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5.06.16

일반행정판례

내 땅값, 왜 이렇게 비싸요? 주변 땅값의 2배?! 개별공시지가 결정, 어디까지 다툴 수 있을까?

땅값(개별공시지가)은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등 각종 세금과 개발부담금 등의 부과 기준이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만약 내 땅값이 주변 비슷한 땅들보다 훨씬 높게 책정되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억울하게 높은 세금을 내야 하는 걸까요? 오늘은 개별공시지가 결정에 대해 어디까지 다툴 수 있는지, 실제 판례를 바탕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땅값 결정, 잘못됐다면 다툴 수 있습니다!

땅값 결정 과정에서 잘못이 있다면 당연히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해당한다면 위법 여부를 다툴 수 있습니다.

  • 절차상 하자: 땅값 조사 지침(개별토지가격합동조사지침)에 정해진 주요 절차를 어겼을 경우
  • 잘못된 조사 및 적용: 비교 대상 토지(표준지) 선정이 잘못되었거나, 토지 특성 비교, 가격 조정률 적용이 잘못되었거나, 계산 착오 등 명백한 잘못이 있는 경우

땅값이 '현저하게 불합리'하다면? 이것도 문제 삼을 수 있습니다!

단순한 절차상의 문제나 계산 오류가 아니더라도, 최종적으로 결정된 땅값이 '현저하게 불합리'하다면 이 또한 다툼의 대상이 됩니다.

'현저하게 불합리'한지 어떻게 판단할까요?

땅값이 '현저하게 불합리'한지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 땅값 결정 과정의 경위
  • 비슷한 주변 토지들에 적용된 가감 조정 비율
  • 표준지 및 비슷한 주변 토지들의 가격 변동률
  • 해당 토지의 과거 땅값 변화 추이

주변 땅값의 2배?! 이건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실제 사례)

실제로 주변 비슷한 땅들보다 2배 이상 높게 책정된 땅값에 대해 법원이 "현저하게 불합리하다고 볼 여지가 많다"고 판단한 사례가 있습니다. (대법원 1994.3.11. 선고 93누159 판결)

이 사례에서 법원은 해당 토지와 주변 토지의 지목, 위치, 용도지역, 토지이용상황 등을 비교하며 토지 특성이 유사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주변 토지들은 재조사를 통해 땅값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는데, 문제가 된 토지는 6% 정도만 하락한 점도 지적했습니다. 결국, 2배 이상 높은 땅값을 정당화할 만한 합리적인 이유가 없다고 보고, 원심 판결을 파기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 제10조
  •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시행령 제12조 제1호
  • 개별토지가격합동조사지침(국무총리훈령 제241호) 제7조, 제8조
  •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 민사소송법 제393조

결론

땅값은 중요한 재산권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만약 내 땅값이 현저하게 불합리하다고 생각된다면, 관련 법규와 판례를 참고하여 적극적으로 이의를 제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에서 살펴본 사례와 법 조항들이 여러분의 권리를 지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내 땅값, 너무 높게 매겨진 걸까? 개별공시지가 Q&A

하나의 건물 부지로 쓰이는 여러 필지의 땅은 각각 가격이 다르게 매겨지는 것이 아니라, 가장 좋은 조건을 기준으로 단일 가격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그리고 특정 땅값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지 판단할 때는 주변 비슷한 땅들과 비교해서 결정해야 합니다.

#토지가격평가#건물부지#필지별평가#단일가격평가

일반행정판례

내 땅값, 너무 비싸게 매겨진 것 같아요! 땅값 결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을까요?

개별 토지의 가격 결정 과정에 문제가 있거나, 결정된 가격이 주변 토지에 비해 현저히 불합리한 경우, 토지 소유주는 이에 대해 다툴 수 있다.

#토지가격#불합리#이의제기#절차적하자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와 개별공시지가 위법성

토지초과이득세 부과가 부당하다며 제기한 소송에서, 세금 계산의 기초가 된 개별공시지가가 잘못 결정되었다는 주장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경우에 공시지가 결정이 잘못되었다고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공시지가가 주변 토지에 비해 과도하게 높게 책정되었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그 정도가 현저하게 불합리하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토지초과이득세#개별공시지가#위법성#취소소송

일반행정판례

내 땅값, 너무 낮게 평가됐어요! 억울할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개별 토지 가격 결정에 불만이 있을 경우, 그 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는 표준지 공시지가 자체의 위법성을 다툴 수는 없고, 개별토지가격 결정 과정의 절차적 하자 또는 현저한 불합리성을 들어 다퉈야 합니다.

#개별토지가격#위법성#표준지공시지가#절차적하자

일반행정판례

개별공시지가 결정, 토지가격비준표와 다르면 무조건 위법일까?

시장, 군수, 구청장이 정하는 개별공시지가가 토지가격비준표로 산정한 가격이나 감정평가사의 검증 의견과 다르더라도, 표준지 공시지가와 균형을 이루고 있다면 위법하지 않다는 판결입니다.

#개별공시지가#표준지 공시지가#토지가격비준표#감정평가사

일반행정판례

내 땅값, 왜 이렇게 낮게 평가됐을까? 토지가격 불복, 제대로 알고 대처하기

개별공시지가에 이의가 있는 경우, 그 산정 기준이 된 표준지 공시지가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할 수 있는지, 그리고 비교표준지 변경 자체가 위법한지, 개별공시지가가 부당하다는 것을 누가 입증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결론적으로, 표준지 공시지가에 이의가 있으면 별도의 행정소송을 제기해야 하고, 비교표준지 변경 자체는 위법이 아니며, 개별공시지가가 부당하다는 것은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이 입증해야 합니다.

#개별공시지가#표준지공시지가#위법성#비교표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