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2.01.26

민사판례

다가구주택 임대차 계약, 공인중개사의 책임은 어디까지?

다가구주택, 여러 세대가 함께 사는 만큼 임대차 계약 시 꼼꼼히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많습니다. 특히 다른 세입자들의 보증금 현황은 내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데 중요한 정보인데요, 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낭패를 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그렇다면 공인중개사는 어떤 책임을 질까요? 최근 대법원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원고는 공인중개사를 통해 다가구주택의 한 호실을 임차했습니다. 계약 당시 공인중개사는 등기부등본상 근저당권 설정 여부는 알려주었지만, 다른 세입자들의 임대차보증금 규모나 계약 기간 등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집이 경매에 넘어갔고, 원고는 다른 세입자들보다 후순위였기에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공인중개사의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공인중개사는 단순히 등기부등본상의 권리관계만 설명하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되고, 다른 세입자들의 임대차 정보까지 확인하여 임차인에게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의무를 다하지 않아 임차인이 손해를 입었다면, 공인중개사는 그 손해를 배상해야 합니다.

(관련 법률: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률 제30조)

공인중개사의 의무:

  1. 다른 세입자 정보 확인 및 설명: 임대인에게 다른 세입자의 임대차보증금, 계약 기간 등의 정보 제공을 요구하고, 이를 확인하여 임차인에게 설명해야 합니다. 개인정보는 제외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2. 자료 제시: 확인한 정보의 근거자료를 임차인에게 제시해야 합니다.

  3. 중개대상물 확인·설명서 기재: 다른 세입자 정보를 포함한 모든 확인·설명 사항을 중개대상물 확인·설명서에 명시하고, 임차인에게 교부해야 합니다. 만약 임대인이 정보 제공을 거부할 경우, 그 사실을 확인·설명서에 기재해야 합니다.

(관련 법률: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률 제25조, 시행령 제21조, 시행규칙 제16조)

다가구주택 임대차 계약 시 유의사항:

  • 공인중개사에게 다른 세입자들의 임대차 정보 제공을 적극적으로 요구하세요.
  • 중개대상물 확인·설명서를 꼼꼼히 확인하고, 다른 세입자 정보가 제대로 기재되어 있는지 살펴보세요.
  • 등기부등본 외에도 건축물대장을 통해 해당 건물이 다가구주택인지, 불법 건축물은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가구주택 임대차 계약, 꼼꼼한 확인만이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지름길입니다. 위 내용을 참고하여 안전한 계약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옆집 보증금, 알고 계약하셨나요? 다가구주택 보증금과 중개사의 책임

다가구주택 세입자는 공인중개사에게 다른 세입자들의 보증금 정보(총액, 계약일 등)를 요구하고 확인해야 하며, 미제공으로 손해 발생 시 공인중개사에게 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다.

#다가구주택#보증금#공인중개사 책임#세입자 보증금 정보

민사판례

다가구주택 임대차 계약, 부동산 중개인의 책임은 어디까지?

다가구주택 임대차 계약 시 중개업자는 단순히 등기부등본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세입자의 보증금과 계약 기간 등을 확인하고 정확하게 알려줘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어길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진다.

#다가구주택#임대차#중개업자#선순위 임차인

민사판례

부동산 중개사고, 누구의 책임일까? - 다가구주택 임대차 계약에서의 확인·설명 의무

공인중개사가 세입자에게 다가구주택의 빈 방 개수와 기존 세입자들의 보증금 액수를 정확하게 알려주지 않아 세입자가 경매에서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지만, 법원은 공인중개사의 잘못과 세입자의 손해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공인중개사#임대차#정보제공#인과관계

상담사례

다가구주택 전세, 나도 떼일 수 있다?! 중개수수료만 냈으면 끝인 줄 알았지? 😥

다가구주택 전세 계약 시, 중개사는 다른 세입자의 보증금 정보 등을 확인하고 세입자에게 알려줘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어반 경우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 따라서 세입자는 등기부등본 외에도 다른 세입자 정보를 꼼꼼히 확인해야 보증금을 지킬 수 있다.

#다가구주택 전세#전세사기#보증금#등기부등본

민사판례

부동산 계약, 중개사 말만 믿었다간 낭패 볼 수도?!

공인중개사는 임대인에게서 받은 정보라도, 세입자가 집을 계약할지 말지 결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가 틀렸다면, 그냥 전달해서는 안 됩니다. 특히 그 틀린 정보 때문에 세입자가 손해를 봤다면, 공인중개사에게도 책임이 있습니다.

#공인중개사#선순위보증금#정보확인의무#손해배상책임

상담사례

공인중개사 믿고 계약했는데 사기 당했어요! 제 책임도 있을까요? 😥

공인중개사의 잘못으로 전세 사기를 당했지만, 본인의 부주의도 있었다면 과실상계로 손해배상액이 줄어들 수 있다.

#공인중개사#사기#계약#조사 확인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