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아이 키우기 힘든 세상, 내 집 마련의 꿈은 더욱 멀게만 느껴지시죠? 특히 다자녀 가구라면 주택 구입 자금 마련에 더 큰 부담을 느끼실 겁니다. 정부는 이러한 부담을 덜어드리고자 다자녀 가구를 위한 주택 구입 자금 대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한 다자녀 가구 주택 구입 자금 대출 종류와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다자녀 가구의 정확한 기준은 지원 정책마다 다를 수 있으니, 꼭 관련 기관에 확인해보세요.)
1.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주택도시기금법(제1조 및 제3조)에 따라 국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마련된 대출 제도로, 다자녀 가구에 금리 우대 혜택을 제공합니다. (2024년도 주택도시기금 운용계획, p.10~35)
2. 주거 안정 구입 자금 대출
국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최대 2억원까지 융자해주는 제도입니다. (2024년도 주택도시기금 운용계획, p.19) 특히 셋 이상 자녀를 둔 다자녀 가구에 금리 우대 혜택을 제공합니다.
3. 오피스텔 구입 자금 대출
주거용 오피스텔 구입을 위한 자금을 최대 7천만원까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24년도 주택도시기금 운용계획, p.19) 셋 이상의 자녀를 둔 세대는 금리 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위에 소개된 대출 상품에 대한 자세한 내용 및 신청 방법은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www.nhf.or.kr)를 참고하거나, 국토교통부 콜센터(☎ 1599-0001)로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 각 지자체에서도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으니, 거주 지역의 지자체에도 문의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내 집 마련의 꿈, 더 이상 미루지 마세요!
다자녀 가구를 위한 다양한 주택 구입 자금 대출 상품을 활용하여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시길 바랍니다. 꼼꼼하게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하여 더욱 든든하고 행복한 가정을 꾸려나가세요!
생활법률
다자녀 가구는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통해 최대 3억원(지방 2억원)까지 1.1%~1.5%의 저금리와 추가 금리 우대(최대 0.7%p)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미성년 자녀 2명 이상인 무주택세대구성원은 다자녀가구 주택 특별공급을 통해 청약 경쟁 없이 주택을 분양받을 수 있으며, 자격 요건(자녀, 청약통장, 소득), 선정 기준(자녀 수, 무주택 기간 등), 신청 방법 등을 확인해야 한다.
생활법률
미성년 자녀 2명 이상인 무주택세대구성원은 국민주택 특별공급(다자녀 특공)을 통해 주택 청약 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소득기준 및 필요서류 조건 있음)
생활법률
주택도시기금은 무주택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주택 구입(디딤돌, 수익/손익공유형 모기지, 오피스텔 구입자금) 및 전월세 자금(버팀목 전세자금, 주거안정 월세대출) 대출을 지원한다.
생활법률
정부의 주택도시기금을 통해 신혼부부, 일반 가구 등을 위한 다양한 부동산 구입자금 대출 상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nhuf.molit.go.kr) 및 시중은행에서 확인 가능하다.
생활법률
미성년 자녀 둘 이상인 무주택세대구성원은 다자녀 특별공급(일반 10%, 필요시 최대 15%)을 통해 내 집 마련 기회를 얻을 수 있으며, 공공분양(85㎡ 이하)의 경우 소득 기준 충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