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1.07.08

민사판례

돈 갚아! 근데 너도 나한테 빚 있잖아? - 상계와 조정에 대한 이야기

오늘은 돈과 관련된 법률 분쟁, 특히 상계조정에 대한 흥미로운 판결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서로 돈을 빌려주고 갚아야 할 상황에서 복잡한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번 판결은 그런 상황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상계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서로 돈을 주고받을 관계에 있는 당사자끼리 채권과 채무를 서로 퉁 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A가 B에게 100만 원을 빌려주고, B가 A에게 50만 원을 빌려준 경우, A와 B는 50만 원씩 서로 퉁 치고 A는 B에게 나머지 50만 원만 받으면 됩니다. 이것이 바로 상계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언제, 어떻게 상계를 해야 하는가 하는 것입니다.

특히 이번 판결에서 중요하게 다뤄진 부분은 상계 시점지연손해금 처리 문제입니다. 상계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는데, 만약 그 전에 갚아야 할 돈(수동채권)의 변제기가 지나서 연체이자가 발생했다면, 상계 시점까지 발생한 연체이자를 먼저 계산하고, 받을 돈(자동채권)에서 그 이자를 먼저 뺀 후 나머지 금액으로 원금을 갚는 것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대법원 2005. 7. 8. 선고 2005다8125 판결).

조정은 또 무엇일까요?

법원에서 분쟁 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는 제도입니다. 조정이 성립되면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을 갖게 됩니다 (민사조정법 제30조, 제34조). 즉, 조정으로 합의된 내용은 법원의 판결처럼 강제력을 가지게 되고, 더 이상 이전의 분쟁에 대해 다툴 수 없게 됩니다. (대법원 2017. 4. 26. 선고 2017다200771 판결, 대법원 2020. 6. 25. 선고 2018다277051 판결).

이번 사건은 어떤 내용이었을까요?

원고와 피고는 서로 돈을 주고받을 채권채무 관계에 있었습니다. 원고는 피고에게 물품대금을 청구했고, 피고는 공사대금 채권으로 상계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이 공사대금 채권은 별도의 소송에서 조정을 통해 새로운 채권으로 바뀌었습니다.

법원은 어떤 판단을 했을까요?

원심은 조정 이전의 공사대금 채권을 기준으로 상계를 계산했지만, 대법원은 이를 잘못된 판단이라고 보았습니다. 조정을 통해 이전의 채권은 소멸하고 새로운 채권이 생겼으므로, 새로운 채권을 기준으로 상계를 다시 계산해야 한다는 것이죠. 쉽게 말해, 조정으로 게임의 규칙이 바뀌었는데, 원심은 이전 규칙대로 게임을 진행한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입니다. (민법 제479조 제1항, 제492조, 제493조, 제499조).

이번 판결은 상계와 조정에 대한 중요한 법리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조정으로 채권채무 관계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내용을 기준으로 상계를 계산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복잡한 법률 분쟁 속에서 이러한 판례들은 우리에게 중요한 길잡이가 되어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돈 갚아야 하는데, 나도 받을 돈이 있어요! - 상계와 그 함정

빚을 서로 상계할 때에는 상계 시점을 기준으로 이자를 계산하고, 이자부터 먼저 갚아야 한다. 그렇지 않고 전체 이자를 다 계산한 후 상계하면 계산이 틀려진다.

#빚 상계#이자 계산#상계 시점#상계적상일

민사판례

빚과 빚을 상계할 때, 어떤 빚부터 갚아야 할까?

돈을 서로 주고받을 관계에 있는 당사자들이 서로의 채권으로 상계를 할 때, 법원은 어떤 채권이 얼마만큼 소멸하는지 구체적으로 판결해야 한다.

#상계#채권소멸#판결명확성#변제충당

민사판례

내 돈 돌려줘! 상계, 아무렇게나 하는 거 아니에요.

국가가 세금 체납자의 채권을 압류했더라도, 그 압류된 채권을 가지고 국가 자신이 체납자에게 빚진 돈과 상계할 수는 없다.

#세금 체납#채권 압류#상계#추심권

민사판례

재판에서 돈 갚으라는 판결 받았는데, 나도 상대방에게 받을 돈이 있다면? (상계와 청구이의)

빚진 사람이 갚아야 할 돈(채무)과 받을 돈(채권)을 서로 상계할 수 있는데, 확정판결이 나기 전에 서로 상계할 수 있는 채권과 채무가 있었더라도, 실제로 상계한다는 의사표시를 판결 이후에 했다면, 그 판결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사유가 된다는 판례입니다.

#확정판결#상계#청구이의#의사표시

민사판례

돈 갚아야 하는데, 서로 퉁치면 끝? (상계 이야기)

건설공제조합이 조합원의 부도 등으로 사전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약정했더라도, 조합과 조합원 사이에 채권채무가 있다고 해서 자동으로 상계되는 것은 아니며, 상계하려면 별도의 의사표시가 필요하다.

#건설공제조합#사전구상권#상계#의사표시

민사판례

돈 갚아야 하는데 서로 채권 있다고 주장하면 어떻게 될까? 상계와 부당이득, 그리고 소멸시효에 대해 알아보자

서로 간에 빚을 상계(相計)하기로 했는데, 한쪽 빚이 애초에 없었거나 무효였다면 상계는 효력이 없고, 무효인 빚을 가진 쪽이 부당이득을 얻은 것도 아닙니다. 또한 빚의 소멸시효는 법적으로 빚을 청구할 수 있는 시점부터 시작되며, 단순히 빚이 있는지 몰랐다는 사실만으로는 시효 진행이 멈추지 않습니다.

#상계#무효#부당이득#소멸시효