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4.09.24

세무판례

대도시 법인 합병과 등록세 중과: 핵심은 '새로운' 경제력 집중 여부!

오늘은 대도시에서 법인을 합병할 때 등록세 중과 문제에 대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복잡해 보이는 내용이지만, 핵심은 "새로운 인구 유입이나 경제력 집중을 유발했는가?"입니다.

사건의 개요

광주에 본사를 둔 A 회사가 서울로 본사를 옮긴 지 5년이 채 되지 않은 시점에, 서울에서 오랫동안 영업해 온 B 회사를 합병했습니다. 그리고 A 회사는 서울에 건물을 매입했는데, 서울시는 A 회사에 등록세를 중과했습니다. 대도시로 본사를 옮긴 지 5년이 안 된 기업이 부동산을 취득하면 등록세를 더 내도록 하는 규정 때문이죠. (구 지방세법 제138조 제1항 제3호) A 회사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A 회사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핵심 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A 회사는 B 회사를 합병하면서 B 회사의 모든 자산과 권리, 의무를 넘겨받았습니다.
  • B 회사는 이미 서울에서 오랫동안 사업을 해왔기 때문에, A 회사가 B 회사를 합병하고 서울에 부동산을 취득했다고 해서 "새로운" 인구 유입이나 경제력 집중이 발생한 것은 아닙니다.
  • 따라서, A 회사가 서울로 본사를 옮긴 지 5년이 안 됐더라도, B 회사 자산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등록세를 중과할 수 없습니다.

즉, 법원은 단순히 A 회사가 서울로 본사를 옮긴 지 5년이 안 됐다는 사실만으로 등록세를 중과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본 것입니다. 합병 이전에 이미 서울에 존재했던 B 회사의 자산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죠. 이러한 판단은 구 지방세법(2001. 12. 29. 법률 제654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8조 제1항 제3호 및 구 지방세법시행령(2001. 12. 31. 대통령령 제1744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02조 제2항의 취지에도 부합한다고 판시했습니다.

핵심

  • 대도시에서 법인 합병 후 등록세 중과 여부를 판단할 때는, 합병으로 인해 "새로운" 인구 유입이나 경제력 집중이 발생했는지가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기존에 대도시에서 사업을 해오던 법인을 합병한 경우, 해당 법인의 자산 부분에 대해서는 등록세 중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이 판례는 대도시에서 법인 합병을 고려하는 기업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등록세 중과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합병 구조를 꼼꼼히 검토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기업 합병 후 부동산 취득, 등록세 중과세 면제될까?

기존 법인이 다른 법인을 합병하면서 피합병법인의 본점이나 지점 자리에 새 지점을 설치하고 5년 안에 그 지점 관련 부동산을 취득할 경우, 등록세 중과세를 면제받을 수 있다.

#합병#지점#부동산 취득#등록세 중과세 면제

일반행정판례

대도시 법인 지점 설치 시 등록세 중과세, 어디까지?

법인이 지점 설치 *전에* 취득한 부동산은 지점 설치와 관련된 부동산으로 보아 등록세를 중과세한다. 이때 부동산 전체가 지점 업무에 사용되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등록세#중과세#지점설치#부동산취득

세무판례

수도권 법인의 서울 전입 후 부동산 취득 시 등록세 중과 여부

수도권(서울 제외)에서 서울로 본점을 옮긴 법인이 5년 안에 서울 *바깥* 수도권 지역의 부동산을 사면 등록세 중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서울로 옮긴 후 서울 *안* 부동산을 사야 중과세합니다.

#수도권 법인#서울 이전#수도권 부동산#등록세 중과세

세무판례

대도시 지점 인수 시 등록세 중과세, 꼭 내야 할까?

다른 회사의 영업과 함께 기존 지점 사무실을 인수받아 사용하는 경우, 새로 지점을 설치한 것이 아니므로 등록세를 중과세하지 않는다.

#영업양수#지점 사무실#등록세 중과#대도시

세무판례

대도시 지점 설치 후 5년 내 부동산 취득에 대한 등록세 중과

대도시에 지점을 설치한 회사가 5년 안에 부동산을 취득하면, 그 부동산이 어떤 지점의 자금으로 마련되었는지와 관계없이 등록세를 중과해야 한다. 법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하면 법의 목적과 상관없이 법을 적용해야 한다.

#등록세 중과#대도시 지점#부동산 취득#5년

세무판례

서울로 본사 이전하면 등록면허세 더 내야 할까? 🤔

수도권 인구집중 억제를 위해 대도시로 본점을 이전하는 법인에 등록면허세를 중과하는데, 서울 외 대도시에서 서울로 이전하는 경우에도 중과세 대상이 된다.

#등록면허세#중과세#대도시#본점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