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1.08.21

일반행정판례

농작물 보상, 진짜 농사짓는 사람만 받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토지 수용 시 농작물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농지를 소유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꼭 알아두셔야 할 내용입니다.

토지 수용될 때 농작물 보상, 어떻게 받을까?

국가나 공공기관이 공익사업을 위해 토지를 수용할 때, 토지 소유주뿐 아니라 그 땅에서 농사를 짓던 사람에게도 보상을 해줘야 합니다. 이때 농작물에 대한 보상은 단순히 작물이 심어져 있다고 해서 무조건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진짜 농사"를 짓고 있어야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죠.

'진짜 농사'란 무엇일까요?

이번 판례의 핵심은 바로 '실제로 재배하고 있는 작물'의 의미입니다. [구 공공용지의취득및손실보상에관한특례법시행규칙(1997. 10. 15. 건설교통부령 제12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9조 제1항] 에서 말하는 '실제로 재배하고 있는 작물'이란, 농민이 수확을 목적으로 정상적인 방법으로 농사를 짓고 있는 작물을 뜻합니다. 단순히 보상금을 더 받기 위해 일시적으로 작물을 심은 경우는 여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판례를 통해 자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사례에서는 토지 보상 협의 신청을 받은 후 보상액이 높은 신선초를 갑자기 옮겨 심어 일시적으로 재배한 경우였습니다. 이후 토지가 수용되자 신선초는 관리되지 않아 고사했습니다. 법원은 이 신선초가 정상적인 농업 활동의 결과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사업시행자가 기본 조사를 하거나 사업인정 고시를 할 당시에도 실제로 재배되는 작물이 없었던 점 등을 고려했을 때, 보상을 받기 위한 목적으로 심었다고 본 것입니다. 따라서 농작물 보상 대상이 아니라는 판결이 나왔습니다.

핵심 정리!

  • 농작물 보상은 '실제로 재배하고 있는 작물'에 대해서만 지급됩니다.
  • '실제로 재배'한다는 것은 수확을 목적으로 정상적인 농업 활동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보상을 노리고 일시적으로 작물을 심는 것은 '실제 재배'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 작물의 종류, 재배 방법, 토지 특성 등 여러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이처럼 농작물 보상을 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작물을 심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진정한 농업 활동을 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농작물 경작지 수용에 따른 보상, 제대로 알고 받으세요!

공익사업으로 농사에 피해를 입었을 때 보상을 받으려면, 일반 민사소송이 아니라 행정소송을 제기해야 하고, 그 전에 사업시행자의 재결(보상 결정)을 받아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농업손실보상#행정소송#재결#공익사업

일반행정판례

영농보상금, 제대로 받으셨나요? 농지 수용 시 알아야 할 보상

농경지가 공공사업에 편입되어 다른 곳으로 작물을 옮겨 심더라도 영농손실액을 받을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법원은 여러 감정평가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일부만 활용하여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영농보상#영농손실#감정평가#파기환송

일반행정판례

토지수용 보상, 제대로 알고 받자!

국가가 토지를 수용할 때 보상금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이 판결은 표준지 기준지가를 바탕으로 하되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명시합니다. 특히 낙농업의 경우, 이전 가능성이나 초지 조성 기간 등을 따져 휴업 보상 기간을 정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토지수용#보상금#표준지#기준지가

일반행정판례

땅 보상, 제대로 받으려면 꼼꼼히 따져봐야 할 것들!

이 판례는 토지 수용 시 보상액을 산정할 때 대지 범위를 어떻게 정해야 하는지, 그리고 양돈업 폐지로 인한 손실보상액을 계산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법원은 건축물 등이 건축물관리대장에 등재되지 않았더라도 일정한 영속성을 갖춘다면 대지로 볼 수 있으며, 양돈업 폐지 손실보상액 산정 시에는 모돈의 연령과 매각 가능성 등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토지수용#보상액#대지범위#양돈업폐지

일반행정판례

농지 수용 시 영농보상,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토지 수용으로 영농을 할 수 없게 된 경우, 법에 명시적으로 규정되지 않은 손실에 대해서도 보상받을 수 있으며, 관련 시행규칙 개정 이전에 수용재결이 있었더라도 개정된 규칙에 따라 보상받을 수 있다는 판결.

#토지수용#영농보상#시행규칙#손실보상

일반행정판례

농업손실보상, 꼭 정해진 서류만 있어야 할까?

정부가 정한 농업손실보상 기준에 나와 있는 서류 외에도,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증빙이라면 농작물 수입을 인정하여 보상액을 계산할 수 있다.

#농업손실보상#증빙서류#실제소득#정부고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