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기부금, 세금 혜택 똑똑하게 받는 방법!

기부는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아름다운 행위죠. 하지만 기부하면서 세금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면 더욱 좋지 않을까요? 오늘은 기부금에 대한 소득세 감면 혜택을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1. 누가 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나요?

국내에 거주하는 개인(183일 이상 거주)이라면 기부금에 대한 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세법 제1조의2, 제2조)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혜택 방식이 조금 달라집니다.

2.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필요경비 산입

사업소득이 있는 분들은 기부금을 필요경비에 산입하여 소득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소득세법 제34조) 쉽게 말해, 사업으로 번 소득에서 기부금을 빼고 세금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 어떤 기부금이 해당되나요?
    • 지정기부금 (법인세법 제24조제3항제1호, 소득세법 시행령 제80조제1항, 소득세법 시행규칙 제44조의2): 공익법인, 종교단체, 노동조합 회비, 특정 비영리민간단체 등
    • 법정기부금 (소득세법 제34조제2항제1호, 소득세법 시행령 제79조제2항): 국가 등에 대한 기부금, 천재지변 이재민 구호금품, 특별재난지역 자원봉사 용역가액 등
  • 기부금 한도는 얼마인가요? 복잡한 계산식이 있지만, 간단히 말씀드리면 지정기부금은 소득의 일정 비율(종교단체 기부금 유무에 따라 10%~30%)까지, 법정기부금은 소득 전액(이월결손금 제외)까지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있습니다.
  • 한도를 초과한 기부금은 어떻게 되나요? 10년 이내에 이월하여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세법 제34조제5항)
  • 꼭 기억하세요! 기부금 명세서(소득세법 시행규칙 별지 제45호 서식)를 제출해야 합니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79조제5항, 소득세법 시행규칙 제101조제5호) 현물 기부 시 시가 또는 장부가액 중 큰 금액이 기부금액이 됩니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81조제3항)

3. 사업소득 외 소득이 있는 경우: 세액공제

사업소득이 없는 분들은 기부금을 세액공제 받아 납부할 세금을 직접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소득세법 제59조의4제4항)

  • 어떤 기부금이 해당되나요?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와 동일하게 지정기부금과 법정기부금이 해당됩니다.
  • 세액공제 한도는 얼마인가요? 이 역시 기부금 종류에 따라 한도가 다르지만, 대략적으로 소득의 30% 이내입니다.
  • 공제율은 얼마인가요? 15%(1천만원 초과분은 30%)입니다.
  • 꼭 기억하세요! 기부금 명세서(소득세법 시행규칙 별지 제45호 서식)와 기부금 영수증(소득세법 시행규칙 별지 제45호의2 서식)을 제출해야 합니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113조제1항, 소득세법 시행규칙 제58조제1항제5호) 현물 기부 시 시가가 기부금액이 됩니다.

4. 특별한 기부, 특별한 혜택

  • 특별재난지역 자원봉사: 자원봉사 시간에 따라 계산된 금액을 법정기부금으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세법 제34조제3항, 소득세법 시행령 제81조제5항, 제6항)
  • 식품 기부: 식품 관련 사업자는 잉여식품 기부 시 장부가액을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있습니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55조제6항)
  • 정치자금 기부: 10만원까지는 전액, 초과분은 15%(3천만원 초과분은 25%)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정치자금법 제59조, 조세특례제한법 제76조)

5. 기부금 공제 순서

여러 기부금을 했다면, 정해진 순서대로 공제가 적용됩니다. (소득세법 제59조의4제4항, 소득세법 시행령 제81조제4항, 제118조의7제1항)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자료를 참고하세요.

기부도 하고, 세금 혜택도 받는 현명한 기부 생활, 오늘부터 시작해보세요! 더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홈페이지 (www.nts.go.kr) 또는 국세상담센터 (126)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기업 기부, 세금 혜택 받는 방법! 알고 보면 쏠쏠한 절세 팁!

기업 기부는 법정기부금과 지정기부금으로 나뉘어 손금산입(비용처리)을 통해 법인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식품 기부도 손비 처리 가능하다.

#기업 기부#세금 혜택#법인세 절세#손금산입

세무판례

기부금 손금산입, 특별부가세에는 적용될까? - 조세감면의 범위와 특별부가세

기부금을 비용으로 인정받아 세금을 줄이는 혜택(손금산입 특례)은 특별부가세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특별부가세는 일반적인 법인세와 계산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기부금#손금산입#특별부가세#조세감면

생활법률

나눔의 시작, 기부: 어렵지 않아요! 💖

기부 나눔은 현금, 물품, 재능 등을 대가 없이 자발적으로 나누는 행위로, 다양한 방법과 세금 혜택이 있으며 관련 법률을 준수해야 한다.

#기부#나눔#현금 기부#식품 기부

생활법률

장애인 가족이 있다면? 소득세 감면 혜택 챙겨보세요!

부양가족 중 장애인이 있는 경우, 소득/인적 요건 충족 시 1인당 연 350만원(기본공제 150만원 + 추가공제 200만원)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장애인증명서를 제출하여 신청해야 한다.

#장애인#소득세 감면#기본공제#추가공제

생활법률

외국인 투자하면 세금 혜택 빵빵! 알고 투자하세요!

외국인이 한국에 특정 사업 투자 시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법인세/소득세, 취득세/재산세, 관세/개별소비세/부가가치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외국인투자#세금혜택#조세감면#법인세

생활법률

💰 중소기업 세금 감면 혜택, 제대로 알고 받자! 💰

중소기업은 창업, 벤처기업, 지역 등 조건에 따라 소득세/법인세, 취득세/재산세, 등록면허세, 농어촌특별세 등 다양한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중소기업#세금 감면#소득세#법인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