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7.06.27

일반행정판례

노동쟁의 중재재심 결정에 불복하려면? 누가 소송을 낼 수 있을까?

노동쟁의가 발생했을 때, 노사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노동위원회의 중재를 거치게 됩니다. 중재 결과에 불만이 있으면 재심을 신청할 수 있고, 재심 결정에도 불복한다면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아무나 소송을 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누가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자격, 즉 원고적격을 가지는지가 중요한 문제입니다.

오늘은 중앙노동위원회의 중재재심 결정에 대한 행정소송에서 누가 원고적격을 가지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누17997 판결)

핵심 내용: 중재재심 절차의 당사자만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이 판례의 핵심은 중앙노동위원회의 중재재심 결정에 불복하는 행정소송은 중재재심 절차의 당사자였던 노동조합과 사용자만이 제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처음부터 중재 절차에 참여하지 않았거나, 이해관계자라 하더라도 재심 신청을 하지 않았다면 소송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사례 분석:

이 판례에서 원고인 노동조합은 지방노동위원회의 중재재정에 대해 재심을 신청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원고 노동조합이 처음 중재 절차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당시 행정관청의 요청으로 중재가 시작되었는데, 원고 노동조합과 사용자는 노동쟁의 신고조차 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중재재정에 대한 이해관계자로서 별도의 재심 신청도 없었습니다. 따라서 원고 노동조합은 중재재심 결정에 대한 행정소송을 제기할 자격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 (구) 노동쟁의조정법 제38조 제2항 (현행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69조 제2항 참조): 중재재심 결정에 불복하는 경우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행정소송법 제12조: 취소소송은 처분 등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는 자가 제기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법률상 이익이 바로 원고적격과 연결되는 개념입니다.

참고 판례:

  • 대법원 1993. 11. 9. 선고 93누1671 판결
  • 대법원 1995. 6. 30. 선고 94누9955 판결

이처럼 노동쟁의 관련 소송에서는 원고적격이 매우 중요한 요건입니다. 중재재심 결정에 불복하여 행정소송을 고려하고 있다면, 자신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중재재심 절차의 당사자성을 강조하며 원고적격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노동위원회의 중재회부결정, 그냥 받아들여야 할까?

노동위원회가 노동쟁의를 강제로 중재에 넘기는 결정(중재회부결정)에 대해서도 노조는 이의를 제기할 수 있으며, 정해진 절차와 기간을 지켜야 합니다.

#중재회부결정#불복#재심#행정소송

일반행정판례

버스기사의 억울함, 소송으로 풀 수 있을까? - 행정소송과 원고적격 이야기

버스 운전기사가 합승행위를 하여 회사가 과징금 처분을 받았고, 회사 내부 규정에 따라 운전기사의 상여금에서 과징금이 공제되는 경우에도, 운전기사는 해당 과징금 처분 취소소송을 낼 수 없다.

#과징금#취소소송#원고적격#버스기사

민사판례

노동조합 임원 선거 무효 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노동조합 임원 선거 결과에 불만이 있을 때, 당선자 개인을 상대로 소송을 걸어서는 안 됩니다. 소송은 선거 결과를 결정한 노동조합을 상대로 해야 합니다. 선거관리위원회 역시 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노동조합#임원선거#무효확인소송#당선자

일반행정판례

노동쟁의와 중재재정 대상, 그리고 실효된 중재재정의 취소

이 판례는 노동쟁의 중재재정 대상이 무엇인지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면직기준이나 상벌위원회 관련 사항은 중재재정 대상이지만, 근무 중 노조활동이나 노조전임은 근로조건이 아니므로 중재재정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 핵심입니다. 또한, 이미 효력이 만료된 중재재정에 대해서는 취소를 구할 이익이 없다는 점도 확인되었습니다.

#노조활동#노조전임#중재재정#근로조건

생활법률

행정심판 재결에 불복하려면? 재결취소소송 vs. 원처분 취소소송

행정심판 재결에 불복하려면 재심판청구는 불가능하고, 재결 자체의 위법성이 있는 경우에 한해 90일/1년 이내에 재결취소소송을 제기해야 하며, 감사원 재심의판정, 중앙노동위원회 재심판정 등은 재결주의에 따라 재결에 대해서만 소송 가능하다.

#행정심판 재결 불복#재결취소소송#재심판청구 불가#원처분중심주의

민사판례

중재판정 취소소송, 아무 판정이나 다 되는 건 아닙니다!

중재인이 스스로 권한이 없다고 판단하여 중재신청을 각하한 경우, 그 판정에 대해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중재판정취소소송#중재인#권한없음#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