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04.12

일반행정판례

내 사업 허가가 취소됐어요! 억울한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사업을 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상황에 맞닥뜨릴 때가 많죠. 오늘은 행정 허가 취소와 관련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내가 잘못한 부분이 있을 때에도 허가 취소가 부당하다고 주장할 수 있을까요?  대법원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액화석유가스판매사업 허가를 받았지만, 나중에 허가가 취소되었습니다. 이유는 원고가 실제 사업자가 아니었고, 자격 요건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허위로 신청했기 때문입니다. 원고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원고의 주장

원고는 이미 허가를 받았고, 사업을 준비하면서 시간과 돈을 투자했으니 허가를 취소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신뢰보호원칙을 위반했다는 것이죠.  행정기관은 국민에게 허가를 내준 이상, 그 허가를 믿고 행동한 국민의 이익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원칙입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익적 행정행위(국민에게 이익을 주는 행정행위, 예: 사업허가)는 공익상 필요가 그 취소로 인해 당사자가 입게 될 불이익보다 클 때에만 취소할 수 있습니다. (행정소송법 제27조 참조) 하지만 처음부터 당사자가 사실을 숨기거나 속여서 허가를 받았다면, 신뢰보호원칙을 적용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원고는 실제 사업자가 아니면서 자격이 있는 것처럼 행세했고, 주민 동의서도 다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허위 신청을 했습니다.  즉, 원고 스스로 위법하게 허가를 받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고, 취소될 가능성도 예상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법원 1988.2.9. 선고 87누939 판결, 1989.3.28. 선고 88누2694 판결, 1990.2.27. 선고 89누2189 판결 등 참조)

관련 법 조항

  • 액화석유가스의안전및사업관리법 제3조 제2항, 제4항, 같은법시행령 제3조 제2항
  • 행정소송법 제27조

결론

행정 허가를 받을 때는 모든 요건을 정확하게 갖추고, 사실대로 신청해야 합니다.  만약 허위로 허가를 받았다가 취소될 경우, 신뢰보호를 주장하기 어렵다는 점을 명심해야겠습니다.  이번 판례는 정직하고 투명한 사업 운영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주민 동의 없다고 가스판매사업 허가 취소? 너무하네!

주민 동의를 얻지 못했다는 이유로 액화석유가스판매사업 허가를 취소한 것은 사업자에게 지나치게 가혹하고, 공익보다 사업자의 손해가 더 크다고 판단하여 위법한 처분으로 본 사례.

#가스판매 허가취소#주민동의#재량권 남용#위법

일반행정판례

사업승인 취소! 그럼 돈 날리는 건데, 일단 공사하게 해주세요?! (행정처분 효력정지)

사업계획승인과 건축허가가 취소되어 사업 추진이 어려워지고 투자금 회수가 힘들어진다는 사실만으로는 효력정지를 인정하기 어렵다는 판결. 행정처분의 효력정지 여부는 처분 자체의 적법성이 아닌,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와 '긴급한 필요성'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효력정지#기각#사업계획승인#건축허가

일반행정판례

가스판매사업 허가 조건과 사업개시 신고 반려: 행정처분의 효력은?

LPG 판매사업 허가 시, 법에 없는 '주변 가옥주 동의' 조건을 붙인 것은 위법하지만, 그렇다고 허가 자체가 무효는 아닙니다. 또한, 이 위법한 조건을 이유로 사업개시 신고를 반려한 처분은 적법합니다. 허가 당시의 위법한 조건은 허가 단계에서 다퉈야 하며, 이미 허가가 나온 후에는 이를 이유로 사업개시 신고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LPG 판매사업#허가조건 위법#사업개시신고 반려#적법

일반행정판례

사업 허가 신청, 경쟁에서 밀렸다면? 소송으로 뒤집을 수 있을까?

여러 사람이 경쟁 관계에서 허가를 신청했는데 한 사람만 허가받았다면, 허가받지 못한 사람도 소송을 통해 구제받을 가능성이 있다.

#경쟁허가#거부처분취소소송#소송이익#재심사

일반행정판례

수익적 행정처분의 취소와 재결에 따른 취소처분의 위법성

정부가 허가를 내준 후 다시 취소할 때는, 그 허가로 인해 얻은 이익과 취소로 인한 손해를 비교해야 하며, 손해가 더 크다면 취소는 위법입니다. 또한, 행정심판 결과에 따라 정부가 허가를 취소하더라도, 그 취소가 위법하다면 소송을 통해 다툴 수 있습니다.

#수익적 행정처분#취소#재결#위법성

일반행정판례

주유소 허가 취소, 너무 가혹한 처벌 아닌가요?

석유판매업허가 취소 기준(석유사업법시행규칙 별표 1)은 행정기관 내부의 업무 처리 지침일 뿐, 법적인 구속력이 없어 국민이나 법원을 구속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석유판매업허가#취소기준#법적구속력#재량권남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