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여러 가지 이유로 분할이나 합병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를 악용하여 세금을 덜 내려는 시도는 법의 심판을 받게 됩니다. 오늘은 복잡한 기업 분할과 합병 과정을 통해 법인세를 줄이려다 적발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핵심
A라는 부동산 임대 회사가 건물을 390억 원에 팔기로 하고 계약금과 중도금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 회사는 세금을 줄이기 위해 회사를 두 개로 쪼개는 '인적분할'을 합니다. 부동산을 판 회사(A)는 빚만 떠안고, 새로 만든 회사(B)는 돈(계약금, 중도금)만 가지고 있는 구조가 된 것이죠. 그 후 A회사 주주들은 C라는 다른 회사를 인수하고 A회사를 C회사에 합병시킵니다. C회사는 합병 과정에서 부동산을 시가로 평가하여 장부가액을 높인 후 매각하고, 높아진 장부가액을 통해 세금을 대폭 줄였습니다. 세무서는 이러한 A, B, C 회사의 행위가 세금을 부당하게 회피하기 위한 꼼수라고 판단하고 세금을 추징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세무서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기업이 여러 단계의 거래를 통해 세금 혜택을 부당하게 받으려는 경우, 실질 내용에 따라 세금을 매긴다는 법 (구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 이 적용됩니다. 즉, 세금을 줄이기 위한 목적 외에 다른 합리적인 이유가 없다면 복잡한 거래 과정을 무시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거래로 간주하여 세금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A회사가 분할과 합병을 통해 부동산 장부가액을 높이고 세금을 줄인 것이 조세 회피 목적 외에 다른 합리적 이유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C회사는 A회사와 사업 목적도 달랐고, 분할과 합병 외에 세금을 줄일 다른 방법도 있었지만 굳이 복잡한 과정을 거쳤다는 점 등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세무서가 C회사에 세금을 추징한 것이 정당하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핵심 정리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세무판례
두 회사가 합병하면서 주식 가치를 조작해 한쪽 주주들이 부당하게 이익을 얻었고, 세무 당국은 이에 증여세와 법인세를 부과했습니다. 법원은 세무 당국의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세무판례
회사가 분할 후 바로 다른 회사에 합병되어도, 분할된 사업이 계속 운영되면 세금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세무판례
주택건설용으로 토지를 취득한 후 용도를 변경하고 다른 법인과 합병한 경우, 합병된 법인은 등록세 중과세를 납부해야 하는가? 본 판례는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중과세를 납부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세무판례
회사 합병 과정에서 주식 매각 후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를 취득한 경우, 그 신주 발행가액이 시가보다 낮더라도 합병을 위한 하나의 절차로 볼 수 있다면 증여세 부과는 정당하다.
세무판례
기존 법인이 다른 법인을 합병하면서 피합병법인의 본점이나 지점 자리에 새 지점을 설치하고 5년 안에 그 지점 관련 부동산을 취득할 경우, 등록세 중과세를 면제받을 수 있다.
세무판례
지방에 있던 회사가 서울로 본사를 옮기고 5년 안에 서울에 오래 있던 회사를 합병하면서 부동산을 취득했을 때, 합병된 회사 자산에 해당하는 부분은 등록세를 중과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