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집 사는 게 쉬운 일은 아니죠. 목돈 마련의 어려움 때문에 내 집 마련의 꿈을 접는 분들도 많으실 거예요. 하지만 정부에서 운영하는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하면 조금 더 수월하게 내 집 마련의 꿈에 다가갈 수 있습니다. 주택도시기금은 국민의 주거복지 증진을 위해 정부가 조성한 기금으로(「주택도시기금법」 제1조, 제3조 및 제9조), 다양한 주택 구입 자금 대출 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한 주택 구입 자금 대출 상품들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주택도시기금, 어떤 대출 상품이 있을까요?
주택도시기금 포털(nhuf.molit.go.kr)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입자금 대출 상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품들이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어디서 찾을 수 있나요?
내 집 마련, 더 이상 막연한 꿈이 아닙니다. 정부의 지원 정책과 다양한 금융 상품들을 잘 활용하면 누구든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룰 수 있습니다. 주택도시기금을 통해 여러분의 꿈에 한 발 더 다가가시길 바랍니다!
생활법률
주택도시기금은 무주택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주택 구입(디딤돌, 수익/손익공유형 모기지, 오피스텔 구입자금) 및 전월세 자금(버팀목 전세자금, 주거안정 월세대출) 대출을 지원한다.
생활법률
정부는 주택 구입(디딤돌 대출, 보금자리론 등) 및 전·월세 자금 대출(버팀목 전세자금, 청년 전용 대출 등)을 지원하며, 지자체별 추가 지원 사업도 운영 중이니, 마이홈(www.myhome.go.kr)과 주택도시기금(nhuf.molit.go.kr)에서 확인하세요.
생활법률
다자녀 가구의 주택 구입 부담 완화를 위해 정부는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최대 4억원, 금리 최저 1.5%), 주거안정 구입자금 대출(최대 2억원), 오피스텔 구입자금 대출(최대 7천만원)을 지원하며, 다자녀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생활법률
주택도시기금을 통해 버팀목전세자금, 주거안정월세자금 등 전월세자금 대출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기금e든든 웹사이트 또는 시중은행에서 확인 가능하다.
생활법률
공공분양을 통해 소유권 이전이 가능한 주택과, 다양한 유형의 공공임대주택 및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을 통해 저렴하고 안정적인 주거를 지원하는 공공주택 제도를 통해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룰 수 있다.
생활법률
미성년 자녀 2명 이상인 무주택세대구성원은 국민주택 특별공급(다자녀 특공)을 통해 주택 청약 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소득기준 및 필요서류 조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