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6.12.29

민사판례

대리권 없는 사람이 공증 받으면 효력 없어요!

오늘은 대리권 없는 사람이 공증을 받았을 때 그 효력이 인정되는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 대신 쉬운 말로 설명드릴게요.

사건의 핵심은?

A회사는 B회사에게 돈을 받아야 했습니다. B회사는 C회사에 돈을 받을 권리가 있었죠. A회사는 B회사가 C회사에서 받을 돈을 자기에게 달라고 법원에 요청했습니다(채권압류 및 전부명령). 이때 A회사는 B회사가 C회사에 돈을 갚으라는 내용의 공정증서를 근거로 제시했습니다. 그런데 이 공정증서는 B회사의 대표권이 없는 사람이 공증받은 것이었어요. 과연 이 공정증서는 효력이 있을까요? 그리고 A회사는 C회사에게 돈을 받을 수 있을까요?

법원의 판단은?

법원은 "효력 없다!"라고 판단했습니다. 왜냐하면 공정증서에 강제집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집행인낙을 받는 것은 매우 중요한 법적 행위이기 때문에, 반드시 권한 있는 사람이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대리권이 없는 사람이 공증을 받았다면, 그 공정증서는 아무런 효력이 없습니다. 당연히 그 공정증서를 근거로 받은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도 효력이 없고요. 따라서 C회사는 A회사에게 돈을 줄 필요가 없습니다.

핵심 법률 내용

  • 민법 제130조 (대리권의 범위) 대리인은 본인의 허락받은 행위만 할 수 있습니다. 대리권이 없는 사람이 한 행위는 본인에게 효력이 없습니다.
  • 민사소송법 제89조 (집행권원) 강제집행을 하려면 집행권원이 필요합니다. 공정증서도 집행권원이 될 수 있습니다.
  • 민사집행법 제56조 (제3채무자의 항변) 제3채무자(C회사)는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이 무효라는 것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참고 판례

  • 대법원 2001. 2. 23. 선고 2000다45303, 45310 판결
  • 대법원 2006. 3. 24. 선고 2006다2803 판결

결론적으로, 대리권 없는 사람이 공증을 받은 문서는 효력이 없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중요한 법적 행위를 할 때는 반드시 권한이 있는 사람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공증 대리권, 부당소송, 경매절차 효력에 관한 이야기

타인의 대리인이 허락 없이 공정증서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매가 진행된 경우, 채권자에게 대리권 확인 의무가 있는지, 그리고 채권자가 경매를 진행한 것 자체가 불법행위인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본 판결에서는 채권자에게 대리권 확인 의무는 없고, 경매 신청 자체만으로는 불법행위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무권대리#공정증서#경매#채권자 책임

상담사례

공정증서로 돈 받으려는데, 대리인이 가짜였다면? 😱

가짜 대리인이 작성한 공정증서는 무효이므로, 이를 근거로 한 압류 및 전부명령 또한 효력이 없어 제3채무자는 돈을 줄 의무가 없다.

#공정증서#가짜 대리인#무효#압류

민사판례

아내가 남편 이름으로 몰래 빚보증을 섰다면? - 공정증서의 효력과 추인

아내가 남편 몰래 남편의 인감을 위조하여 공정증서를 작성하고 빚 보증을 서준 경우, 남편이 나중에 빚을 갚겠다고 말했더라도 그 공정증서는 효력이 없다.

#공정증서#무효#배우자 보증#대리권

민사판례

무효인 공정증서, 강제집행 끝나면 이의신청 못해요!

무효인 공정증서를 근거로 강제집행이 이미 완료되었다면, 그 공정증서가 무효임을 주장하여 강제집행을 막아달라는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무효 공정증서#강제집행 완료#청구이의의 소#이익 없음

일반행정판례

공정증서, 그 힘은 어디까지일까요? - 공증 문서의 증명력에 대한 이야기

공증인이나 공증사무취급이 인가된 합동법률사무소의 변호사가 작성한 공증문서는 공문서로서 진정성립이 추정되고, 특별한 반대 증거가 없다면 그 내용도 사실로 인정된다.

#공증문서#증명력#진정성립 추정#공문서

상담사례

돈 빌려줬는데 갚지 않아요! 공정증서 있어도 소송 가능할까요?

공정증서가 있어도 채무자가 돈을 갚지 않으면 3년의 짧은 소멸시효를 10년으로 연장하기 위해 동일한 내용으로 소송 제기가 가능하다.

##공정증서#소송#강제집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