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9.11.12

특허판례

'데코시트' 상표, 장식재에는 못 써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데코시트'라는 상표를 둘러싼 법적 분쟁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 이 사례는 상표가 어떤 상품에 사용될 때 기술적인 표현이 되어 상표로서 보호받지 못하는지, 또 어떤 경우에는 소비자를 오인시킬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데코시트'라는 상표를 등록한 사람과 이에 이의를 제기한 LG화학 사이의 분쟁입니다. LG화학은 '데코시트'라는 상표가 장식재료에 사용될 경우 제품의 특성을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상표로 등록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데코시트' 상표가 장식재에 사용될 경우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기술적 상표에 해당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기술적 상표란 상품의 품질, 효능, 용도 등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상표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제품의 특징을 너무 일반적으로 묘사하는 상표는 독점적인 권리를 인정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논리를 통해 '데코시트'가 기술적 상표라고 판단했습니다.

  • '시트(sheet)'는 얇은 판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 '데코(deco)'는 'decoration'의 줄임말로, 장식을 의미합니다. 영어가 널리 사용되는 현대 사회에서 '데코'라는 표현은 장식 업계 종사자뿐만 아니라 일반 수요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데코시트'는 '장식용 시트'라는 제품의 용도와 형상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기술적 표현입니다.

그럼 다른 제품에는 사용할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대법원은 '데코시트' 상표가 장식재 이외의 상품, 예를 들어 플라스틱 호스, 필름 생지 등에 사용될 경우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1호에 따라 품질오인상표에 해당한다고 판결했습니다. 품질오인상표란 수요자에게 상품의 품질을 오인하게 할 우려가 있는 상표를 말합니다.

'데코시트'가 플라스틱 호스 등에 사용될 경우, 소비자들은 해당 제품이 장식용 시트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이거나, 장식용 시트를 포함하고 있는 제품이라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데코시트' 상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판례의 의의

이 판례는 상표의 기술성과 품질오인 가능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중요한 사례입니다. 상표를 출원할 때는 해당 상표가 상품의 특징을 지나치게 일반적으로 묘사하지 않는지, 소비자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은 없는지 신중하게 검토해야 합니다.

참조 조문

  •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
  •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1호

참조 판례

  • 대법원 1997. 5. 23. 선고 96후1729 판결
  • 대법원 1997. 9. 12. 선고 96후2494 판결
  • 대법원 1997. 12. 12. 선고 97후396 판결
  • 대법원 1998. 7. 24. 선고 97후1702, 1719 판결
  • 대법원 1995. 3. 24. 선고 94후1923 판결
  • 대법원 1997. 7. 22. 선고 96후1224 판결
  • 대법원 1998. 12. 22. 선고 97후3029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데코시트'는 누구나 쓸 수 있다? 상표권 분쟁 이야기

'데코시트'라는 표현이 장식용 시트의 일반적인 명칭으로 널리 쓰이게 되면서 상표로서의 식별력을 잃어 상표권 보호를 받지 못한다는 판결.

#데코시트#상표권#관용상표#식별력 상실

특허판례

컬러 콘크리트 상표, 과연 등록 가능할까?

"COLOR CON"이라는 상표는 유채색 콘크리트 제품에는 상품의 성질을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표현이라 상표로 등록할 수 없고, 무채색 콘크리트 제품에는 소비자가 유채색으로 오인할 수 있어 역시 상표로 사용할 수 없다는 판결.

#COLOR CON#상표#유채색 콘크리트#무채색 콘크리트

특허판례

광고만으로는 상표 사용으로 인정 안 될 수도 있다?!

단순히 신문에 상표를 광고한 것만으로는 상표를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 실제 상품이 유통되거나 유통 예정이어야 상표 사용으로 인정된다.

#상표#신문광고#사용#미인정

특허판례

거래명세서, 견적서에 상표 넣으면 상표 사용한 걸까요?

거래에 사용되는 서류(견적서, 거래명세서 등)에 상표를 표시하고 거래처에 전달하는 행위는 상표를 사용한 것으로 본다는 대법원 판결.

#상표#거래서류#사용#대법원

특허판례

상표권 침해? 유사 상표 사용에 대한 법원의 판단 기준

유명하지 않은 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서로 다른 상품에 사용하는 경우,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과 저명상표 여부를 명확히 하지 않은 채 등록무효 판결을 내린 원심을 파기한 사례.

#유사상표#등록무효#저명상표#수요자기만

특허판례

내 상표, 쓸 수 있을까? 기술적 상표의 등록 가능성

제품의 품질이나 효능 등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표현한 상표는 등록할 수 없다는 원칙을 재확인하며, 이를 판단할 때는 일반 소비자의 관점에서 직관적으로 이해 가능한지 여부가 중요하다는 것을 명시한 판례입니다.

#상표#등록#거절#설명적 상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