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10.25

민사판례

내 땅에 있는 수로, 마음대로 막아도 될까? - 권리남용과 토지 소유권 이야기

땅 주인이라면 내 땅을 내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물론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내 땅이라고 해서 무조건 하고 싶은 대로 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다른 사람에게 지나치게 큰 피해를 준다면 '권리남용'으로 인정되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죠. 오늘은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발단: 300헥타르 농지의 생명줄, 수로를 막겠다고?

이 사건은 한 농지개량조합이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하던 수로를 땅 주인이 막겠다고 나서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수로는 정읍시 외곽의 정읍천에서 물을 끌어와 약 300헥타르에 달하는 삼보평야에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습니다. 땅 주인은 자기 땅이니 수로를 폐쇄하겠다고 주장했지만, 농지개량조합은 수로가 폐쇄되면 300헥타르의 농지에 물 공급이 끊겨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다고 반발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땅 주인의 권리 행사, 권리남용에 해당

법원은 땅 주인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땅 주인의 권리 행사가 '권리남용'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이죠.

권리남용이란, 권리자가 자신의 권리를 행사함으로써 얻는 이익보다 상대방이 입는 손해가 훨씬 크고, 권리 행사의 목적이 오로지 상대방에게 손해를 가하는 것에 불과하거나 사회 통념상 용인할 수 없는 부당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민법 제2조)

이 사건에서 법원은 땅 주인이 수로를 폐쇄함으로써 얻는 이익은 거의 없지만, 농지개량조합은 새로운 수로를 만들어야 하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부담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또한, 재산권은 공공복리에 적합하게 행사해야 한다는 원칙 (민법 제214조)에도 어긋난다고 판단했습니다.

핵심 정리: 내 땅이라도 무조건 내 마음대로는 안 된다!

이 판례를 통해 우리는 토지 소유권의 행사에도 제한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내 땅이라고 해서 무조건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다른 사람의 이익과 공공복리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죠. 특히, 자신의 이익은 거의 없으면서 상대방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는 행위는 권리남용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덧붙여:

이 사건에서는 취득시효에 대한 논쟁도 있었지만, 법원은 농지개량조합이 해당 토지를 소유의 의사로 점유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시효취득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민법 제245조, 제197조 제1항)

관련 판례:

  • 대법원 1990.5.22. 선고 87다카1712 판결
  • 대법원 1991.3.27. 선고 90다13055 판결
  • 대법원 1991.6.14. 선고 90다10346,10353 판결
  • 대법원 1990.11.13. 선고 90다카21381,21398 판결
  • 대법원 1990.12.26. 선고 90다8312 판결
  • 대법원 1991.6.11. 선고 91다8593,8609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내 땅인데 왜 마음대로 못 써?! 도로 철거를 둘러싼 법적 분쟁 이야기

오랫동안 마을 주민들이 도로로 사용해 온 사유지에 대해, 소유자가 지자체를 상대로 도로 철거 및 땅 반환을 요구한 경우, 주민들의 통행 불편 등 공익 침해가 크다면 소유자의 권리 행사는 권리남용으로 인정될 수 있다.

#사유지#도로#철거#권리남용

상담사례

옛길 막아버린다고요? 내 땅이라고 함부로 못합니다! - 토지인도 청구와 권리남용

오랫동안 통행로로 사용된 길을 막는 토지 소유주의 행위는, 특히 다른 통로가 없고 주변 농지에 피해를 주는 경우, 소유주에게 실익이 없다면 권리남용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옛길#토지인도 청구#권리남용#오랜 기간 사용

민사판례

내 땅인데 마음대로 못쓴다고? - 토지 사용권 제한에 관한 대법원 판결 해설

## 제목: 토지 소유자가 자신의 토지를 공공의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허용한 경우, 토지 소유권 행사가 어떻게 제한되는가? 이 판례는 토지 소유자가 자신의 토지를 도로, 수도시설 부지 등 공공의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허용한 경우, 토지 소유자의 권리 행사가 어떻게 제한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내 땅이지만 모든 권리를 행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것**입니다. **구체적인 내용:** * **토지 소유자가 자신의 토지를 공공의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허용하면, 그 토지에 대한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수익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즉, 내 땅이지만 마음대로 사용하거나 수익을 얻는 것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제한은 토지 소유자가 토지를 소유하게 된 경위, 토지를 공공에 제공한 경위, 토지 제공으로 인한 소유자의 이익 등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 **원칙적으로 토지 소유권을 이어받은 상속인이나 제3자도 이러한 제한을 받습니다.** 즉, 토지를 물려받거나 사들인 사람도 마음대로 사용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토지 소유자가 사정이 변경되었다고 주장하여 다시 완전한 소유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처음에 토지를 도로로 사용하도록 허용했지만, 나중에 주변 환경이 바뀌어 도로로서의 필요성이 없어진 경우 등입니다. **판결 내용:** * 이 사건에서는 망인(원고의 아버지)이 생활하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토지에 우수관을 설치하도록 허용했습니다. * 법원은 망인이 이를 통해 토지와 주택의 편익을 얻었고, 우수관 설치가 공공의 이익에도 부합한다고 판단했습니다. * 따라서 망인은 물론, 망인의 토지를 상속받은 원고도 이 사건 토지에 대한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수익권을 행사할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참조조문:** * 헌법 제23조, 제37조, 제119조 * 민법 제1조, 제2조, 제185조, 제186조, 제211조, 제212조, 제213조, 제214조, 제219조, 제279조, 제609조, 제613조, 제618조, 제741조, 제750조, 제1005조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61조, 시행규칙 제26조 * 도로법 제99조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96조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65조 * 수도법 제60조 * 하수도법 제10조 **참조판례:** * 대법원 1973. 8. 21. 선고 73다401 판결 * 대법원 1974. 5. 28. 선고 74다399 판결 * 대법원 1985. 8. 13. 선고 85다카421 판결 * ... (중략) ... * 대법원 2017. 10. 26. 선고 2017두50843 판결

#토지 소유권#공공 목적 사용#권리 제한#상속

민사판례

내 땅인데 왜 못 쓰게 해?! 도로로 쓰이는 내 땅 돌려받을 수 있을까?

오래전부터 도로로 사용되던 땅을 경매로 산 사람이 지자체에 땅을 돌려달라고 소송했지만, 법원은 땅 주인의 이러한 행위를 권리남용으로 판단하여 소송을 기각했습니다.

#권리남용#도로#경매#소송기각

민사판례

내 땅인데 맘대로 못한다고? - 콘도 출입구 봉쇄 사건

자기 땅이라고 해서 함부로 구조물을 설치할 수는 없다! 콘도 출입구로 사용되던 땅의 소유자가 콘도 운영에 방해가 되는 구조물을 설치한 것은 권리남용으로 인정되어 철거해야 한다.

#권리남용#구조물 철거#콘도 출입 방해#소유권

민사판례

내 땅인데 왜 못써?! 권리남용에 막힌 땅 주인 이야기

오랫동안 구거(도랑)로 사용되던 땅을 매입한 원고가, 시에서 제시한 보상금액이 마음에 들지 않자 구거 위에 설치된 시설물 철거와 토지 인도를 요구한 소송에서, 대법원은 원고의 청구가 권리남용에 해당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구거#권리남용#보상금#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