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5.10.29

민사판례

단체협약, 유효기간 끝나도 효력 계속될 수 있을까? 자동연장과 2년 제한 규정에 대한 해석

회사와 노동조합이 맺는 단체협약! 근로자들의 권익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이 단체협약의 유효기간이 끝나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단체협약의 자동연장과 유효기간 제한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바탕으로, 협약의 효력이 어떻게 유지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단체협약 유효기간 2년 제한… 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동조합법') 제32조 제1항과 제2항은 단체협약의 유효기간을 최대 2년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너무 오랜 기간 동안 같은 협약이 유지되면,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워지고 노사 모두에게 불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대에 맞는 근로조건을 보장하고 노사관계 안정을 위해서 2년이라는 기간 제한이 필요한 것이죠.

자동연장 조항이 있다면?

그런데 단체협약에 "유효기간이 끝나도 새로운 협약이 체결될 때까지 기존 협약의 효력을 유지한다"는 자동연장 조항이 있다면 어떨까요? 이 경우에도 2년 제한 규정이 적용될까요?

대법원은 이에 대해 "아니오!"라고 판결했습니다. 자동연장 조항이 있는 경우, 2년이 지나도 협약의 효력은 유지됩니다. (노동조합법 제32조 제3항 단서)

자동연장, 무조건 계속 유지?

그렇다고 자동연장된 협약이 영원히 효력을 갖는 것은 아닙니다. 노사 어느 한쪽이 협약을 끝내고 싶다면, 상대방에게 6개월 전에 해지 통보를 하면 됩니다. 이는 단체협약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도, 너무 오랜 기간 협약에 묶이는 것을 방지하고 새로운 협약 체결을 유도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핵심 정리!

  • 단체협약 유효기간은 원칙적으로 2년으로 제한됩니다. (노동조합법 제32조 제1항, 제2항)
  • 하지만 자동연장 조항이 있는 경우, 2년이 지나도 협약은 효력을 유지합니다. (노동조합법 제32조 제3항 단서)
  • 자동연장된 협약은 6개월 전 해지 통보를 통해 종료할 수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32조 관련 판례: 대법원 1993. 2. 9. 선고 92다27102 판결

이처럼 단체협약의 유효기간과 자동연장에 대한 규정은 노사 모두의 권익을 보호하고 균형을 맞추기 위한 장치입니다. 관련 규정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여 건강한 노사관계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단체협약 유효기간과 자동연장 약정에 관하여

노사가 단체협약의 유효기간 만료 후에도 공백 기간 없이 효력을 유지하기 위해 자동연장 약정을 맺는 것은 유효하며, 이 경우 법정 최대 유효기간(2년)을 넘어서도 약정된 기간 동안 효력이 유지된다.

#단체협약#자동연장#유효기간#갱신협상

민사판례

단체협약 유효기간과 징계절차에 관한 판례 해설

이 판례는 단체협약의 유효기간 제한, 자동연장 규정의 효력, 징계절차상 노동조합의 권리 보장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즉, 단체협약 기간은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정해야 하고, 자동갱신 약정은 유효하며, 징계 시 노조의 징계위원 선정 권리를 보장해야 함을 명시합니다.

#단체협약#유효기간#자동갱신#징계절차

일반행정판례

노조가 단체협약 해지 못하게 막는 건 안돼요! - 단체협약 유효기간과 해지권

회사와 노동조합이 단체협약에서 유효기간을 2년 넘게 정하거나, 해지할 수 없도록 하는 약정은 무효입니다. 관련 법 조항이 강행규정이기 때문입니다.

#단체협약#유효기간#해지권#강행규정

민사판례

노조 전임자 급여 지급, 언제까지 가능할까? 자동연장된 단체협약도 유효할까?

2010년 7월 1일부터 노조 전임자에게 급여를 주는 것이 금지되었는데, 그 이전에 만료된 단체협약이 자동연장 조항에 의해 2010년 7월 1일 이후에도 유효하다면, 전임자 급여 지급 조항도 유효기간까지는 효력이 있다. 다만, 사용자는 단체협약을 해지할 수 있다.

#단체협약#자동연장#전임자 급여#금지 조항

민사판례

노조 전임자 급여 지급, 언제까지 허용될까? 단체협약 유효기간과 전임자 급여

2010년 7월 1일부터 노조 전임자에게 급여를 주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그 전에 맺은 단체협약에서 전임자 급여 지급을 약속한 경우, 협약의 유효기간까지는 급여를 줘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이 규정은 자동갱신된 단체협약에도 적용됩니다.

#노조 전임자#급여 지급#단체협약#효력 유지

상담사례

단체협약 끝났는데, 회사 맘대로 해고?! 🤯

단체협약 종료 후에도 임금, 퇴직금, 노동시간, 해고 등 근로조건 관련 내용은 근로계약에 흡수되어 효력을 유지하므로, 회사는 마음대로 해고할 수 없다.

#단체협약#해고#근로계약#효력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