석될 경우, 학기 말까지 임용된 것으로 간주한다.

#사립대학#시간강사#임기만료#당연퇴직

민사판례

기간제 교사 임용, 계약기간은 유효할까?

옛 사립학교법(1990년 4월 7일 개정 전)에는 임시교원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었기 때문에, 정식 교원 자격 요건을 갖추지 못한 사람을 기간을 정해 임용한 경우에도 이는 조건부 임용으로 간주되며, 그 기간 설정은 유효하다.

#기간제교원#임용계약#효력#구 사립학교법

민사판례

기간제 사립대학 교원의 재임용과 관련된 권리

기간제 사립대학 교원은 임용기간이 끝나더라도 공정한 재임용 심사를 받을 권리가 있으며, 재임용 거부가 부당하다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사립대학#기간제 교원#재임용 거부#헌법불합치

민사판례

기간제 교수 재임용 탈락, 학교 상대로 소송 제기했지만...

임용 기간이 끝난 기간제 교수는 재임용을 보장받지 못하며, 학교 측의 재임용 거부가 부당하다고 해서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기간제교수#재임용거부#소송#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